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술은 어느 정도나 마시는게 좋은가

    옛날 중국의 한 문인은 자기가 죽거든 화장을 해서 술독을 빚는 흙에 묻어 달라고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신신당부했다고 한다. 죽어서 술을 담는 술독이 되면 이제 마누라의 바가지 긁는

    중앙일보

    1978.12.07 00:00

  • 농경지의 중금속오염

    정부는 농작물과 농경지에 대한 중금속 허용기준치를 마련하기 위해 전국농경지를 용도별 및 작물별로 구분, 오염실태정밀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 한다. 우리가 상식하는 곡물·과실·채소 등

    중앙일보

    1978.05.27 00:00

  • (2)50대 이후의 건강을 위협하는 전립선 비대증

    50대 이후에 요의 방출 력이 느닷없이 약화되면『이제 나도 어쩔 수 없이 늙어 버렸구나』하고 탄식한다. 잦은 요의 때문에 밤에 자주 잠을 깨게 되면 사람들은 새삼 노경에 접어든 자

    중앙일보

    1977.02.10 00:00

  • (상)짜게 먹는 습관이 문제

    서양인에게 고혈압이 흔한 것은 지나치게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그다지 육류를 섭취하지 않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고혈압이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중앙일보

    1976.10.05 00:00

  • 건강한 노후를 위해 적당한 운동을…|이문호·이상종 박사의 조언

    기온이 내려가면 추위를 많이 타는 노인들의 활동범위는 자칫 집안으로 한정되기 쉽다. 종일토록 실내에서 맴돌다 보면 어느덧 소화불량·변비·불면증 등에 걸려 고통을 받게되는 경우가 많

    중앙일보

    1975.10.28 00:00

  • (321)-호박은 중풍을 예방한다

    예부터 동지에 호박을 먹으면 중풍에 걸리지 않는다든가, 장수한다는 속설이 전해진다. 노년기의 가장 두려운 질환으로 중풍이 손꼽혔었다. 아무렇지도 않던 사람이 하룻밤사이에 수족을 못

    중앙일보

    1975.06.03 00:00

  • (309)-양파는 건강만점을 보증한다

    의료계의 원로 K박사가 70을 바라보는 나이답지 않게 홍안을 자랑하며 정력적인 나날을 보내는 것이 아마도 벌꿀에 들깨 버무린 것을 장복한 탓이 아니겠느냐는 내용이 본 난을 통해 보

    중앙일보

    1975.04.07 00:00

  • 일본 전국에 파급되고 있는 반 유색음료 캠페인

    『유색음료는 팔지도, 마시지도 말자』-. 지금 일본 경도대학을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는 소비자운동의 「슬로건」이다. 이와 같은 「유색음료 안팔기·안사기 운동」은 지난번 발암설로 사용

    중앙일보

    1974.12.20 00:00

  • (244)백혈병은 사형선고가 아니다.

    현대의학이 발전하는 속도는 의학을 전공하고 있는 의사들조차 놀랄 정도로 빠르다. 이에 따라 각종 질병에 대한 개념도 하루하루 달라져 가고 있다. 지금껏 불치병이라고 알려진 암만 하

    중앙일보

    1974.11.18 00:00

  • (223)콩팥관리의 3대 원칙

    아무리 좋은 집일지라도 하수구가 막혀버리면 집안이 엉망이 돼버린다. 콩팥(신)은 우리 몸의 하수구. 혈액 중의 찌꺼기(노폐물)를 걸러내어 요라는 형태로 배설시킴으로써 혈액을 정화,

    중앙일보

    1974.10.23 00:00

  • 건강 365일 (6)|심장보다는 신장이 더 문제

    심장과 콩팥 (신)은 둘 다 현대 의학의 상징인양 떠들썩했던 장기 이식으로 일반에게 비교적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 심장에 대해서는 건강법이나 주의 사항을 제법 잘 알고

    중앙일보

    1974.04.01 00:00

  • (37)-소금은 두 얼굴을 지니고 있다.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 되라』는 말이 의미하듯 소금은 생명을 유지하는데 없어서는 아니 되는 가장 긴요하고 기본적인 물질이다. 그러나 섭취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오히려 건강을 해쳐

    중앙일보

    1974.03.07 00:00

  • (16)피오줌은 콩팥 병을 뜻하기도 한다

    우리는 흔히 배뇨를 할 때『소변을 본다』고 표현한다. 이러한 표현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알 길 없지만 그러나 건강과 관련해서『소변을 본다』는 표현은 퍽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중앙일보

    1974.02.08 00:00

  • (57)튼튼한 신장에 건강이 깃들인다

    일반적으로 위장을 비롯해서 심장, 허파(폐), 간 등에 대해서는 건강법이나 주의사항이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들 장기의 병적 상태가 어떻게 건강을 해치는지에 대해서도 비교적 널

    중앙일보

    1973.12.22 00:00

  • 방학 동안에 고쳐야할 어린이들의 질병

    방학은 뒤떨어진 실력을 향상시키는 적절한 기회이기도 하지만 오랫동안 결석을 하지 않고선 고칠 수 없는 질병을 고치는데도 안성마춤인 기회이다. 평소에는 선뜻 병원을 찾기 힘든 축농증

    중앙일보

    1973.12.14 00:00

  • (51)물

    물 없는 인간을 생각할 수 있을까. 두말할 나위도 없이 물은 인간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요소이다. 인간의 약 7할은 물이다. 따라서 물은 당연히 건강을 좌우하는 요

    중앙일보

    1973.11.10 00:00

  • (39)빈혈

    피(혈액)는 건강의 신호등이자 생명의 「심벌」이다. 피가 깨끗하지 않고서는 건강을 누릴 수 없다. 피는 산소와 영양분을 운반해주는 생명의 보급선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러 가지 원

    중앙일보

    1973.08.18 00:00

  • 무더위를 이기려면

    오늘은 초복. 며칠째 계속되는 무더위가 고개를 숙일 줄 모르고 기승을 부린다. 무더운 날씨가 계속되면 우리 몸의 체온조절중추가 고장이 나거나 장기들이 기진맥진해져 자칫 건강을 해칠

    중앙일보

    1973.07.13 00:00

  • (11)고혈압과 식이요법|후두통·잦은 피로·무력감 증상

    건강문제를 생각할 때 사람들은 으레 혈압을 연상한다. 그래서 혈압이 높다는 의사의 선고를 마치 시한폭탄을 안겨주는 것처럼 생각하기도 한다. 사실 혈압은 살아있다는 객관적인 증거이며

    중앙일보

    1973.03.13 00:00

  • (7)고혈압에 나쁜 음식

    남부「에콰드르」의「빌카밤바」산악계곡지역은 최근 알려진 장수촌. 이곳에서는 1백세쯤사는것이 그다지 신기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그도 그럴것이 9백명의 주민중 85세이상이 무려 40명이

    중앙일보

    1973.02.27 00:00

  • 식품과 영양 과학적 분석에 의한 건강가이드(25)-동물성 기름

    동물성 기름 중 식용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은 돼지의 지방층에서 분리한 「라드」와 우지, 그리고 고래기름(경유)이다. 부드럽고 맛이 좋기 때문에 식용기름으로 널리 사용되며

    중앙일보

    1972.01.19 00:00

  • 여공사 끝내 숨져

    대연각 화재 때 11시간동안이나 타오르는 불길 속에 침착하게 대처, 목숨을 건졌던 「11층 그 사람」여선영 중국공사(64)가 4일 새벽 2시55분 끝내 사망했다. 여 공사는 11층

    중앙일보

    1972.01.04 00:00

  • 상반된 경악…장기수출|의학계 반향과 남은 의문

    태아 장기 수출사건이 보도되자 국내 의학계와 시민은 각기 다른 입장에서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의학계는 사체연구에 대한 일반의 몰이해에, 시민은 연구라는 이름아래 외국에까지 수출해

    중앙일보

    1970.11.30 00:00

  • 살 빼는 약에 부작용이 많다

    미국 식품위생국(FDA)은 최근 4주 동안「뉴요크」주에서 살 빠지는 약을 장복한 세 사람이 급사하고 지난 3년간 60명 이상이 이 약을 복용하다가 죽은 것을 중시하고 진상조사에 나

    중앙일보

    1970.02.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