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서삼릉 胎항아리 일제가 바꿔치기

    일제(日帝)가 우리의 민족정기 말살을 위해 전국의 조선왕가 태실(胎室)을 서삼릉(西三陵)지역으로 이장하면서 태실내의 태항아리(胎壺)를 바꿔치기한 사실이 밝혀졌다.문화재관리국은 15

    중앙일보

    1996.03.16 00:00

  • 16.서울대모산 헌.인릉

    눈이 내리는 날은 다른 때보다 훨씬 더 산이 그립다.아침부터눈발이 비치기 시작하더니 곧 함박눈으로 바뀐다.하염없이 창밖을보다 그대로 짐을 챙겨 대모산(大母山)을 향한다.내가 사는

    중앙일보

    1996.01.28 00:00

  • 성묘길 공원묘지 인근 가볼만한곳-벽제.충효.천안

    이번 주말은 추석연휴가 이어지는 황금시즌.올 추석연휴는 비교적 짧아 외국에서 즐기려는「해외파」보다 국내에서 차례를 지내며가족.친지끼리 오붓하게 지내려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서울대

    중앙일보

    1995.09.07 00:00

  • 장터여행 경기지역 5일장-성남 모란장.이천 장호원장

    창밖의 햇살은 화사한데도 마사가 귀찮고 삶이 시큰둥해질때 장터로 가는길은 일상의 자세를 가다듬게하고 얼마만틈 활력을 되찾아주는 힘이있다. 아직도 전국 곳곳에서 열려 지나간 세월에

    중앙일보

    1995.04.13 00:00

  • 日젊은이,신흥종교에 왜 빠지나

    지금 일본에서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가.젊은이중 결코 큰 숫자라고 말할 순 없지만 이들에게 새로운 종교가 유행하고 있는 것은 도대체 무엇때문인가. 먼저 두가지를 지적해 두고 싶다.

    중앙일보

    1995.03.27 00:00

  • 서울근교 가볼만한 陵園-광릉,장릉,공.순.영릉,영.효종릉

    싱그러운 바람,부드러운 햇살이 감미로운 봄철에 나들이 장소로손꼽히는 곳이 서울 근교의 능원이다. 조선왕조의 능은 대부분 서울 근교에 자리해 교통도 편리한 편이다. 능원은 대개 아름

    중앙일보

    1995.03.25 00:00

  • 도자기 연구로 박사학위 받은 김영원씨

    『국내 도자기연구에 제가 조그마한 디딤돌이 됐으면 합니다.』국립전주박물관 학예관인 김영원(金英媛.42)씨가 이번 서울대 졸업식에서 도자기연구로서는 국내에서 두번째로 박사학위를 받는

    중앙일보

    1995.02.24 00:00

  • 7.청자투각당초문상자

    도쿄(東京)우에노공원의 한쪽을 널찍하게 차지하고 있는 도쿄국립박물관은 일본국민들로부터 어느 박물관보다 사랑을 받는 곳이다. 지난 1965년 이곳에서 투탕카멘전이 열렸을 때는 1백2

    중앙일보

    1995.02.18 00:00

  • 박홍총장 발언파문을 보며

    북녘에서는「큰 장사」를 지냈는데 남녘에서는 응당 있을법한 상반됨직한 두장의「祭 金日成 文」이 아직 없다. 전날엔 산 사람을 모시는 生祠堂을 세워 치적을 기렸는가 하면,죽지 않았는데

    중앙일보

    1994.07.25 00:00

  • 한명회役-이덕화

    권력에 미친 전형적인 간신,뛰어난 정치감각을 지닌 개혁의 주체.조선조 단종에서 세조.예종.성종에 이르기까지 4대에 걸쳐 활약하며 영의정까지 지냈던 한명회에 대한 평가는 이렇게 엇갈

    중앙일보

    1994.05.09 00:00

  • 광릉 수목원.봉선사-전나무 내음 만추가 물씬

    만추,가을의 끝이다.계절이 바뀔 때마다 느끼는 것은 아쉬움일것이다.가을이 다 가기 전에 나들이라도 나서고 싶은 사람들은 이번 주가 최적일 듯 싶다.가을의 숲은 수북이 쌓인 낙엽만큼

    중앙일보

    1993.11.12 00:00

  • (58·끝)-시인 이근배|「훈민정음」의 성지 영릉

    우리 민족은 왜 위대한가, 우리 역사는 무엇 때문에 자랑스러운가, 이런 물음 앞에서 우리는 한 임금의 이름을 떠올리게 된다. 오늘 세계 50억의 인류 속에서 반만년 역사를 안고 살

    중앙일보

    1993.02.28 00:00

  • 자기의 고향 여주 대자연속 선인 손맛 감상

    바야흐로 소설(22일)이 다가오면서 날씨는 초겨울문턱을 성큼 넘어섰다. 낙엽도 지고 아직은 함박눈을 보기 힘든 계절. 이즈음 주말을 활용해 문화탐방으로 여주·이천 도요지에 테마 여

    중앙일보

    1992.11.22 00:00

  • (49)서거정의「문장보국」피어나는 연수재

    내가 태어난 이 나라 이 땅, 나라사랑을 시로 써 몸바친 시인이 있었다. 국토의 방방곡곡, 산과 물을 찾아 남북 3천리동서 5백 리를 시로 누빈 시인이 있었다. 사가정 서거정은 이

    중앙일보

    1992.08.23 00:00

  • 여성 정상회담(분수대)

    우리역사를 통틀어 신라시대만큼 여권이 제도적으로 확립된 시기는 없었던 것 같다. 품계제도로서 모계가 부계 못지않은 지위를 인정받았다거나,화랑의 정신이 원화로부터 출발되었다거나 하는

    중앙일보

    1992.02.10 00:00

  • 팁(분수대)

    고려 예종은 기생 영롱과 일은에게 자주 비단 등의 물품을 하사했다.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팁이었다. 당시 기생은 모두 국고로 월급을 주는 관기였으니까 별도의 팁이 필요없었지만 재

    중앙일보

    1991.09.14 00:00

  • 극일의 길은 미래에 있다(사설)

    8·15 해방의 날을 맞을 때마다 우리는 일제 36년간 우리 민족 모두가 겪었던 고통과 모욕을 되씹고,지금까지도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한 동포들의 억울함을 풀어줄 길을 생각하게 된

    중앙일보

    1991.08.15 00:00

  • 남소문(분수대)

    기록을 보면 서울 장안을 병풍처럼 둘러 싼 도성의 총길이는 9천9백75보였다. 1보가 6척이니 요즘 척도로 치면 약 17㎞가 되는 셈이다. 성벽의 높이는 일정하지는 않았지만 대충

    중앙일보

    1991.07.02 00:00

  • (30)-가사문학의 효시 정극인 불우헌

    노래로 태어난 사람이 있었다. 노래로 생겨난 땅이 있었다. 노래로 한 시대를 달래며 어질고 꼿꼿한 마음을 노래의 샘물로 길어 올린 불우헌 정극인. 그가 이 나라 가사문학의 첫 장인

    중앙일보

    1991.06.30 00:00

  • 물리학자가 「무자비」 연구 몰두 경희대 최경석 교수

    무자비에는 왜 글자가 없는가. 국내에 있는 무자비는 과연 누구의 것인가. 역사학자들마저 명확한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는 글자 없는 비에 대한 수수께끼를 한 물리학자가 파헤치고 있어

    중앙일보

    1991.06.18 00:00

  • (148)-아산 장씨

    우리나라 장씨의 시조는 장서다. 지나 송나라의 대장군으로 고려 초 귀화해 한국인이 되었다. 이후 7백여년, 후손들이 이땅에 뿌리를 깊이 내려 남한에만 2천5백여 가구, 성별 인구순

    중앙일보

    1985.08.24 00:00

  • (135)죽산 박씨

    죽산 박씨는 신라 첫 임금 박혁거세를 시조로, 고려 공신 박기오를 득관조로 한다. 박기오는 신라 29대 경명왕의 8왕자 중 넷째 언립(죽성대군)의 아들이라고 박씨네 족보는 밝힌다.

    중앙일보

    1985.04.13 00:00

  • 「매죽문곤」등 고청화백10점 공개|호암미술관, 1일부터 최대규모 「조선백자전」

    호암미술관은 올해 특별기획으로 4월1일부터 7월31일까지 조선백자전 (전기청화백자)을 연다. 조선전기(1392∼1650년)의 청화백자 1백10여점을 내놓는다. 명품 백자1백여점이

    중앙일보

    1985.03.30 00:00

  • 하음봉씨(글 심창욱기자 사진 조강현기자)

    하음봉씨의 시조는 고려 인종때 좌복사(정일품)에 오르고 하음백에 봉해진 봉우다. 그의 출생에 대해서는 다음과같은 탄강(탄강)실화가 전해내러온다. 1107년(예종2년)어느날, 경기도

    중앙일보

    1985.01.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