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조 규모 BK21 후속사업 지방대학 지원 크게 늘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전국 대학의 500개 학부가 7년 동안(2013~2019년) 2조원의 국가 지원을 받게 된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15일 대학의 연구력 강화를 위해 BK21 플러스(Brain Korea 21 plus)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오는 8월까지 연구실적 등을 평가해 지원 대상 학부를 선정하며 학부별로 연간 최고 80억원을 지원한다. 사업 첫해인 올해 예산은 2526억원이다. 전체 예산의 50~60%가 석·박사 대학원생 장학금과 박사학위 취득자 인건비 등으로 지원된다. 이에 따라 선정된 학부의 대학원생에게 지급되는 장학금은 지난해 월 50만원에서 올해 월 60만원으로 늘어난다. 박사학위가 있는 신진 연구자에 대한 인건비 지원도 월 200만원에서 250만원으로 오른다.

 교육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느냐는 각 대학엔 사활이 걸린 문제다. 이에 따라 선정 과정에 치열한 경쟁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BK21플러스 사업은 대학의 연구력 강화를 목적으로 한 BK21 1, 2단계 사업(1999∼2012년)이 지난해 끝난 데다 세계수준연구중심대학(WCU, 2008∼2013년) 사업이 올해 종료됨에 따라 나온 것이다.

 최근까지 대학의 관심사는 이 사업에서 몇 개의 학부가 지원을 받게 되느냐였다. 지난 3월 교육부가 발표한 시안에는 350개 내외의 학부를 선정한다고 돼 있었다. 지난해까진 모두 700개 학부가 BK21과 WCU 사업의 수혜를 봤다. 종전 사업이 ‘나눠먹기식’이라는 비판이 나오자 교육부가 새 사업에선 지원 대상을 줄이려 했던 것이다. 하지만 지원 중단을 우려한 대학들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교육부는 지원 대상을 500개로 늘렸다.

 서울·경기·인천 이외 지역의 지방대학에 나눠주는 사업비 비중은 종전의 24%에서 35% 내외로 확대된다. 또 지원 대상 500개 학부 중 225개를 지방대학에서 선정한다. 박근혜정부의 국정과제인 ‘지방대학 육성’을 위한 것이다. 또 관광·문화 콘텐트·디지털 멀티 미디어·디자인·정보보안 등 고(高)부가가치 관련 학부가 새로운 지원 분야에 포함됐다. 교육부 홍민식 대학재정지원과장은 “기존 연구실적 위주의 평가 방식으론 이들 학부가 지원 대상에 들기가 어려웠다”며 “이런 분야는 다른 평가 방식에 따라 지원 대상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시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