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도를 보는 방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역도의 경기종목
①추상=역기를 일단 가슴 위에까지 꺾어 올린 다음 몸이나 다리의 움직임이 없이 두 팔의 힘으로 머리 위로 민다.
②인상=역기를 한 번에 머리 위로 들어 올린다. 이 때 선수는 몸과 다리의 힘을 이용하여 두 다리를 앞뒤로 벌리거나 무릎을 굽힐 수 있지만 들어 올린 무게는 끝까지 같은 모습으로 움직이지 말아야 하며 발을 나란히 모아 멈춰 있어야 한다.
③용상=두 다리를 벌리거나 무릎을 굽히면서 역기를 어깨까지 올린 다음 두 다리와 두 팔을 함께 뻗어서 추켜 올리고 다시 발을 일직선 위에 나란히 모아 바른 모습으로 멈춰 선다.
▲심판법=선수는 이상 3개 종목에 모두 출전해야 한다. 심판은 3명으로 구성되며 선수가 바른 자세로 성공시켰을 때는 흰기(백기), 「파울」했을 때는 빨간기로 판정을 내린다.
▲경기방법=선수는 3개 종목마다 3번의 시기를 한다. 3시기의 방법은 다음의 예와 같다.
1시기 2시기 3시기
60㎏ 65㎏ 67.5㎏
60㎏ 62.5㎏ 할 수 없음
▲순위결정=3개 종목의 3시기 중 가장 좋은 기록을 합쳐 총계로 순위를 가린다. 기록이 같을 경우는 몸무게를 달아 가벼운 선수가 이기며 3개 종목 가운데 1개 종목이 「파울」로 끝나면 나머지 2개 종목의 합계로 순위를 결정한다.
▲신기록작성=신기록은 총계서 뿐만 아니라 추상 인상 용상부문에서도 작성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