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 국사, 별도 과목 분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국사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중학교 사회 과목에서 국사 분야를 따로 떼내 별도 과목으로 가르치고, 고교 1학년 국사 과목에서 한국 근현대사 비중을 대폭 높이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 각종 공무원 시험의 국사 과목을 토론시험 형태로 심화하는 방안도 강구되고 있다.

교육부총리 자문기구인 국사교육발전위원회(위원장 이만열 국사편찬위원장)는 29일 이런 내용을 담은 '국사 교육 발전 방안'을 김진표 교육부총리에게 보고했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지난해 9월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등에 대응해 각계 인사 10명으로 구성된 국사교육발전위원회를 부총리 자문기구로 출범시켰다. 위원회는 그동안 10차례의 회의와 공청회를 거쳐 이번 방안을 마련했다.

이에 따르면 국사 교육 강화를 위한 단기적 방안으로 중학교 사회과목에서 국사와 세계사 등 역사를 분리해 독립 교과로 가르치는 대안이 제시됐다. 한국사와 세계사의 균형적인 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올바른 역사 인식을 심어주자는 취지다.

근대사 이전의 역사를 주로 다루는 고교 1학년 국사 과목의 경우 근현대사 비중을 강화해 체계적인 국사 교육을 시키는 방안이 제시됐다. 현재 교육과정에서는 2학년 이후 한국 근현대사를 심화선택 과목으로 배우기 때문에 국사 과목에선 근현대사를 소홀히 취급하고 있다. 따라서 2학년에 올라가 한국 근현대사 과목을 선택하지 않는 학생은 근현대사를 제대로 배울 기회가 없게 된다. 위원회는 또 현재 국사가 필수과목으로 돼 있는 6급 이하 각종 공무원 시험에서 면접.토론 등 심화된 형태의 국사 시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사법.행정.외무고시에서 국사 과목을 존치.부활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정부는 내년부터 행정.외무고시 과목에서 국사를 제외키로 한 바 있고, 사법시험에선 1997년부터 국사 시험을 보지 않고 있다.

장기적인 방안으로는 '쉽고, 재미있고, 유익한' 역사 교과서를 개발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역사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역사와 관련된 사고력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수요자 위주의 교과서 개편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남중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