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들 매력느낄 '이것'' 산업도시에 필요…집단지성 빛난 '울산포럼'
'2023 울산포럼'이 14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김윤호 기자 일본 도쿠시마현(德島縣) 가미야마쵸(神山町)는 6000여명이 사는 산골 마을이었다. 그런데 몇 년 전부터
-
한국도레이 과학기술상에 장영태·문주호 교수…상금 1억씩
장영태 포스텍 화학과 교수. 사진 도레이첨단소재 한국도레이과학진흥재단은 제6회 한국도레이 과학기술상 수상자로 ▶화학·재료 기초 분야 장영태 포스텍 화학과 교수 ▶응용 분야 문
-
용적률 360%로 설계 논란…서울시·조합 강대강 대치
━ 압구정 3구역 재건축 갈등 심화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일대의 모습. 압구정 3구역은 서울시의 신통기획으로 재건축을 추진 중이다. [연합뉴스] 서울의 재건축
-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땅속 경부고속도로’ 3가지 방안…“양재IC 퍼즐부터 맞춰야”
강갑생 교통전문기자 총연장 400㎞가 넘는 경부고속도로(이하 경부선)는 1970년 개통했다. 이후 5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경부선은 확장과 선형 개량 등 여러 변화를 겪었다. 그
-
경부고속도로, 지하로 뚫겠다는데…"양재IC 혼란 올 수도" 왜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경부고속도로 기흥IC~양재IC 구간은 상습정체 구간으로 악명이 높다. 뉴스1 총연장이 400㎞를 넘는 경부고속도로(이하 경부선)는 1970년 개통했다. 이후 50년이 넘는 세월
-
옷·취미용품서 와인까지 보관…도심 미니창고 대여 바람
━ 인기 끄는 ‘셀프 스토리지’ 신사동 한 건물 지하에 위치한 와인스토리지엔 각 유닛마다 개인이 보관 중인 와인병이 100병 넘게 가득 차 있다. 신수민 기자 33㎡(10
-
[비즈 칼럼] 에너지 빈국에서 기업만 ‘고군분투’ 안 된다
김진수 한양대 자원환경공학과 교수 지난 1월 불거졌던 ‘난방비 대란’은 글로벌 에너지 수급 전쟁의 영향력을 새삼 실감케 했다. 글로벌 3대 액화천연가스(LNG) 수입국인 한국이
-
술독 빠진 가난한 용접공…대학교수 만들어 준 책 1권 유료 전용
경계를 넘어야 해요. 그래야 새로운 질문이 생깁니다. 유영만 한양대 교육공학과 교수에게 “인생을 바꾸려면 무엇을 해야 하냐”고 묻자 이렇게 답했다. 그에게 이런 질문을 한 데
-
‘2차전지’ 한계를 뛰어넘은 선구자
━ 제14회 홍진기 창조인상 수상자 제14회 홍진기 창조인상 홍진기 창조인상은 대한민국 건국과 산업 발전기에 정부·기업·언론 분야에서 창조적인 삶을 실천하는 데 힘을
-
가천대, 산자부 ‘에너지인력양성 해외연계 사업’ 선정
가천대학교 기계공학과 정재호 교수팀과 한양대학교 원자핵공학과 송민섭 교수팀이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주관하는 ‘에너지인력양성(R&D) 해외연계 사업’에 최근 선
-
[단독] "누리호 위성, 충돌 위험 크다…비좁은 550㎞ 지구궤도"
━ [최준호의 사이언스&] 위성간 충돌 현실화할까 영화 승리호에 등장한 우주쓰레기.최근 군집위성의 연이은 발사로 SF영화 승리호의 상상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사
-
"에코프로, 초격차 기술 없다"…'배터리 박사'들의 팩트 체크
━ 2차전지연구소-선양국·박철완 “K배터리는 의심할 여지없이 세계 최고다. 세계에서 가장 좋은 주식이다.” 최근 온라인상에서 큰 호응을 받는 주장이다. 한때는 이런 주장에
-
2차전지 주식 뭘 살까요…배터리 박사들 답은?
━ 2차전지연구소-선양국·박철완 “K배터리는 의심할 여지없이 세계 최고다. 세계에서 가장 좋은 주식이다.” 최근 온라인상에서 큰 호응을 받는 주장이다. 한때는 이런 주장에
-
“에코프로 초격차 기술 없다” 두 배터리 박사의 ‘팩트체크’ 유료 전용
■ 🔋2차전지연구소 「 ‘2차전지 연구소’는 이런 독자들에게 추천합니다. 미래가 유망한 산업에 투자하고 싶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 애널리스트 보고서는 읽어도
-
반도체·AI학과 1829명 증원…수도권대 817명, 23년 만에 늘어
정부가 내년부터 반도체·인공지능(AI) 등 대학 첨단학과 학부 정원을 1829명 늘리기로 했다. 지난해 6월 윤석열 대통령이 반도체 인재 양성을 주문한 지 약 10개월 만이다.
-
AI·반도체 ‘첨단학과’ 정원 늘린다…서울대도 30년만에 순증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6월 7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반도체 포토마스크를 보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정부가 내년부터 반도체·인공지능(AI) 등 대
-
0.1% 석학 13명 만나봤다, 그들도 몰랐던 성공 코드 유료 전용
‘0.1%를 만나다’는 지금까지 13명의 K석학을 만났다. ‘논문 인용’이라는 객관적인 수치로 자기 연구 분야에서의 영향력이 세계 상위 0.1%라는 평가를 받는 HCR(Highl
-
LG화학·한양대 산학협력센터 설립…"미래 전지소재 인재 육성"
LG화학은 한양대와 전지소재 산학협력과 우수인재 육성을 위한 업무제휴 협약서(MOU)를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11일 체결된 협약에 따라 LG화학과 한양대는 산학협력센터
-
한양대에 수백억 안겨준 'K배터리 명인'…"중국 봐라" 섬뜩 경고
━ [0.1%를 만나다] 선양국 한양대 교수 선양국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교수가 학교 실험실에서 학생들을 격려하고 있다. 강정현 기자 국내 모든 대학이 개발한 기술을 기업
-
“이젠 중국이 앞섰다, K배터리 정신차려야”
━ [0.1%를 만나다] 선양국 한양대 교수 선양국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교수가 학교 실험실에서 학생들을 격려하고 있다. 강정현 기자 국내 모든 대학이 개발한 기술을 기업
-
한양대에 수백억 안겨줬다…배터리 수명 마술사, 선양국 유료 전용
국내 대학들이 개발한 기술을 기업 등에 넘겨주고 받는 수익은 연간 1000억원 정도다. 연도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략 KAIST가 연간 80억원 안팎, 서울대가 70억원 안팎의 수
-
GSAT 두 번 보는 이유 있네…삼성 신입 채용의 치밀함 유료 전용
“기업의 본분은 고용 창출과 혁신, 투자입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고용 창출입니다. 제가 직접 챙기겠습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020년 2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코로
-
‘수명 30% 연장’ K배터리 원천기술 만들다
━ [0.1%를 만나다] 조재필 교수 전기차 배터리 실험장비를 살펴보는 조재필 UNIST 교수. 송봉근 기자 충전해 재사용하는 배터리, 즉 이차전지 기술은 세계적으로 한·
-
‘30% 수명연장’ 꿈 이뤘다…K배터리 선봉장, 조재필 유료 전용
배터리가 없는 삶을 생각할 수 있을까. 휴대전화나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전기자동차까지. 현대인의 하루는 배터리 충전으로 시작해 방전으로 끝나는 것일지도 모른다. 충전해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