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진흥 정책·홍보 부실

중앙일보

입력

정부가 올해를 `한국방문의 해'로 정해 외국인관광객 유치에 나섰으나 주먹구구식 정책 추진과 홍보부실 등으로 지난해보다 오히려 외국관광객이 줄어드는 등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지적됐다.

감사원이 17일 국회 법사위에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문화관광부는 `한국방문의 해' 홍보를 위해 홈페이지를 만들었으나 세계 주요 검색엔진에도 등록하지 않고 해외공관 등에 홍보용 배너설치를 요청하지 않는 등 유명무실하게 운영하고 있는것으로 지적됐다.

또 외국 관광객에게 관광호텔 객실료를 특별할인해 주는 `보너스 코리아 2001사업'을 실시한다고 홍보해 왔으나 제주.충북의 경우 25개 점검업소 중 24개 업소가 이를 실시하지 않는 등 제대로 사업이 추진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함께 `관광숙박시설 지원 특별법'에 따라 관광호텔 신축 특례지역을 정하면서 농지조성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매립지(인천광역시 경서동 등)나 도로 등 기반시설이 없는 지역(영종도.용유도 등)을 포함시켜 특례지역의 49.9%(1억2천916만㎡ 중6천454만㎡)가 실제 관광호텔 건축이 어렵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외국인 택시이용 편의를 위해 외국인통역안내택시(택시안에서의 기사와 외국인의 대화를 용역회사가 휴대전화로 통역)를 추진하고 있으나 통역회사에 통화료만 지원하고 택시기사의 휴대전화 사용료는 지원하지 않아 택시기사들이 이용을 기피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밖에 관광안내소 설치 및 통역 안내원 배치, 외국인 전용 관광안내 전화(국번없이 1330) 운영도 부실, 연간 100만명 이상 외국인이 방문하는 서울 북창동 관광특구, 부산 해운대 등 관광지에 관광안내소조차 설치되지 않았고, 작년 1330 관광안내전화 이용실적이 1일 평균 5.2건으로 저조했고, 야간 ARS 응답내용도 틀린 내용이 많아 외국인에게 혼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올해가 `한국 방문의 해'임에도 불구, 지난 5월 현재 외국관광객수가 작년동기에 비해 0.4% 감소하는 등 관광진흥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드러났다.(서울=연합뉴스) 김병수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