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전국 최고령 제주 千살 팽나무-산림청.임업연구원 조사

    팽나무중에서 전국최고령수는 북제주군애월읍상가리에 있는 1천년생인 것으로 밝혀졌다.〈사진〉 산림청과 임업연구원이 공동으로 실시한 수종별 전국의 최고령수 조사결과 1천년생 팽나무 외에

    중앙일보

    1994.09.29 00:00

  • 충남 안면도

    하늘빛과 꼭 닮은 바다와 눈이 부실 정도로 빛나는 은모래,구불구불 끝없이 이어진 구절양장(九折羊腸)사이로 은은히 풍겨오는송림(松林)의 향기…. 쪽빛 바다 품속에 폭 안겨있는 섬 안

    중앙일보

    1994.09.29 00:00

  • 추석나들이-산촌마을 용문산 신점마을.화천 광덕마을

    「경기의 금강」이라 불리는 용문산이 병풍처럼 둘러쳐진 신점마을(양평군용문면신점리)은 주변 경관이 수려하고 머루.다래.취나물등 산채가 풍부한데다 마을 뒤로 용문산.백운봉등의 등산코스

    중앙일보

    1994.09.15 00:00

  • 수령 1천여년생 은행나무 외과수술후 생기 되찾아-부여

    충남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거목으로 알려진 부여군내산면주암리에있는 수령 1천여년생 은행나무가 외과수술을 받은 후 생기를 되찾고 있다. 천연기념물 제3백20호인 이 은행나무는 높이 1

    중앙일보

    1994.08.11 00:00

  • 31.해남 두륜산 생태조사 현장

    『어,저기 청띠제비나비잖아.맥주 한박스 내거다.』 전남해남군두륜산에서 자연생태계 정밀조사가 시작된 지난달 13일 오전9시30분쯤 대흥사 매표소 입구에서 첫 탄성이 울렸다.곤충팀을

    중앙일보

    1994.08.01 00:00

  • 자연.문화유적 탐방행사-대구시

    ○…대구시는 22일부터 8월1일까지 시내 국교 53개교,중학교 21개교,고교 26개교등 모두 1백개교 1천57명을 대상으로 대구의 자연자원과 문화유적 탐방행사를 열고 있다.탐방지역

    중앙일보

    1994.07.22 00:00

  • 창경궁/자생식물교육원/한국의 야생화 보여드려요

    ◎미선나무 등 4백종 3천그루 특성별 식재 『나는 봄이면 오랑캐꽃·민들레꽃이 옹기종기 피어나고,여름이면 뭉게구름 아래로 동자꽃과 들장미가 뒷동산 언덕을 수놓고,가을이면 바로 그 언

    중앙일보

    1994.07.06 00:00

  • 성인봉 너도밤나무 군락지 관광명소로-울릉도

    울릉도에 사람들이 살기 시작하던 어느날 산신령이 나타나『뒷산에 밤나무 1백그루를 심지 않으면 큰재앙을 내리겠다』고 엄명을내렸다.마을 사람들은 밤나무 1백그루를 심고 정성껏 가꾸었다

    중앙일보

    1994.06.22 00:00

  • 단종 御所복원해 역사의 산교육장으로 활용 건의-강원도

    강원도 영월군민들은 조선조 제6대 端宗이 귀양살이했던 남면 광천리 청령포에 단종의 어소(御所)를 복원해 역사의 산교육장으로 활용토록 해줄것을 바라고 있다. 청령포의 어소는 단종이

    중앙일보

    1994.06.10 00:00

  • 백로들의 귀향

    천연기념물 제209호인 백로와 왜가리떼가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신접리에 날아들어 장관을 이루고 있다. 60여년전부터 철새도래지가 된 이곳 3천여평 야산숲에는 백로 등이 둥지를 트는

    중앙일보

    1994.05.22 00:00

  • 16.제주 조랑말

    한때 멸종위기를 맞았던 우리나라 유일의 토종말인 제주조랑말의혈통 정립을 위한 연구가 천연기념물 지정(86년2월8일.제347호)을 계기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부터 한국마사회

    중앙일보

    1994.02.04 00:00

  • 광릉 수목원.봉선사-전나무 내음 만추가 물씬

    만추,가을의 끝이다.계절이 바뀔 때마다 느끼는 것은 아쉬움일것이다.가을이 다 가기 전에 나들이라도 나서고 싶은 사람들은 이번 주가 최적일 듯 싶다.가을의 숲은 수북이 쌓인 낙엽만큼

    중앙일보

    1993.11.12 00:00

  •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봉정암 신축 허가면적 어겨 물의

    [春川=卓景明기자]국립공원 설악산 천연보호구역(천연기념물171호)인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산76 백담사의 부속암자 봉정암(해발1천2백24m)이 요사채를 신축하면서 허가면적을 어

    중앙일보

    1993.10.06 00:00

  • 「환상의 새」/“크낙새를 찾아라”

    ◎오대산·차악산등 6곳서 “봤다”제보/4년전 사라져… 애호가들 확인 탐조/한국서만 서식… 사람접근 싫어하는 “고고한 새” 모습을 감춘지 만 4년이 넘도록 나타나지 않아 절종된 것이

    중앙일보

    1993.08.03 00:00

  • 고사 판정에 “봄볕받아 새순 돋았으면…”

    6순의 할머니가 수령6백년을 자랑하는 서울통의동 백송(천연기념물 제4호)이 지난90년7월 돌풍에 쓰러진 이후 사재 2천7백여만원을 털어「백송살리기운동」을 펴온 사실이 밝혀져 훈훈한

    중앙일보

    1993.03.27 00:00

  • 창덕궁이 죽어간다/서울시립대 이경재교수 조사

    ◎토양산성화­대기오염에 생태계 파괴/전나무·서어나무 멸종,곤충 사라져 창덕궁이 죽어가고 있다. 서울시립대 이경재교수(조경학과)가 문화재 관리국의 의뢰로 조사한 창덕궁의 토양산성도에

    중앙일보

    1993.03.24 00:00

  • 서울 통의동 백송 문화재지정 해제

    문화체육부는 23일자로 서울 통의동 35의 5에 소재한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 제4호 「서울 통의동 백송」의 문화재 지정을 해제키로 했다. 이 나무는 90년 7월17일 돌풍에 쓰

    중앙일보

    1993.03.20 00:00

  • 충남 논산 비파차

    동짓날 밤 창문을 여니 싸늘한 바람이 섬뜩하다. 겨울바람은 춥다고 느껴지기보다는 청량감을 주기도 한다. 이럴 때 권하고 싶은 따끈한 전통 차로는 분청 찻잔에 담겨져 김이 모락모락

    중앙일보

    1992.12.27 00:00

  • 생강·대추 넣고 통채로 달여야 제맛

    금년도 귤은 풍년이라 한다. 덕택에 다른 과일보다 달콤하고 새콤한 감귤을 실컷 먹을 수 있게 됐다. 20년전만해도 귤은 그야말로 금값이라 아무 때나 만만치 먹을 수 있는 게 아니었

    중앙일보

    1992.12.06 00:00

  • (36)「병든 나무」되살리기 30년|나무 치료사 강전유씨

    나무들도 사람처럼 병을 앓는다. 나무의 병은 병충해에 의한 것, 미생물에 의한 것, 또 태풍이나 공해 등 자연·인공환경 적 요소에 의한 경우를 모두 합쳐 4천여 가지가 넘는다. 사

    중앙일보

    1992.11.28 00:00

  • 자취감춘 「광릉 크낙새」/수목원 개방후 행불 1년6월

    ◎전문가 “공해로 송악산 간듯” 「광릉 명물 크낙새를 찾아라」. 경기도 포천군 광릉수목원에서만 서식해오던 희귀조 크낙새(천연기념물 197호)가 1년6개월 가까이 자취를 감췄다. 크

    중앙일보

    1992.11.23 00:00

  • 정이품소나무 병든다/아카시아 16그루 베어(주사위)

    ○…7일 속리산을 찾은 이공배씨(32·무직·강원도 강릉시 교1동) 등 4명이 「아카시아 망국론」을 주장하며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상판리 국립공원 속리산내 천연기념물 103호 정이품

    중앙일보

    1992.09.08 00:00

  • 환경처·전문가 3개월간 생태계 조사결과(환경)

    ◎민통선지역/천연기념물 11종 확인/사향노루·곰 등 발견/특산식물 56종·희귀식물 40여종도/호랑이·표범·늑대는 흔적 발견안돼 40년간 인간의 발길이 닿지 않은 민통선 지역에는 지

    중앙일보

    1992.08.25 00:00

  • 생태계보호지역 지정위해 울릉도 정밀조사 실시/희귀동식물 분포조사

    울릉도를 자연생태계보호지역으로 지정하기 위한 정밀지역조사가 실시된다. 환경처는 7일 86년부터 90년까지 실시한 전국 자연생태계 조사결과 울릉도에는 향나무 자생지·너도밤나무 군락·

    중앙일보

    1992.08.0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