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분수대] 한족

    [분수대] 한족

    서울에도 아름다운 한강이 있지만 중국에도 한강이 있다. 한수(漢水)라고도 불리는 이 강은 길이가 1500㎞를 넘는 장강(長江)의 최대 지류다. 지금의 산시(陝西)성 서남부에서 발원

    중앙일보

    2008.03.27 00:56

  • [월드프리즘] ‘중화의 문’ 들어서길 거부하는 티베트

    [월드프리즘] ‘중화의 문’ 들어서길 거부하는 티베트

    티베트 승려들이 22일 윈난성의 둥주링이라는 한 수도원 문 앞에서 안을 들여다보고 있다. 중국 당국의 신속한 진압으로 라싸를 비롯한 티베트인 거주지는 평시 상태를 회복하고 있는 중

    중앙일보

    2008.03.24 01:53

  • [김종수시시각각] 한국 경제의 봄을 기다리며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이 왔으나 아무래도 봄 같질 않다. 중국 한나라 원제 때 절세미인의 궁녀 왕소군이 흉노족 왕에게 억지로 시집가서 서러움에 읊었다는 시구다. 오랑캐 땅에도

    중앙일보

    2008.03.19 01:16

  • [이훈범시시각각] 참여정부 수고 많았다

    권오규 경제부총리가 신년사에서 의미심장한 말을 했다. “복숭아와 오얏나무는 말을 하지 않아도 꽃의 아름다움과 열매의 달콤함에 끌려 사람들이 모여들므로 자연히 그 아래 길이 나게 된

    중앙일보

    2008.01.07 20:40

  • [BOOK책갈피] 독한 결단력 … 너그러움 … '창업형 황제'는 남달랐다

    [BOOK책갈피] 독한 결단력 … 너그러움 … '창업형 황제'는 남달랐다

    제왕의 길 런하오즈 지음, 차혜정 옮김 에버리치홀딩스, 316쪽, 1만3000원 ‘16명의 창업형 황제로부터 배우는 제왕술’이 부제다. 중국 역대 황제들 중 수 문제 양견, 당 고

    중앙일보

    2007.10.19 19:05

  • 선지자 모세도 ‘로또’를 하다

    메소포타미아 유적에서 여러 종류의 주사위가 나왔고 다른 문명발상지들도 마찬가지라는 점에서 도박은 줄기차게 역사와 함께해왔다. 이집트에는 달력 신이자 도박 신 타후티(Djehuty

    중앙선데이

    2007.09.24 16:23

  • 花鬪 팔도는 고도리공화국

    花鬪 팔도는 고도리공화국

    조선시대 도박판을 그린 풍속화인 김양기의 39투전도39 화투짝이 잘 달라붙는 것으로야 오래도록 미제 군용담요가 최고였다. 가솔들은 저마다 제 분수를 알아 역할을 나누었다. 큰아버

    중앙선데이

    2007.09.22 17:18

  • 대만, 역사독립 시동

    대만 교육 당국이 새 학기 고교 역사교과서에 대만 독립 개념을 집어넣었다. 중국을 더 이상 '우리나라'로 부르지 않고 그동안 국부(國父)로 추앙했던 쑨원(孫文)도 위인(偉人) 쑨원

    중앙일보

    2007.01.31 05:15

  • 돈황을 잇는 '하서회랑'을 가다

    중국과 로마를 잇는 좁은 외길 통로에 있는 '하서회랑'. 사막 가운데의 오아시스로 연결된 이 길은 수많은 민족들이 실크로드를 개척하기 위해 투쟁한 곳이기도 하다. 하서회랑의 어제와

    중앙일보

    2006.11.01 17:54

  • [분수대] 공포의 포로

    [분수대] 공포의 포로

    핵무기로 미국을 협박해 돈을 번 나라가 있다. 북한이 아니다. 미국 작가 레너드 위벌리가 1953년에 만든 가상국가 '그랜드 펜윅'이다.('약소국 그랜드 펜윅의 뉴욕 침공기(Th

    중앙일보

    2006.10.19 20:55

  • 단군조선 부정… 뿌리 없는 나라 자초

    우리 국사 교과서는 단군조선을 부정하고 있다. 중국 동북공정의 원뿌리인 탐원공정의 노림수는 바로 이 대목이다. 고조선의 시초부터 바로잡자는 역사학자 이덕일의 쓴소리-. 중국의 동

    중앙일보

    2006.10.06 18:11

  • [책나들이] 간만에 큰 맘 먹고

    [책나들이] 간만에 큰 맘 먹고

    기나긴 추석 연휴는 평소 벼르기만 하던 장편 소설을 읽기에도 맞춤이다. 친지나 친구들을 만나거나, 영화나 TV를 즐기는 것도 좋지만 한번쯤 책에 빠져 보는 것도 무익하지는 않을

    중앙일보

    2006.10.01 18:04

  • "금·청나라 한국사에 편입해야"

    "중국의 한족(漢族)은 한(漢).당(唐) 이후 만주 지역을 한번도 완전하게 지배한 사실이 없다. 고구려와 발해를 이어 만주 일대에 건국된 여진족의 금(金)과 만주족의 청(淸)을 넓

    중앙일보

    2006.09.15 04:44

  • 중국 동북공정에 앞서 '서남공정'은 어떻게 …

    중국 동북공정에 앞서 '서남공정'은 어떻게 …

    2002년 시작된 중국의 동북공정은 중국이 주도한 긴 역사 왜곡의 완결편에 해당한다. 1980년대부터 티베트(西藏).몽골.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에 대한 새로운 역사해석이 착착 진행

    중앙일보

    2006.09.14 05:08

  • [분수대] 조공(朝貢)

    [분수대] 조공(朝貢)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봄이 와도 봄 같지가 않다)." 정치인들이 즐겨 인용하는 '소군원(昭君怨)'의 한 구절. 중국 당(唐) 시인 동방규가 왕소군을 노래한 것이다. 서시.초선.

    중앙일보

    2006.07.13 21:10

  • [삶과문화] "신기하다, 신기해"

    최근에 읽거나 들은 신기한 사실 몇 가지를 소개한다. 1. 강력(핵력).전자기력.약력.중력, 이 네 가지가 우주에 존재하는 기본적인 힘이다. 물리학자들은 지금까지 이 네 가지 힘

    중앙일보

    2006.06.02 20:45

  • [분수대] 천도시비(天道是非)

    [분수대] 천도시비(天道是非)

    기원전 99년. 한(漢)의 장수 이릉(李陵)은 오천의 병력으로 흉노의 팔만 대군과 맞선다. 그러나 중과부적으로 싸움에 패하고 사로잡힌다. 격노한 무제(武帝)는 이릉의 처자를 죽이

    중앙일보

    2005.12.01 20:57

  • [고선지 루트 1만km] 7. 비단길 중심, 사막길 - 둔황

    [고선지 루트 1만km] 7. 비단길 중심, 사막길 - 둔황

    비단길의 중심인 둔황. 서역을 출입하는 사람들은 둔황에서 오랜 여정 동안 먹을 양식과 사막을 넘을 채비를 한다. 기련산맥의 끝자락에 위치한 모래산인 명사산(鳴沙山)은 막고굴과 함께

    중앙일보

    2005.10.14 05:59

  • [고선지 루트 1만km] 6. 만리장성 서쪽 끝 - 장예 ~ 자위관

    [고선지 루트 1만km] 6. 만리장성 서쪽 끝 - 장예 ~ 자위관

    만리장성의 서쪽 끝 자위관. 지난날 서역으로 가려는 상인이나 군대는 모두 이곳을 통해야 했다. 자위관의 성루에 오르면 사막에 끝간 데 없이 펼쳐진 장성을 바라볼 수 있다. 조용철

    중앙일보

    2005.10.11 06:28

  • [고선지 루트 1만km] 5. 동서 교통 요충지 - 우웨이·장예

    [고선지 루트 1만km] 5. 동서 교통 요충지 - 우웨이·장예

    왼쪽(남쪽)으로 기련산맥과 오른쪽으로 마종산맥이 나란히 달리는 하서회랑. 우웨이에서 장예로 가는 길이다. 멀리 울타리처럼 보이는 만리장성 토성 앞으로 양떼들이 한가로이 풀을 뜯고

    중앙일보

    2005.10.07 05:02

  • [고선지 루트 1만㎞] 4. 애환의 비단길 - 시안~란저우

    [고선지 루트 1만㎞] 4. 애환의 비단길 - 시안~란저우

    실크로드(비단길)의 출발지인 중국 시안의 개원문 앞에 세워진 거대한 조각상. 시안을 찾은 서역의 대상들이 낙타에 비단과 향료 등 짐을 싣고 고향으로 돌아가기 위해 개원문을 나서는

    중앙일보

    2005.10.05 04:34

  • [논술이 있는 책읽기] “삼국지는 중화주의 산물”

    삼국지 바로 읽기(전 2권) 김운회 지음, 삼인, 각권 360쪽 내외, 각권 1만2000원 “최근에 중국 정부는 동북공정을 진행하며 고구려사나 발해사를 중국사의 일부라고 주장하고

    중앙일보

    2004.12.25 10:05

  • "중국 한족, 단일 혈통 아니다"

    "중국 한족, 단일 혈통 아니다"

    중국의 한족(漢族)은 한 핏줄이 아닌 다종족(多種族)의 문화적 형성체라는 결론이 내려졌다. 중국과학원의 연구 조사팀이 남북 각 지역 한족의 혈액을 종합적으로 조사한 결과다. 북경과

    중앙일보

    2004.09.08 18:26

  • [삶과 문화] 만리장성을 허물어라

    고조선.고구려, 더 나아가 발해의 역사가 중국의 것이라면 왜 만리장성이 생겨났을까? 지금 중국인이 우리의 고대사를 자신들의 역사라고 말한다. 이것은 만리장성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이

    중앙일보

    2004.09.03 1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