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또 한번의 인재 영남 폭우 참사

    13, 14일 이틀동안에 영남 지방 일대를 휩쓴 폭우는 1백36명의 사망자를 내고 25명의 실종자를 내는 등 총 1백61명의 인명 피해를 내고 약 8억원의 재산 피해를 내었다. 그

    중앙일보

    1972.09.16 00:00

  • 사망 95, 실종 28명|영남 폭우 피해 막심

    【부산·대구】13일 하오부터 14일 정오까지 부산·울산·경주·포항 등 영남 일대에 최고 4백mm (경북 월성), 평균 2백mm의 폭우가 쏟아져 95명이 사망, 28명이 실종되고 곳

    중앙일보

    1972.09.15 00:00

  • 수해 그 후-서울을 점검한다 (6) 시민의 안전 생활을 위한 「캠페인」|구획 정리

    8·19 장마는 변두리 지역 이른바 신개발 지구에서도 심한 물난리를 일으켰다. 이 지역에는 서울시가 60년 이후 변두리 지역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구획 정리 사업을 벌인 지역이 많이

    중앙일보

    1972.09.13 00:00

  • 경기·강원 냉해 큰 타격

    지난 8월초부터 전국적으로 평년보다 약2∼4도 낮은 이상 저온 현상이 40여 일째 계속돼 익어 가는 벼와 밭곡식 등 추수가 늦어지거나 감수되는 등 일부 농작물에 많은 타격을 주고

    중앙일보

    1972.09.11 00:00

  • (4)내수 침수-시민의 안전 생활을 위한 「캠페인」

    서울의 내수침수 지역은 한강 연안을 중심으로 안양천 청계천 중랑천 등 10개 배수 구역에 63개 지역에 달하고 있다. 이들 63개 지역은 거의 해마다 장마철이면 물난리를 겪어온 곳

    중앙일보

    1972.09.08 00:00

  • (3)시민의 안전생활을 위한 「캠페인」|상수도전기

    지난 홍수 때 서울은 상수도도 끊기고 전기마저 안 들어 온 곳이 많았다. 영등포전역을 비롯, 뚝섬·천호동 지역, 그리고 마포·연희동과 중심지 일부도 상수도가 20시간이상이나 단수되

    중앙일보

    1972.09.07 00:00

  • (2)시민의 안전생활을 위한 캠페인-하수도

    서울시내의 하수도 보급률은 현재33·4%로 나타나 있다. 다시 말하면 서울시내주거 지역 중 3분의1에 해당하는 지역에만 하수도시설을 완전히 갖추었고 나머지 지역에는 하수시설이 전혀

    중앙일보

    1972.09.06 00:00

  • (1)시민의 안전생활을 위한 「캠페인」|도로

    8·19수해는 수도 서울시민의 안전생활을 완전 위협했다. 유사이래 처음이라고 하는 대홍수였지만 서울은 6백만 인구에 1년 예산 8백억원을 쓰는 세계 제8위의 대도시이다. 시민의 안

    중앙일보

    1972.09.05 00:00

  • 단양·제천·영월지구의 수재

    8·19홍수로 인한 처참한 수해상황의 전모가 두절된 도로를 뚫어가며 생명의 위험을 무릅쓴 보도진의노력으로 이제 완전히 드러나고 있다. 생명의 안전을 걸면서까지 단양·제천·영월지구의

    중앙일보

    1972.08.29 00:00

  • 구호의 손길 기다리며 8일째|수마 휩쓸고 지나간 단양·제천·영월 일대 현지「르포」

    탁류에 휘말린 충청북도 제천·단양, 강원도 영월 등 영서지방 수재민들은 따뜻한 구호의 손길을 애타게 기다린다. 물난리가 지나간 지 8일째-. 가까스로 악몽같은 홍수에서 벗어났지만

    중앙일보

    1972.08.26 00:00

  • 멍든 수해지방에 다시 비

    수재로 멍든 중부지방에 25일 또 비가 내려 수재민들은 엎친 데 겹치기의 재난 속에 빠졌다. 침수됐던 집을 찾아 무너진 담벽이며 지붕을 정리하던 이재민들은 25일 새벽부터 또다시

    중앙일보

    1972.08.25 00:00

  • 구획정리사업 재검토해야-서울시

    서울시가 최근 5년 동안 역점사업의 하나로 벌인 총 19개 구획정리사업지구 중 12개 지구가 이번 폭우로 침수, 서울시의 구획정리사업은 하수시설 등 내수처리문제를 다시 검토하지 않

    중앙일보

    1972.08.24 00:00

  • 수해 사망 모두 2백60명 긴급복구비 28억원 필요-서울시

    서울시 재해대책본부는 24일 이번 수해로 서울시내에서 긴급복구를 요하는 피해지역이 4백38개소에 달하며 이를 긴급보수하는데는 28억2천여만원이 소요된다고 밝혔다. 재해대책본부는 이

    중앙일보

    1972.08.24 00:00

  • 내수 날벼락

    홍수가 지난지 5일께인 23일까지도 서울시내에 있는 5천여 가구가 아직도 침수된 채 물 빠지기를 기다리고 있었다는 소식은 기막힌 일이다. 영등포구 신정동·목동 일대는 연 닷새째의

    중앙일보

    1972.08.24 00:00

  • 침수동수 줄여 발표

    서울시재해대책본부는 이번 장마로 침수된 곳이 모두 16개 지역 44개동이라고 발표했으나 23일 상오 실제침수지역은 모두 1백15개동으로 밝혀져 재해대책본부의 상황판단이 엉터리였음이

    중앙일보

    1972.08.23 00:00

  • 철암·장생 등 탄전지대 고립

    개광 40년이래 가장 큰 폭우피해를 본 철암·장생·황지 등 탄전지대 만 주민들은 5일깨 모든 육로가 막혀 사실상 고립되어 있다. 23일 경찰에 따르면 현재 이 지역에서 보유하고있는

    중앙일보

    1972.08.23 00:00

  • 물과 마지막까지 싸운 의지의 재민들|서울신정·송정·군자동 주민

    서울 영등포구 신정동·목동·구로3동, 성동구 군자동 등 일부지역은 8·19물난리에서도 가장 오랜 꼬박 5일동안을 물속에 잠겨있었다. 그러나 주민들은 하나같이 뭉쳐 굳은 의지로 굶주

    중앙일보

    1972.08.23 00:00

  • 5천 가구 아직 물 속에

    신정동144, 목동404일대 5천 가구는 물에 잠긴지 5일째인 22일 상오에도 수심 50cm∼1m의 물에 잠겨 집에 들어갈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있어 서울에서 가장 늦게까지 수해를

    중앙일보

    1972.08.22 00:00

  • 초만원 수용소…뜬눈의 사흘 밤|「재기의 집념」은 꺾이지 않았지만…|각계서 구호품 절대량 모자라

    따스한 구호가 아쉽다. 물난리 후유증 사흘째를 맞은 이재민들은 초만원의 수용소에서 지친 몸을 웅크리고 따스한 구호를 애타게 호소하고있다. 악몽 같았던 8·19 물난리에도 수재민들은

    중앙일보

    1972.08.22 00:00

  • 집안과 가재도구 손질

    엄청난 피해를 조금이라도 덜고 앞으로 연쇄적으로 닥칠 전염병이나 건물붕괴를 미리 막기 위해 이번 호우를 겪은 곳에선 재빠른 뒷수습을 서둘러야할 것이다. 특히 2, 3일씩 침수된 지

    중앙일보

    1972.08.22 00:00

  • 수해상습지역 건축억제

    정부는 21일 하오 경제기획원회의실에서 수해대책을 위한 관계부처 연석회의를 열고 수재민구호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수해상습지구에 대해서는 건물신축을 불허 하는 등 장·단기대책을 서두

    중앙일보

    1972.08.22 00:00

  • 피해 백32억 사망·실종 5백28명

    침수지역의 물이 빠지고 수해현장이 정리 되어감에 따라 인명 및 재산피해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22일 상오 9시 현재 중앙 재해대책본부집계에 의하면 피해는 21일 낮 보다 엄청나게

    중앙일보

    1972.08.22 00:00

  • 엄청난 수마상흔…애 타는 구호요청

    8.19 물난리는 일요일인 20일 중부지방에 날씨가 활짝 갠 탓으로 이날을 고비 삼아 한물 가셨으나 서울의 한강주변을 비롯한 경기·강원도 등 일부 중부지방은 21일 정오까지 침수를

    중앙일보

    1972.08.21 00:00

  • 기습폭우에 허 찔린 한강치수 47년만의 대홍수…그 수방대책의 문제점

    18일 한강범람의 대홍수는 한강연안의 수해대책에 대한 안이와 요행의 허를 찔렀다. 한강은 항상 마음놓을 수 없게 수도서울과 그 일대를 위협하고있다. 중부지방에 대한 강우량의 특성으

    중앙일보

    1972.08.2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