"환자 가족과의 소통이 질 좋은 요양 서비스 만듭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3면

요양보호사가 어르신과 상담을 하고 있다.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장기요양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하루가 다르게 높아지고 있다. 정부도 재가요양서비스사업의 진입장벽을 낮췄다. 그렇다 보니 인프라를 갖추지 못한 사업자들이 너나 할 것 없이 시장에 뛰어 들었다.

이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년마다 전국 재가요양서비스 사업자 대상 평가를 실시해 우수한 사업자엔 인센티브를, 부적격 사업자에게는 퇴출 등의 특단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에 그 결과도 공개했다. 소비자들이 우수한 서비스 업체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필자가 근무하는 그린케어의 전국 직영센터와 작년 7월부터 위탁경영 하고 있는 아이케어서비스도 이 평가를 받았으며, 결과 그린케어 전국의 모든 센터가 최우수·우수기관으로 선정됐고 아이케어 서비스도 전체 센터의 80%가 각 서비스 항목별로 최우수·우수 기관으로 지정된 바 있다. 전국의 모든 사업자들이 똑같은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함에도 이처럼 평가가 엇갈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필자는 ‘소통’에서 그 해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재가요양서비스는 요양보호사가 보험 수급 대상자인 어르신 댁에 방문해 요양·간호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과, 하루 중 주간·야간 등 특정 시간 동안 보호 시설에서 심신 기능의 유지 및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구성된다.

어르신과 항상 같이 있는 게 아니다 보니 요양보호사가 어르신의 상태 변화를 일일이 파악하기 힘들다. 그래서 요양보호사가 어르신은 물론 그 가족들과 수시로 소통하면서 필요로 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사전 케어 활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업체에서 소통을 강조하는 시스템과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갖출수록 수준 높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린케어는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반영해 개발한 센터장·요양보호사 매뉴얼, 건강상담을 위한 ‘메디컬 체크리스트’ 등 대상자 관리를 위한 다양한 운영 프로그램을 자사만의 소통 채널로 활용한다.

김명길
(주)그린케어 부사장

특히 올해는 요양보호사와 어르신, 그리고 어르신 가족과의 건강한 소통을 위한 ‘2013 그린하트’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올 상반기까지 전국 센터마다 태블릿PC를 제공해 언제 어디서나 어르신의 상태를 체크·관리하는 것은 물론, 상담 결과도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나갈 예정이다. 서비스 만족도는 크게 올라갈 것이라 기대한다.

어쩌면 우리는 어르신의 불편한 거동만 보고 물리적 해결책을 찾기에만 급급했던 것은 아닐까. 어르신의 몸은 물론 마음까지 어루만질 수 있는 소통을 통해 재가요양서비스의 수준이 한층 더 성장하길 기대해 본다.

김명길 (주)그린케어 부사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