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부, 월드컵 앞두고 파업 강경대응 천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국의 전력노조가 '전력 산업 매각 저지 라고 씌어있는 플래카드를 들고 시위를 하고 있다.
한국 재정경제부 장관은 월드컵 개최를 앞둔 시점에서의 불법 파업에 대해 강력하게 대처하겠다고 경고했다.

목요일 전투적인 민주노총이 주도한 파업에 수천명의 병원 노조원들이 합세해 월드컵 경기를 앞두고 점점 증폭되고 있는 노동계의 불만에 대한 염려를 부각시켰다.

근로자들은 주 5일 근무제와 정부의 공기업 민영화 계획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전윤철 재정경제부 장관은 국영은행들을 매각, 경제 성장을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그대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은 41개 병원에 근무하는 약 1만 6천 4백명의 근로자들이 목요일 오전 7시를 기해 파업에 돌입했다고 보도했다. 수요일에는 3만 1천명의 금속 화학 노조가 파업에 들어갔다.

하지만 또다른 부문의 노조 대표는 "일부 근로자들은 임금과 기타 요구에 대한 합의를 도출한 이후 파업 계획을 취소해 추가 사태가 중단됐다"고 전했다.

또한 주 5일 근무제에 대한 합의를 이후 은행노조의 파업 우려도 사라졌다.

하지만 노동계의 이번 파업으로로 테러 공격과 훌리건 난동 가능성, 서울 근교의 구제역 발발 등으로 야기된 혼란을 포함한 일련의 월드컵 개최 골치꺼리가 하나 더 늘어나게 됐다.

김대중 대통령은 노동계에 최소한 6월 말 월드컵이 끝날 때까지는 불만사항 제기를 보류하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23만명 택시 운전기사 중 1만 2천명이 금요일 파업을 선언 했고, 정부는 이러한 움직임이 국가 신인도를 해칠 수 있다고 염려하고 있다.

금융 시장은 대부분 이번 파업 사태를 무시했다.

이번 파업 사태에 대한 국민의 비난은 5월 31에 시작되는 월드컵 개최기간 중 한국이 세계의 주목을 받는 동안 노사 양측이 노동계의 문제를 해결을 보라는 압력으로 작용했다.

금융 기관 대표들은 수요일 현재 근무일수 보다 하루가 줄어든 주 5일근무제를 7월 1일부터 실시하는데 합의했다고 은행 협회 관리가 로이터 통신에 밝혔다.

김대중 대통령은 이러한 합의에 환영을 표했다.

김대중 대통령은 박선숙 대변인을 통한 성명서를 통해 "금융 노사가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월드컵 시작을 앞둔 이 중요한 시점에 파업계획을 취소한데 대해 기쁘게 생각한다" 고 말했다.

한편 재정경제부 장관은 목요일 "정부는 불법 파업에 대해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이며 핵심 기업부문을 민영화하려는 계획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밝혔다.

전윤철 장관은 기업 간부들 모임에서 "노조 파업은 국가의 신인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경제 회복에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법과 원칙에 근거해 불법 파업에 대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SEOUL, South Korea (CNN) / 김내은 (JOINS)

◇ 원문보기 / 이 페이지와 관련한 문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