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도시에서는 도로 스스로 전력을 생산한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국토해양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LH공사가 주축이 되어 진행중인 ‘U-Eco City R&D사업’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U-Eco City를 위한 다양한 기반기술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는 것. 더욱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면서도 삶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미래도시를 만들기 위해 LH U-Eco City연구단(단장 이윤상, www.ueco.or.kr)은 다양한 신기술을 연구해왔다.

U-Eco City연구단은 최근 U-Eco City에 적용할 완전히 새로운 개념의 도로를 제시했다. 기존의 도로가 단지 자동차가 달리기 위한 공간에 지나지 않았다면, U-Eco City연구단이 선보인 친환경도로는 환경오염을 줄이는 동시에 에너지를 자체 생산하고 그 에너지를 이용해 조명 등의 전력원으로 사용하는 자가발전 도로다.

환경오염을 줄이는 기능에서는 먼저 ‘지능형 수막처리 시스템’이 적용된다. 도로에서는 필연적으로 많은 양의 복사열과 비산먼지가 발생하는데 이는 지구의 온도를 높이고 대기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U-Eco City의 친환경도로에서는 복사열과 비산먼지를 줄이기 위해 빗물과 재활용수를 도로에 분사한다.

쉽게 이야기하면 자동으로 물을 뿌려줌으로써 도로의 열을 식히고 먼지를 가라앉히는 것이다. 도로의 온도와 미세먼지 발생량을 자동으로 측정한 뒤 필요시에는 통합운영센터에서 원격으로 조정하여 살수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에너지를 자체 생산하고 사용하는 기능으로는 ‘자가발전 환경센서 시스템’과 ‘도로 충격에너지 변환장치'가 있다. 자가발전 환경센서 시스템은 자동차가 달리면서 발생되는 바람을 풍압에너지로 수집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다. 도로 충격에너지 변환장치는 자동차가 달릴 때 자동차의 무게(윤하중)로 인해 도로에 전해지는 충격에너지를 수집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이렇게 풍압에너지와 충격에너지를 수집하여 생산된 전력은 도로의 소형LED조명 전력으로 쓰인다. 환경오염을 줄이는 동시에 스스로 전력을 생산하고 사용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것이다. 이 세가지 기능은 지난해 안산에 위치한 LH 휴먼시아 아파트 단지에 시범 적용되어 테스트를 마쳤다.

U-Eco City연구단은 이와 같은 친환경도로가 도시에 적용되면 도로의 노면온도를 낮출 수 있을뿐 아니라 먼지발생도 줄일 수 있어 도로환경개선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도로의 자가전력공급기술 확보로 인해 에너지 절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기사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르며, 해당기관에서 제공한 보도 자료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