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韓·中 문화교류의 대동맥:山海關 열린 문엔 韓流 흐르는데…

    선양을 떠나 헤이산(黑山)을 거쳐 의무려산(醫巫閭山)이 있는 베이닝(北寧)으로 향하는데 랴오허(遼河)를 건너면서 우리는 요서(遼西) 땅으로 넘어선 것이었다. 요서평야 또한 광활하

    중앙일보

    2002.10.04 00:00

  • 남측 3백여명 평양 한복판서 예배 北,방해 않고 5시간 지켜봐

    지난 14일부터 18일까지 평양을 방문했던 한민족복지재단(이사장 崔弘俊·부산호산나교회 목사)의 방북단은 남북관계사에 보기 드문 기록과 장면을 연출했다. 우선 절대다수가 기독교인으

    중앙일보

    2002.06.20 00:00

  • 녹지속에 건설 '환경도시 평양' 탈바꿈

    평양의 모습이 바뀌고 있다. 재일조총련 기관지인 조선신보는 최근호에서 평양특파원의 말을 인용, "도시의 면모를 완전히 바꾸려는 거센 열풍이 평양에 불고 있다" 면서 "자연친화적 도

    중앙일보

    2001.06.26 00:00

  • [한반도 평화의 길] 북한 제3의 도시 개성은…

    고려 5백년 도읍지 개성은 북한 제3의 도시다. 평양에서 고속도로로 1백90㎞, 서울에서 78㎞ 떨어져 있어 한반도의 중앙부라 할 수 있다. 판문점에서 개성 도심까지는 불과 12㎞

    중앙일보

    2000.09.22 00:00

  • [평양 명소들]

    1. 만수대의 사당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정상회담 장소로 유력한 만수대의사당은 남쪽의 국회의사당에 해당하는 최고인민회의 건물. 1984년 10월 건립된 의사당은 지

    중앙일보

    2000.06.08 00:00

  • 남북 연맺은 평양 명소들

    평양 곳곳에는 남북대화와 교류에 얽힌 명소(名所)들이 있다. 북한은 평양을 '혁명의 수도' 로 꾸며놓았지만 우리측 인사들에게는 유서 깊은 고도(古都)로 기억된다. 남북 정상회담 대

    중앙일보

    2000.06.08 00:00

  • [월간중앙] ‘한반도의 뇌관’ 人間 김정일

    한반도의 절반을 통치하고 있는 북한 최고권력자 김정일. 그 김정일이 6월12일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장에서 마침내 김대중 대통령과 대좌한다. 우리의 운명을 바꿀 수도 있는 역사적 대

    중앙일보

    2000.06.02 10:19

  • [김영희대기자의 투데이] 바이츠제커의 충고

    동.서독이 통일된 1990년 당시 행운의 대통령은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였다. 밖으로는 이웃나라들이 유럽의 중심부에 거대한 통일독일이 등장하는데 다시금 불안을 느끼고, 안으로는 베

    중앙일보

    2000.05.17 00:00

  • [김정일의 북한… 지금 변화중] 4. 서해안시대를 연다

    함박눈이 내리던 지난 2월 3일 남포시 항구동. 김용순(金容淳)아태평화위원장은 평화자동차종합공장 착공식 현장에서 상기된 표정으로 입을 열었다. "15년 안에 '세계에서 자동차 잘

    중앙일보

    2000.04.27 00:00

  • [김정일의 북한…지금 변화중] 4. 서해안시대를 연다

    함박눈이 내리던 지난 2월 3일 남포시 항구동. 김용순(金容淳)아태평화위원장은 평화자동차종합공장 착공식 현장에서 상기된 표정으로 입을 열었다. "15년 안에 '세계에서 자동차 잘

    중앙일보

    2000.04.26 18:18

  • [日 아에라지가 쓴 정상회담 시나리오]

    아사히(朝日)신문사가 발행하는 주간 아에라지 최신호가 남북정상회담의 시나리오를 게재했다. 다음은 그 요약. (6월13일)구름 한점 없는 평양의 중심부 김일성 광장은 인파로 메워졌다

    중앙일보

    2000.04.18 00:00

  • '라니냐 겨울' 영동 눈 많이 내려

    예년보다 한달 이상 빨리 영동지방에 폭설이 내려 유난히 춥고 눈 많다는 '라니냐 겨울' 을 실감케 하고 있다. 지난달말에 이어 두번째인 영동지방 폭설은 평년의 경우 1월 중순부터

    중앙일보

    1998.12.03 00:00

  • [올 겨울 왜 추워지나]예년보다 0.5도 낮아져

    금세기말 최악의 기상 재난을 몰고 올 것으로 예측됐던 라니냐 현상이 실체를 드러내고 있다. 이달 들어 1백30명이 넘는 사망자를 내면서 유럽 전역에 몰아닥친 살인적 한파는 라니냐가

    중앙일보

    1998.11.26 00:00

  • [북녘산하 북녘풍수]18.평양의 풍수 비보

    임진왜란 당시 왜장 고니시 유키나가 (小西行長) 와 명나라 심유경 (沈惟敬) 이 강화를 위한 담판을 벌이기도 했던 연광정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사실 풍수 비보 (裨補)에 있다. 물

    중앙일보

    1998.06.20 00:00

  • 김병호씨, 장편역사소설 '고구려를 위하여' 출간

    우리의 잃어버린 역사, 고구려 혼의 마지막 불꽃 이정기 장군의 일대기를 담은 김병호 (金炳豪) 씨의 장편역사소설 '고구려를 위하여' (하서刊)가 출간됐다. 이순신과 을지문덕 장군에

    중앙일보

    1997.07.22 00:00

  • 평양에 소변활용 공장 - 녹십자, 북한과 합작합의

    평양시내 중심부에 한국투자기업이 들어선다. 지난달 31일부터 7일까지 북한을 방문하고 돌아온 허영섭(許永燮)녹십자회장은 11일“동평양지구에 유로키나제 생산공장을 설립하기로 북측 합

    중앙일보

    1997.06.12 00:00

  • 上.제자 김정일의 홀대에 주위서 동정

    “그는 그 흔한 김정일(金正日)의 비밀파티에도 초청받지 못했다.성격이 워낙 깔끔한데다 김정일과의 사이도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북한 고위간부였다 귀순한 한 인사는 김일성(金日成)

    중앙일보

    1997.02.14 00:00

  • 北 쌀 어떻게 처리할까-中.러産 강냉이와 바꿀 가능성

    나웅배(羅雄培)통일 부총리가 21일 발표한 남북 쌀회담 발표문 가운데 눈길을 끄는 대목이 있다. 우리쌀을 청진.나진항으로 운송한다는 대목이다. 항구로 치면 원산이나 남포등이 훨씬

    중앙일보

    1995.06.23 00:00

  • 平祝취재 日기자가 본 평양-너무 조용해 서울 소음 그리워

    평양은 티끌하나 떨어져 있지않고 차소음도 들을수 없는 깨끗하고 조용한 도시다. 너무 청결하고 조용해 지난해까지 거주한 혼돈과소음의 서울이 그리울 정도다. 기자는 평화를 위한 평양국

    중앙일보

    1995.05.10 00:00

  • 金日成시신 대성산에 매장-"혁명열사릉"金正淑묘 근처 유력

    북한은 김일성(金日成)시신을 미이라 형태로 보존하는 대신 오는 7월께 평양 근교 대성산의 혁명열사릉에 매장키로 했다고 18일 서방측 한 소식통이 밝혔다. 최근 평양을 방문한 이 소

    중앙일보

    1995.03.18 00:00

  • 경수로지원등 입장교환-北.美 베를린.평양회담 진행

    [베를린=劉載植특파원]제네바 고위급회담 합의에 따른 부속 실무협상인 北-美간 전문가회담이 10일 평양과 베를린에서 각각 개막돼 경수로지원문제등을 논의했다. 평양의 北-美간 관계개선

    중앙일보

    1994.09.11 00:00

  • 괴전단살포된 평양 외교공관단지는 어떤곳인가

    「金正日을 타도하자」는 내용의 怪전단이 지난 19일밤부터 20일 새벽사이 다량살포돼 주목을 끌고 있는 平壤의「외국공관단지」(일명 외교단지)는 평양 변두리 문수동 일대에 자리잡고 있

    중앙일보

    1994.08.24 00:00

  • 공산당분국 창설(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0)

    ◎국내파에 견제당하는 김일성 대회기간 내내 박헌영측과 심한 갈등/소서 추천한 김용범이 책임비서 맡아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의 등장은 북한의 정치적 전환점이었다. 이전까지 김일성의 권

    중앙일보

    1991.09.26 00:00

  • 8억식구 먹여살리기 바쁘다(흔들리는 인도:3·끝)

    ◎정부주도 경제로 성장 한계/심한 빈부차 85%가 빈곤층 인도는 농업위주의 자급자족 경제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8억4천만 인구를 먹여 살리는 것은 인도경제의 중심과제일 수 밖에 없

    중앙일보

    1991.05.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