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정부, 박근혜정부, 아니면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측이 새 정부의 ‘네이밍(이름 짓기)’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박 당선인의 한 측근은 26일 “박 당선인이 새 정부의 이름을 어떤 걸로 정할지 이런저런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조만간 출범할 인수위에서 공식적으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가장 많이 거론되는 명칭은 ‘민생 정부’다. 박 당선인은 후보 시절 유세에서 “대통령이 되면 민생부터 챙기고 다음 정부는 민생 정부로 부르겠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그러나 박 당선인의 핵심 측근은 “박 당선인이 자화자찬을 싫어하기 때문에 특별한 명칭 없이 그냥 ‘박근혜 정부’로 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새 정부에 이름을 붙이기 시작한 것은 1992년 12월 김영삼 대통령 당선인이 군정종식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문민정부’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하면서다. 뒤를 이은 김대중 정부는 ‘국민의 정부’, 노무현 정부는 ‘참여정부’라는 명칭을 사용했었다.

 이명박 정부는 당초 실용주의를 강조하기 위해 ‘실용 정부’ ‘실천 정부’ ‘글로벌 정부’ 등의 명칭을 고려했으나 “말만 번듯하게 하는 것은 실용주의 철학에 어긋난다”는 의견이 힘을 얻어 특별히 정부 이름을 붙이지 않았다.

[관계기사]

▶ "저만 웃는 것 같네요" 朴, 긴장감 돈 전경련 회장단과 대화
▶ 박근혜 당선인, 오늘 인수위원장 발표
▶ 朴 당선인, MB와 달리 중기중앙회 먼저 찾아가…
▶ 당선인 발언으로 본 '근혜노믹스' "일자리 무게"
▶ 박근혜 "6조 증액 위해 국채 추가 발행" 민주 "부자증세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