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시장 '개점휴업'…“마케팅 계획도 못 세워"

조인스랜드

입력

[황정일기자] “새해 들어서는 문의 전화 한 통 없어요. 당분간 판매가 어렵다고 보고 미분양 판매 인력도 최소한으로 줄였어요. 분위기가 바뀌면 바로 보충하면 되니…”

때이른 한파 속에 미분양 시장이 꽁꽁 얼어 붙었다. 지난해 말 미분양 양도세 5년간 면제 혜택이 종료되면서 사실상 ‘개점휴업’에 들어갔다.

이런 마당에 미분양주택 해소를 위한 장치 마련이 정치권의 관심권에서 멀어지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선거 때 취득세 감면 연장은 공약했지만 미분양 양도세 면제 연장은 언급조차 안했다.

신규 분양 물량 미분양으로

“지금 당장은 새로운 마케팅 계획도 없습니다. 일단 좀 상황을 지켜본 뒤에 광고 등 다시 본격적인 마케팅을 해야죠. 지금은 뭘 해도 팔릴 것 같지 않습니다.”

한 대형건설업체 주택 담당자는 지금은 아예 미분양을 팔 생각도 안한다. 말 그대로 ‘뭘 해도’ 팔릴 것 같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다.

그는 “주택시장 자체가 멈춘 데다 새정부가 들어서는 과도기여서 (미분양에는) 관심도 없다”며 “그나마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 기조가 나오면 관심이 생기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지금은 미분양 상태로 그냥 둘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당장 돈이 필요한 경우에는 준공 후 미분양에 한해 임대하기도 한다.

대림산업의 경우 최근 경기도 의왕시 내손동의 내손 e편한세상 아파트 미분양 150여 가구를 전세로 내놨다.

GS건설도 일산자이 등 수도권 주요 미분양 단지에 분양가의 최저 20%를 내고 입주해 3년간 살아보고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애프터리빙 제도를 도입해 미분양을 정리했다. 사실상 임대한 셈이다.

미분양을 임대하면 최소 2년간은 집을 팔기 어려워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대를 놓는 것은 그만큼 주택시장의 앞날이 캄캄하다는 뜻이다.

조만간 주택 경기가 살아나 미분양을 처리할 가망이 없기 때문에 전세금이라도 받아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주택 업계 “미분양 대책 시급”

지난해 11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7만6319가구에 이른다. 전달인 10월 말보다 4.7%(3580가구)나 늘었다. 수도권은 10월 말보다 1937가구 증가한 3만4385가구로 5월부터 7개월 연속 증가했다.

지방 역시 전월대비 1643가구 증가한 4만1934가구로 집계됐다. 지난해 취득세 감면과 함께 미분양 주택 매입 때 향후 5년동안 발생하는 양도소득세를 면제해주는 9·10 대책으로 수도권 미분양 아파트 단지 물량 해소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됐지만, 신규 분양물량 상당 수가 미분양 상태로 남아 총량은 지난 5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정부부처와 정치권은 미분양 해소를 위한 정책 밑그림조차 내놓지 않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권 인수 기간인 현 시점에서 새로운 대책을 내놓기는 어렵다”며 “새정부가 출범한 이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당연히 볼멘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수도권 일대 미분양단지 한 관계자는 “9·10 대책으로 10월에 반짝 효과를 봤지만 대선을 앞두고 11~12월엔 거의 판매가 안됐다”며 “새 정부가 미분양 대책에 대한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올해 1분기 신규 분양물량이 대거 쏟아지면서 수급 균형을 위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올 1~3월 분양 예정인 물량은 수도권에서만 1만9147가구에 이른다. 지난해 같은 기간(8012가구)보다 41.8% 증가한 규모로 미분양 시장에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경기도 일부 지역은 현재도 미분양이 심각한 상황인데 앞으로 2기 신도시 등지에서 분양이 이어져 미분양 대책이 시급하다”면서 “미분양 주택 양도세 감면 혜택을 일반 분양에까지 확대하는 등 거래를 활성화 해야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