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김진의 정치Q] 설화 겪은 유홍준 문화재청장

    [김진의 정치Q] 설화 겪은 유홍준 문화재청장

    ▶ 김진 정치전문기자 현 정권의 고위 관료 중 유홍준 문화재청장은 두 가지 기록을 갖고 있다. 먼저 그는 최고의 스타 관료다. 강금실.이창동씨는 장관이 되기 전엔 별로 유명하지 않

    중앙일보

    2005.05.11 05:22

  • 문화재 이름 바꾸기로

    문화재 이름 바꾸기로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이건무)은 10월 28일 서울 용산에 새로 문을 여는 것을 계기로 문화재에 붙여진 한자 이름을 쉬운 우리말로 바꾸기로 했다. 이는 그동안 문화유물의 이름이 전문

    중앙일보

    2005.04.23 05:06

  • 스님의 붓끝서 말씀을 얻다…서울서예박물관 '고승 유묵전'

    스님의 붓끝서 말씀을 얻다…서울서예박물관 '고승 유묵전'

    ▶ 파격적인 기행으로 이름났던 중광(1935~2002)의 '달마도'(上). 구레나룻이 온 얼굴을 휘감은 채 어깨 위에 참새가 집을 짓는 줄도 모르고 9년 동안 면벽수도했다는 달마의

    중앙일보

    2005.01.24 17:37

  • [주말 여행] 충남 예산 한국고건축박물관

    [주말 여행] 충남 예산 한국고건축박물관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한국고건축박물관 전경 아직 늦지 않았다. 충남 예산군에서 단풍의 끝자락을 잡아보자. 단풍과 함께 우리 옛건축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곳이 있다. 수덕사에

    중앙일보

    2004.11.26 16:00

  • 우리집 가보가 혹시 진품·명품?

    우리집 가보가 혹시 진품·명품?

    ▶ 문화재 감정위원들이 한자리에 모여 의뢰인들이 가져온 도자기 등을 정밀 감정하고 있다.▶ 진위 논란이 일고 있는 이중섭 스케치. "이중섭이 죽기 전 마지막으로 남긴 절필(絶筆)

    중앙일보

    2004.11.01 18:18

  • 오경석·세창 父子의 빼어난 감식 안목

    오경석·세창 父子의 빼어난 감식 안목

    추사는 미술품의 진위와 가치를 식별하는 감식안도 뛰어나 중국에까지 알려졌다. 그의 빼어난 감식 안목을 이어받은 이가 역매(亦梅) 오경석(1831~79)이고 역매의 눈은 아들인 위

    중앙일보

    2004.05.18 16:59

  • [미술] '秋史 한글 편지' 展

    [미술] '秋史 한글 편지' 展

    ▶ 추사가 1828년 마흔 세 살 때 아내 연안 이씨에게 쓴 한글 편지(上). 추사의 제자였던 소치 허유(1809~92)가 그린 추사 김정희의 초상화. 우리나라 사람이 으뜸 서예가

    중앙일보

    2004.05.18 16:58

  • [week& cover story] KTX 타는곳 - 목포 방면

    [week& cover story] KTX 타는곳 - 목포 방면

    호남선 종착역인 목포. 그동안 새마을호를 타고 서울에서 출발하면 4시간40분 걸렸다. 기차 칸에 계속 엉덩이를 붙이고 앉아 있기에는 조금 지루한 시간이었다. 그러나 걸쭉한 전라도

    중앙일보

    2004.03.04 16:27

  • [김서령의 家] 서울 서오릉 윤영주씨 집

    [김서령의 家] 서울 서오릉 윤영주씨 집

    무엇을 짓느냐가 아니라 어디에 짓느냐가 문제, 라고 말한 사람은 건축가 김수근이다. 집의 구조나 크기보다 더 중요한 것이 그것이 놓일 환경이라는 말일 게다. 서울 광화문 이탈리아

    중앙일보

    2004.02.12 15:54

  • [세상은 넓고 할일은 없다] 김화영의 시베리아 열차 횡단기 (끝)

    [세상은 넓고 할일은 없다] 김화영의 시베리아 열차 횡단기 (끝)

    이른 아침의 울란우데에 햇빛이 쏟아진다. 말쑥한 거스티니처(호텔) 거세르. 더블룸에 2천루블. 싸지 않다. 그러나 얼굴 윤곽이 부드러운 처녀들 엘레나.두에나.다리마가 카운터 뒤에서

    중앙일보

    2003.12.25 15:30

  • 청·조선 학자들의 교유는 어땠나

    19세기 청나라 학자들과 조선 학자들은 어떻게 교유하고 서로에게 영향을 주었을까. 양자가 접촉했던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서간 87건이 우리나라로 넘어왔다. 일본인 나카무라 긴야(中

    중앙일보

    2003.12.02 17:51

  • '국토 박물관 순례기' 연재하는 유홍준 교수

    문화유산 답사로 이름을 날린 유홍준(54.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 겸 명지대 문화예술 대학원장이 다시 펜을 들었다. '나의 북한 문화유산답사기' 이후 5년 만이다. "전공 공부에

    중앙일보

    2003.10.09 18:11

  • [지식/교양] '문방청완(文房淸玩)'

    [지식/교양] '문방청완(文房淸玩)'

    문방청완(文房淸玩)/권도홍 지음, 청산, 10만원 "문방은 옛날 문인들이 책 읽던 생활공간인 서재다. 밝은 창, 깨끗한 책상(明窓淨) 아래 향을 피우고 차 끓이며 좋은 벼루와 명묵

    중앙일보

    2003.03.14 16:57

  • "내정설 구설수 오르는 것 싫어"

    미술 사학자인 유홍준(54.사진) 명지대 교수가 최근 차관급으로 격상된 국립중앙박물관장 후보 신청을 13일 전격적으로 철회했다. 유 교수는 이날 오전 본지에 전화를 걸어와 "관장

    중앙일보

    2003.03.14 06:28

  • [사람 사람] 평생 모은 고미술품 650점 기증

    "선조의 향기가 묻어나는 고미술품을 여러 사람이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말년의 즐거움 중의 하나죠." 평생 수집한 서화.병풍.고문서 등 개인소장품 6백50점을 최근 대학 박물

    중앙일보

    2003.01.03 17:47

  • 아버지 회갑 맞아 제주도 가족여행

    A:많은 분이 제주여행에 대한 문의를 해오셨습니다. 윤수미씨의 경우는 연세 드신 분들의 여행이므로 기사가 딸린 봉고차를 이용하는 것이 좋을 듯싶네요. 제주 전문여행사인 대장정투어(

    중앙일보

    2002.09.25 00:00

  • 저물 녘 남도에 서면 옛 신명에 취하네

    ◇전남 서남지역 먹거리 ▶준치회 무침='썩어도 준치'라는 옛말이 있다. 그만큼 맛이 뛰어나다는 이야기다. 준치는 가시가 많아 손이 많이 가는 생선이지만 육질이 연하다. 전남 목포시

    중앙일보

    2002.08.07 00:00

  • 서예 사랑의 '큰 획'

    '통문관(通文館)'은 고려 때 중국에 보내는 문서 등을 살피는 사대(査對) 외교를 맡아보던 관청이다. 1934년부터 서울 인사동에서 고서점을 열어온 산기(山氣) 이겸로(李謙魯·9

    중앙일보

    2002.07.23 00:00

  • 합천 해인사 성보 박물관 내달5일 개관

    경남 합천 해인사에 전통문화의 향취를 느낄 수 있는 문화공간 성보(聖寶)박물관이 착공 5년만인 다음달 5일 문을 연다. 건축가 김석철씨(명지대 건축대학원장·아키반 대표)의 작품이

    중앙일보

    2002.06.28 00:00

  • 제주박물관서 추사 김정희 특강 열려

    국립제주박물관은 지난 15일 오전 박물관 강당에서 개관 1주년 기념행사로 유홍준 명지대 교수를 초청,'추사 김정희의 삶과 예술'을 주제로 한 특강을 가졌다. 유교수는 "추사의 인

    중앙일보

    2002.06.17 00:00

  • 19세기 동아시아 최고의 '팔방미인' 秋史 예술 화려한 외출

    조선후기 최대의 학자이며 명필로 꼽히는 추사 김정희(1786~1856)의 학문과 예술을 살펴볼 수 있는 대규모 기획전이 열린다. 서울 견지동 동산방화랑(대표 박우홍·02-733-

    중앙일보

    2002.03.22 00:00

  • 화폭에 넘쳐나는 운치… 익살 …

    추사 김정희·오원 장승업·청전 이상범·소정 변관식·김환기·박수근·장욱진·이중섭·김기창…. 한국 근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 20명의 작품 56점을 한자리에서 만나는 큰 전시회가 열리

    중앙일보

    2002.03.05 00:00

  • 실속 챙기며 추억 만들기

    해마다 해외로 신혼여행을 떠나는 신혼부부가 늘고 있지만 그보다 더 많은 수는 국내에서 그들만의 밀월을 즐긴다. 실속파 신세대는 전국의 산하를 누비며 평소 접하지 못한 한국의 아름

    중앙일보

    2002.02.22 00:00

  • 古건축.古미술. 박물관에 온듯한 윤보선 전대통령집

    서울 종로경찰서 맞은 편 안국동 일대가 조선시대 양반들이 모야살던 북촌(北村) 이다. 지금도 빼곡한 한옥들 사이 좁은 골목을 오르다보면 우뚝 솟은 대문이 나타난다.서울에 남은 유일

    중앙일보

    2002.01.30 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