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남북 정상회담 한달] 상호비방 중단

    정상회담 이후 가장 두드러진 북한의 변화는 대남비방이 자취를 감췄다는 점이다. 지난달 16일 0시를 기해 휴전선 대남 확성기 방송에는 '괴뢰도당' '만고역적' 등의 비방과 욕설이

    중앙일보

    2000.07.13 00:00

  • [신 남북시대] 북한 언론 확 변했다

    남북 정상회담 이후 북한 언론의 대남보도 논조와 구성이 크게 바뀌고 있다. 우선 남한을 자극하는 용어가 언론매체에서 사라졌다. 지난달 30일 군 당국이 노동신문.평양방송.조선중앙방

    중앙일보

    2000.07.04 00:00

  • [군 '북괴' 용어 수정 배경]

    30일 국방부가 국가안보회의(NSC) 결정을 토대로 대북(對北) 관련 용어 전반을 바꾸기로 한 것은 남북 정상회담 이후 북한측이 먼저 대남 용어를 순화한 데 따른 상호적 조치다.

    중앙일보

    2000.07.01 00:00

  • 휴전선 확성기 '비방' 사라졌다

    16일 오후 2시 비무장지대(DMZ)인 강원도 철원 근방 중부전선의 관측소. 북한군 확성기에서 터져 나오는 '괴뢰도당' '만고(萬古)역적' 이라는 비방.욕설이 사라졌다. '우리는

    중앙일보

    2000.06.17 00:00

  • [신 남북시대] 정상회담이후 바빠진 문화계

    15일 막을 내린 남북정상회담에서 양측이 사회.문화교류를 활성화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벌써부터 문화예술단체의 움직임이 부산해지고있다.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활발해진 문화교류를 겨냥해

    중앙일보

    2000.06.16 00:00

  • 통일염원 '일천만 사이버 인간띠잇기 대회' 개막

    세계 네티즌들의 염원을 모아 가상공간에서나마 한반도 휴전선의 철책을 녹이자는 '1천만 사이버 인간띠 잇기 대회' 가 1일 시작됐다. 대회는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pe

    중앙일보

    1999.12.02 00:00

  • [서해교전 이후 표정] 사흘째 '소리없는 긴장'

    6.15 서해교전 이후 사흘째인 18일 북한 경비정의 NLL 침범이 뚝 끊어졌다. 달이 뜨지 않아 북한의 간첩선 침투 가능성이 가장 큰 무월광 (無月光) 기간도 이날 끝나 우리 군

    중앙일보

    1999.06.19 00:00

  • [서해교전 이후] 평양의 움직임

    15일 서해 교전 이후 북한군 전체적으로 특이한 징후는 감지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교전을 전후해 대남 선전선동을 크게 강화하는 중이다. 국방부.합참은 북한이 서해상에서 충돌식 밀

    중앙일보

    1999.06.17 00:00

  • 6. 이한동 신한국당 고문 - 질의.답변 요지 (1)

    중앙일보 지령(紙齡)1만호를 기념해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정치인과 시민 대토론회'(중앙일보.문화방송 공동개최) 6일째(8일)는 이한동(李漢東)신한국당 상임고문 차례였다.5,6공

    중앙일보

    1997.05.09 00:00

  • 휴전선 對南방송 줄어 北,電力사정 나빠진듯

    북한은 최근 극심한 유류난에 따른 전력난으로 군사분계선에서의대남 확성기방송을 대폭 줄이고 있다. 육군 무적태풍부대는 4일 전방초소를 방문한 김동진(金東鎭)국방장관에게“북한군은 거의

    중앙일보

    1997.01.05 00:00

  • 개제된 북한의 휴전선 도발

    4자회담 제안을 계기로 국제사회가 한반도의 긴장완화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는터에 북한이 찬물을 끼얹었다.17일 대낮에 무장한북한 군인들이 비무장지대의 군사분계선을 넘어와 한참 머무르는

    중앙일보

    1996.05.19 00:00

  • 북한,전투기등 전진배치-李국방 대북경계강화 지휘書信

    이양호(李養鎬)국방장관은 28일 정부의 5.18특별법 제정방침과 관련,장병들에게 지휘서신(제6호)을 보내고 북한의 오판을막기 위해 대북(對北) 군사 대비태세에 만전을 기하라고 전군

    중앙일보

    1995.11.29 00:00

  • 우성號 송환해야 對북한 화해조치-金대통령 NYT회견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은 『북한이 우성호 송환과 대남(對南)비방방송 중단 약속부터 먼저 이행해야 쌀문제를 비롯한 다른 화해조치들도 재개될 수 있을 것』이라고 못박고 『공은 북한쪽에

    중앙일보

    1995.10.16 00:00

  • 김대통령 비방 北 연일 큰 목청

    北韓이 최근 金泳三대통령을 극렬히 비난하고,있지도 않은 비무장지대에서의 韓國측 도발을 문제삼고 나서 그 의도가 무엇인지 관심이다.북한은 관영 중앙방송및 당기관지 노동신문을 통해 金

    중앙일보

    1994.08.29 00:00

  • 휴전 41년만에 첫 “완전 휴전”

    ◎북,대남확성기 비방 중단…심리전 방송 안보내/우리측도 자제 김 장례식이후 계속될지 관심 1백55마일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대치한 남과 북이 53년7월27일 휴전협정 조인이후 41

    중앙일보

    1994.07.11 00:00

  • 대남방송 김정일 찬양/“각하”호칭 이례적 사용/북철탑에 조기

    김일성의 갑작스런 사망소식이 전해진 9일오후 휴전선 부근 북한지역에는 대남선동방송이 중단되고 조기가 게양되는등 변화가 나타났으나 북한군의 특이한 움직임은 없었다. 경기도 파주군 장

    중앙일보

    1994.07.10 00:00

  • 고향방문은 어찌 되나…/휴전선인근 실향민 한숨

    ◎정상회담 무산에 실망스러운 표정 보여/임진각엔 주말인데도 방문객 발길 뜸해 『김일성이 죽었다고 크게 달라질 것도 없죠.오히려 이럴때일수록 국민 모두가 차분하게 앞으로 상황을 잘

    중앙일보

    1994.07.10 00:00

  • 김일성사망,휴전선인근 실향민 한숨

    『金日成이 죽었다고 크게 달라질 것도 없죠.오히려 이럴때일수록 국민 모두가 차분하게 앞으로 상황을 잘 지켜봐야할 것 아닙니까.』 태풍의 중심지는 오히려 조용했다. 엎어지면 코 닿을

    중앙일보

    1994.07.10 00:00

  • 협상위해 강경 과시/북언론,한미비방 왜 계속하나

    ◎과거 접촉때도 중단안해… 김정일위상 강화용도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예비접촉(28일)과 북―미 3단계 고위급회담(7월8∼11일)을 눈앞에 둔 요즘 북한 당국자들의 대남·대미비난 발언

    중앙일보

    1994.06.25 00:00

  • 가서본 휴전선-북한 도발징후는 없었다

    국토를 가로지르는 군사분계선 너머로 開城 송악산과 진봉산,그오른쪽으로 1백58m 높이의 거대한 人共旗塔이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西部전선 도라전망대. 가을걷이가 끝난 논에서 소형 차

    중앙일보

    1993.11.15 00:00

  • “휴전선 공기 썰렁해도/전쟁은 공연한 걱정”

    ◎핵문제 싸고 북녘서 신경전/초병끼리 안부·농담 사라져/최전방 6백m 앞에서 바라본 북한/“무력남침”엄포방송도 하지만/부대이동 등 도발조짐은 없어 봄은 성큼 다가왔는데 바람결은 아

    중앙일보

    1993.03.20 00:00

  • (102)10·26으로 역전됐다|중정-보안사 힘 겨루기

    1978년 여름, 최전방 모 사단의 철책선 근무부대에서 큼직한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는 물론 지금까지도 일반국민에게는 전혀 알려지지 않은 사건이었다. 비무장지대를 지키는 대대장(중

    중앙일보

    1992.11.20 00:00

  • 남북 교류 향한 전문가들 제안 (3)|"정치성 배제 프로 공동 제작부터…"

    통일에 한발짝 다가서기 위한 방송 교류의 중요성은 곧잘 독일 통일의 예에 비유된다. 통독 과정에서 그랬듯 우리 역시 방송의 상호 개방이 통일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는 데에는 이론이

    중앙일보

    1992.01.13 00:00

  • 북한 대남방송 부드러워졌다/「합의서」이후 어떻게 달라졌나

    ◎“친미파쇼세력”등 직접비방용어 자제/“돈잔치선거”비난… 아직은 더두고 봐야 남북합의서 채택이후 북한의 대남 심리전 방송이 조금씩 달라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4일 국방부에 따

    중앙일보

    1992.01.0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