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사람 사람] "10여년간 세계 곳곳 훑고 다녔어요"

    '새 박사' 원병오(74) 경희대 명예교수가 최근 야생 수금류(水禽類)의 생태와 보호관리에 관한 내용을 집대성한 '자연 생태계의 복원과 관리'(다른세상)란 저서를 펴냈다. 10년

    중앙일보

    2004.07.16 18:19

  • [북한에 다녀왔습니다] 대만제 486컴퓨터로 자료 검색

    재학생 1만2천명에 교원 5천여명 중앙일보는 지난 6월 한달 동안 두차례에 걸쳐 방북(訪北)취재 기회를 가졌다. '남북연합 예배'를 위한 한민족복지재단 소속 회원들의 방북(14~1

    중앙일보

    2004.04.28 01:52

  • [북한에다녀왔습니다] 대만製 486컴퓨터로 자료 검색

    중앙일보는 지난 6월 한달 동안 두차례에 걸쳐 방북(訪北)취재 기회를 가졌다. '남북연합 예배'를 위한 한민족복지재단 소속 회원들의 방북(14~18일)과 북한 지원 물품의 모니터

    중앙일보

    2002.07.18 00:00

  • [내 마음속의 공간1번지] 20. 새 그리고 아버지

    최근 내가 가장 시간을 많이 보내는 곳은 국제환경과학연구소의 내 연구실이다. 발족된 지 얼마 안된 탓에 처리해야 할 업무가 많을 뿐더러, 아직은 완전히 제 모습을 갖추지 못한 사무

    중앙일보

    2001.05.23 00:00

  • [이산가족 현대사] 上. 굴곡의 역사가 남긴 50년 한

    도쿄(東京)올림픽 개막을 하루 앞둔 1964년 10월 9일 도쿄 조선회관. 북한 육상선수로 출전한 신금단(辛今丹.당시 26세)씨와 딸을 만나기 위해 서울에서 온 아버지 신문준(辛文

    중앙일보

    2000.08.11 00:00

  • [고은의 북한탐험]10.황해도의 빈 길

    비가 온 뒤의 아침은 종교적으로 청정했다. 공기는 사뭇 달고 풍경은 그 속사정이야 어떤지 모르나 생기를 뿜어냈다. 눈에 들어오는 사물들은 방금 새겨낸 조각처럼 분명했다. 내 마음도

    중앙일보

    1998.10.15 00:00

  • 올봄 출판되는 대형기획물

    봄은 약동의 계절. 동토 (凍土) 를 힘차게 뚫고 나오는 새싹처럼, 얼어붙은 수면 깊숙이 끝없이 흐르는 강물처럼, 올 봄에도 오랫동안 땀과 정성을 들인 대형 기획물이 독자들을 찾아

    중앙일보

    1998.02.20 00:00

  • SBSTV "철새들의 안전지대,탈란섬"

    □…SBS-TV 『철새들의 안전지대,탈란섬』(저녁7시)=우리나라에 오는 겨울철새들이 집결하는 군락지인 시베리아 연해의 탈란섬(사진)을 집중조명하는 신년특선 자연다큐멘터리. 공해에

    중앙일보

    1996.01.05 00:00

  • 천연기념물 원색도감 나왔다

    산업화 속에서 그동안 소외됐던 우리 나라 생태계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원색도감이 최근 출간돼 관심을 끌고 있다. 우리의 옛것을 찾아 주로 출판하고 있는 대원사가 천연기념물로 지

    중앙일보

    1993.02.19 00:00

  • 학술교류 북한접촉 모두 허용

    정부는 27일 이홍구통일원장관 주재로 외무· 문교· 상공부등 관계부처 차관들이 참석한 가운데 남북교류추진협의회를 열고 최근 잇따르고 있는 각 대학의 남북학술교류를 위한 북한접촉

    중앙일보

    1989.10.27 00:00

  • 서로 다른 표적 "조준"…낙관금물|잇단 남북접촉… 어떻게 봐야 하나

    최근 남북대화와 교류신청이 러시를 이루고 있다. 이런 현상은 자칫 남북한간에 대립과 갈등이 완화되고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킬 지경이다. 그러나 실제는 남과 북이 기존의 원칙을

    중앙일보

    1989.10.27 00:00

  • 교수 잇단 방북신청 북한 학자들 초청도

    「추진 위」에 2건 접수 정부의 남북한간 학술교류허용 방침에 따라 남북교수· 학술교류추진위원회 (위원장 홍승직 고대교수) 에 교수들의 북한학자 초청 및 방북신청이 잇따르고있다. 2

    중앙일보

    1989.10.26 00:00

  • 종교없는 북녘에서 일요예배

    【평양∥합동취재단】분단 40년만에 북녘땅에서 처음으로 공개적인 기독교예배와 가롤릭미사가 올려져 종교가 없는 땅에 복음의 찬송과 기도가 메아리쳤다. 평양방문 사흘째인 22일 주일을

    중앙일보

    1985.09.23 00:00

  • 휘귀조 떼지어 "내방"…겨울난다|낙동강에 흰갈매기·달성엔 흑두루미

    전국을 엄습한 혹한속 낙동강하구와 경북달성군에서 세계적 희귀조인 흰갈매기와 천연기념물 2백28호로 지정된 흑두루미가 각각 날아들어 월동중인 사실이 확인돼 조류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중앙일보

    1985.01.16 00:00

  • 낙동강 개발 중지 촉구결의|사실여부로 논란

    『국제자연보호연맹(IUCN·본부 스위스)의 「낙동강하구개발중지 촉구결의」는 사실인가, 거짓인가』-. 국내최대의 철새도래지인 낙동강하구의 댐건설공사를 둘러싸고 국내에서 찬·반이 엇갈

    중앙일보

    1981.11.07 00:00

  • 한밤중 호텔에 나타나 죽이겠다 북괴, 방 소 한국 학자 위협

    소련에서 열린 국제 자연 보존 연맹(IUCN) 총회에 참석했던 한국 대표단 이민재(강원대 총장)·홍순우(서울대 교수)·김헌규(전 이대 교수)·원병오(경희대 교수)씨 등 4명은 회의

    중앙일보

    1978.10.07 00:00

  • 대규모 자연박물관 개관 경희대에, 한국최초로

    우리나라 최초의 대규모 자연박물관이 경희대학교에 설립됐다. 연건평 1천여평의 6층 건물에 현대식 시설을 갖추고 지난13일 개관한 이 박물관은 총1만6천3백점의 암·광물·조류·곤충류

    중앙일보

    1978.06.16 00:00

  • 주한 미국여인이 확인

    인천에서의 두루미발견은 우리나라에 와 있는 미국인들의 역할도 많았다. 한국두루미 보호위원회(회장 원병오)의 부회장직을 맡고있는「루스·에드워즈」여사 (53)는 경인「에너지」에 근무하

    중앙일보

    1976.11.25 00:00

  • 세계적 희귀종도 발견|전남 조계산 일대의 자연자원|한국 자연 보존협 학술조사결과

    한국 자연보존협회(회장 이덕봉)는 전남 성주군 조계산(해발889m)일대에 분포하고있는 각종 자연자원을 조사하기 위해 종합학술조사단(단장 박만규)을 편성, 지난7일부터 l0일까지 조

    중앙일보

    1976.08.12 00:00

  • 소쩍새와 두견새는 다르다

    낮에 우는 두견이와 밤에 우는 소쩍새는 모양과 크기가 염연히 다르다. 그러나 고시조나 고사에서는 두 새가 같은 새로 혼동되었고 문교부 발행 고교3년 국어교과서(국문학의 전통)와 시

    중앙일보

    1973.04.16 00:00

  • (349)|고고한 길조 황새와 두루미

    황새와 두루미가 옛 보금자리를 찾아오고 있다. 긴 다리에 하얀 몸집을 가진 황새와 두루미는 고매한 기상과 우아한 기품을 느끼게 하여 예부터 평화의 상징인 길조로 알려져 있다. 마

    중앙일보

    1973.03.09 00:00

  • 천연 동·식물의 보고…세계적인 관광지 감

    문공부 문화재관리국은 5일 민통선 인접지역 자연종합학술조사결과 3개의 천연보호구역과 2개의 천연기념물을 지정후보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한국자연보존연구회(회장 강영선·서울문리이대교

    중앙일보

    1972.12.08 00:00

  • 수난속의 천연기념물|황새 죽음을 계기로 본 그 실태

    세계적인 보호조이며 천연기념물 199호로 지정돼 있는 황새 1쌍이 충북 음성의 두메 마을에 홀연 나타났다는 소식은 큰 기쁨으로 전해졌는데 이어 그 한마리가 사냥꾼의 총에 맞아 죽은

    중앙일보

    1971.04.08 00:00

  • 황새 죽인 범인 자수|짝 잃은 암놈…알 버려 둔 채 둥우리 떠나고…

    6일 상오 황새 수놈을 쏘아 죽인 일요 낚시회 소속 이용선씨 (46·서울 성동구 신당동 290·성동 방앗간 주인) 가 경찰에 자수했다. 이씨는 지난 4일 상오 10시10분쯤 충북

    중앙일보

    1971.04.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