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의료기 소독 부실 병원서 병 생긴다

    위 내시경검사와 충치 치료과정에서 엉뚱하게 간염이나 결핵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최근 在美교포의사 洪모씨(62)는 오랜만에 고국에 돌아와 매머드급규모의 첨단시설을

    중앙일보

    1994.01.08 00:00

  • 입 속의 세균|최상묵

    작은 귤 하나 넣으면 꽉 차버릴 정도의 공간을 가진 입(구강)이지만 소우주의 신비가 있다. 우리들의 입 속에 서울 인구 숫자에 버금가는 세균이 득실거리며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소

    중앙일보

    1992.10.09 00:00

  • 입냄새|최상묵(서울대 치과병원장)

    옛날 못 살았던 시절 입은 단순히 먹고 살아가는 생존 본능적인 도구에 지나지 않았지만 이젠 어떻게 하면 더 맛있고, 더 즐겁게 음식을 먹을 수 있나 하는 쾌락의 경지에서 구강의 역

    중앙일보

    1992.06.16 00:00

  • 스케일링

    가끔 치과병원에 온 환자가 스케일링 치료를 거부하는 경우가 있다. 『스케일링하면 이가 되레 나빠진다면서요』하고 묻는다. 많은 사람들이 스케일링을 단순한 미용효과 쪽으로만 생각하고

    중앙일보

    1992.06.12 00:00

  • 국민건강 보호나선 치과의사 「건치」회

    「건강한 사회를 위하여 더불어 실천하는 의료인」이란 슬로건은 「건치」(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회장 유영재)의 목표이자 행동강령이다. 건치는 30대의 젊은 치과의사들을 중심으로

    중앙일보

    1992.06.09 00:00

  • 건강 이상의 신호등|구강질환|경희대 공정균교수 조기진단법 발표

    치아등 구강질환은 전신건강의 신호등이자 거울이라고 말한다. 전신의 변화와 건강상태를 잘 표현해주고 조기진단을 할수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특히 내과질환이나 생리적인 내분비 계통의 질

    중앙일보

    1991.11.13 00:00

  • (29)건강한 치아

    치아는 종종 건강의 신호등으로 비유된다. 몸의 어느 한구석에라도. 병이 새기면 치아에 곧 그 징후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치아에 생기는 이상 역시 인체의 다른 부분에 영향을 끼침은

    중앙일보

    1990.10.27 00:00

  • 하루세번 식후 3분간 이를 닦자

    7∼11일은 구강보건주간. 대한치과의사협회는 「치아를 건강하게 지킵시다」를 표어로 내걸고 치아건강의 중요성에 대해 국민계몽활동을 다각적으로 펼치고 있다. 치의학전문가들은 치아우식증

    중앙일보

    1988.06.06 00:00

  • 잠자기 전에 단음식 주지말라|어린이 치아관리 부모관심 높일때

    어린이의 이는 생후 6∼7개월부터 나오기 시작하여 24∼30개월이 되면 유치(젖니) 20개가전부 나오고 만6살이 되면 영구치(간니)가 유치와 교환되어 나오기 시작한다. 6살에 첫

    중앙일보

    1987.06.09 00:00

  • "충치는 엄마가 만든다"|개업의 김규문 박사가 말하는 치아관리 요령

    건강한 치아는 오복의 하나라고 한다. 누구나 이의 중요성을 알고 나름대로 예방을 위해 관심들을 쏟고 있으나 잘못된 상식으로 치아에 질환이 있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치과개업의 김규

    중앙일보

    1987.04.22 00:00

  • (1)동국대 일본학연 구주학술조사 종합보고|도공모신 신사엔 지금도 우리말 창이…

    동국대 일본학연구소(소장 김사엽)학술조사단이 일본구주지방 현지조사를 마치고 방금 돌아왔다. 일본전역에 흩어져 있는 우리 문화재의 실태를 파악하기위한 이들 조사단의 종합학술조사작업은

    중앙일보

    1986.08.11 00:00

  • 몸냄새 이렇게 예방하자-전문가들에게 듣는다

    날씨가 더워지면서 체취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늘고있다. 특히 예민한 사람들은 자신의 체취가 「병적인 것은 아닌가」 「남들이 불쾌해하지 않는가」에 필요이상의 신경을 쓴다.여름철은

    중앙일보

    1986.06.13 00:00

  • 약이라곤 소화제·진통제가 고작 (보건지소)

    『보건지소요? 간판만 걸어놨지 말짱 헛겁니다. 급한 환자 데리고 갔다가는 큰일당하기 십상이죠. 시간 버리고 낭패당하고….』 강원도 영월군 하동면옥동리 이모씨(45)는 보건지소를 아

    중앙일보

    1984.07.16 00:00

  • (439) 치아질환

    요즈음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어떤 음식들이 치아가 좋아지는데 효과가 있는지에 관해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치아건강에만 특별히 좋은 음식이 따로 있는 것은 아

    중앙일보

    1984.06.06 00:00

  • 올해의 건치왕 한상기씨

    『치아건강은 신체건강의 기초라고 생각해 평소 관심을 갖고 이를 관리하다보니 이 나이가 되도록 건강한 이를 갖게된 것 같습니다』 올해 서울시치과의사회에 의해 우리 나라에서 가장 건강

    중앙일보

    1984.06.02 00:00

  • (438)치아질환|치아와 전신질환

    옛말에 『아기 한명을 낳으면 이가 하나 빠진다』는 말이 있다. 단순히 치아자체만을 갖고 좋은 치아를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표현이다. 충치나 잇몸병등은 입안이 불결해서 생기는 「입속의

    중앙일보

    1984.06.01 00:00

  • 가정의학|치아질환 최상묵

    요즘은 아이들이 입속에 이상한 모양의 철사나 쇠붙이로된 소위 교정장치라는 것을 끼고 있는 것을 흔히 볼수 있다. 옛날보다 안경을 낀 아이들이 현저히 늘어난것처럼 치아가 삐뚤게 나오

    중앙일보

    1984.05.30 00:00

  • 충치질환|칫솔과 치약-최상묵(435)

    불행하게 몇년전까지만해도 치약과 칫솔은 선택의 여지가 전혀 없었다. 요즘 갑자기 여려종류의 치약과 칫솔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하면서 바야흐로 「치약 전쟁」을 방불케하고 있다. 이렇게

    중앙일보

    1984.05.23 00:00

  • 치아질환(433)-잇몸병

    『옛날엔 이가 좋다고 생각했였는데 요즈음 잇몸이 붓고 이가 들뜨는 기분이며 음식을 씹을때 통증이 있고 잇몸에서 피가 가끔 나기도합니다.특히 몸이 피곤할때는 더 심해지는것 같구요…』

    중앙일보

    1984.05.16 00:00

  • 칫솔질 어떻게 해야하나|치아수명 양치질 시간과 비례

    명모호치라는 말은 예부터 미인을 형용하는 말로서 치아는 곧 아름다움의 상징이자 건강의 표상이였다. 누구나 건강하고 아름다운 치아를 갖기를 원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한 형편이다. 구

    중앙일보

    1983.06.01 00:00

  • 충치여부 체크 필요

    6∼12세사이는 젖니가 영구치로 교환되는 시기이므로 이때의 치아관리는 평생의 치아를 좌우할 정도로 중요하다. 영구치의 보존을 위해 영구치가 제위치에 바르게 나고 있는지를 체크하고,

    중앙일보

    1982.12.18 00:00

  • 튼튼한 이를 가지려면 「예방치료」가 중요하다 ,치과 의협학술 대회

    누구나 건강한 치아를 갖기를 원하면서도 막상 자신의 치아관리에는 소홀한 것이 현실이다. 이로 병마개를 따는 어리석은 사람은 이제 보기 힘들어졌지만 치아에 대한 관심부족은 여전하다.

    중앙일보

    1982.10.23 00:00

  • 「구강보건 주간」을 맞아 본 치아관리 요령|치아의 건강 젖니관리가 좌우

    6세9(구)치. 6세에 첫 영구치인 제1대 구치가 나오기 시작한다는 뜻이다. 각 시-도 치과의사회에서는 해마다 6월9일부터 1주간을 구강보건주간으로 삼고 이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있

    중앙일보

    1982.06.09 00:00

  • 금상 받은 건치 노인 이재웅 옹

    『내 몸을 내가 아낀 것뿐인데 상을 타게 되다니 어째 쑥스럽습니다.』 웃음 가득한 얼굴 속에 내비치는 치아가 70 노인의 것 같지 않게 고르고 청결하다. 제37회 구강보건주간(6·

    중앙일보

    1982.06.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