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조선때 호남시단의 요람 제월봉 면앙정(제월봉 면앙정)

    무등산은 그 억센 힘줄을 뻗어 이 땅에 시의 샘을 숫게하였다. 담양읍내에서 서남목으로 10리쯤 가면 무등의 허리가마디를 세운 제월봉 (제월봉)의 끝자락이 마치 누에가 더리를 추켜든

    중앙일보

    1991.01.13 00:00

  • (16)유성룡「징비록」낳은 하회「옥연정사」·「병산서원」|시인 이근배

    여기 햇 덩이처럼 이글거리는 역사가 있다. 이 나라 5천년 역사에서 가장 사납고 가장 가 파랐던 비바람과 벼랑길을 이겨내고 떠받쳐 온 위대한 구국의 기록이 있다. 저 임진왜란의 7

    중앙일보

    1990.11.11 00:00

  • 서울 태릉경찰서 개명/이름나쁘다 여론따라(주사위)

    ○…서울 태릉경찰서가 문을 연지 17년만인 5일 경찰서 이름을 중랑경찰서로 변경. 태릉경찰서는 73년 문을 연뒤부터 경찰서내부는 물론 지역주민들 사이에 「태릉」이란 명칭이 조선조

    중앙일보

    1990.10.05 00:00

  • (11) 이이의 생가-강릉 오죽헌|시인 이근배

    어떻게 태어나면 나면서 세상의 이치를 깨닫게 되고, 어떻게 공부하면 나라에 큰 일을 하는 재목이 되고, 어떻게 살아가면 만인이 우러르는 성인이 되는가. 율곡 이이에게서 우리는 그것

    중앙일보

    1990.08.12 00:00

  • 위정의 요체(분수대)

    『채근담』에 이런 구절이 있다. 『사람을 망치는 것에 여러가지 큰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다. 지나치게 사리사욕을 좇기 때문에 망하는 것이다. 사람이 한번 사리사욕에 사로 잡히면 억

    중앙일보

    1990.05.14 00:00

  • 잘린 두루마기

    조선조 중종 때의 선비 박영의 후손들은 대대로 옷자락이 잘린 두루마기 한 벌을 가보로 고이 간직하고 있었다. 그 두루마기에는 이런 사연이 있다. 박영이 어느 날 저녁 좋은 옷을 입

    중앙일보

    1989.12.11 00:00

  • 한민족의 자아각성 그 연원을 찾아서|관원에 맞선 "인간평등선언"

    제주도를 배경으로 한 문학작품은 대부분 구비문학이다. 제주도 사람들이 스스로 지어 구전하는 무가·설화·민요는 다른 어느 고장보다 풍성하다. 글로 쓴 기록문학의 작품은 바다 건너온

    중앙일보

    1989.05.17 00:00

  • 혜화동∼이대 병원 옆-성곽 산책로 만든다

    혜화 1동 옛 보성 중·고 앞에서 창신동 이대 부속 병원 옆 사이 서울 성곽 안쪽 3·5km구간을 따라 폭 4∼6m의 성곽 산책 도로가 조성된다. 서울시는 2일 옛 모습대로 복원키

    중앙일보

    1989.03.02 00:00

  • 성씨

    경제기획원이 밝힌 우리나라 2백74 성씨가운데는 낯선 성이 의외로 많다. 학·십·난·부·누 같은 중국식 성은 물론 강전·장곡·망절같은 일본식 성은 이번에 처음 나타난 성씨다. 월남

    중앙일보

    1987.12.24 00:00

  • 배제왕손후예 서일본 200년 지배

    4, 5일간 산구시의 대내(오우치)씨 유물· 유적을 찾아다니다 보니, 시가지가 하나의 공원을 이룬듯 했다. 북쪽과 동서 삼방을 산이 둘러싸고, 남으로 평야가 펼쳐진 산구시의 분지는

    중앙일보

    1987.10.15 00:00

  • 성씨의 고향영광 김씨

    영광김씨의 시조는 고려 성종∼현종대의 명신 김심언. 신라 경순왕의 네째아들 은세의 손자로서 일찌기 문과에 급제, 벼슬이 내사시낭평장사에 이르렀다. 금심언은 어려서 고려의 석학 최

    중앙일보

    1987.02.12 00:00

  • 성씨의 고향(167)-우주 황씨

    우리 나라 황씨는 우주(우주)·장수·평해·창원·회덕·덕산 등 10여 본이 있으나 모두 한 할아버지에서 갈라진 자손. 도시 조는 중국 후한의 학사 황낙이다. 그는 신라 나리왕 4년

    중앙일보

    1986.12.11 00:00

  • 집성촌- 4백30년전 황응청이 외가로 피해 정착한곳

    우주황씨네 4백30여년 터밭이다. 김제읍에서 동쪽으로 뚫린 포장도로를 따라 8km, 끝없이 펼쳐진 들녘에 야트막한 산이 나타난다. 수동산(일명 사창산). 그 아래가 귀미마을. 1백

    중앙일보

    1986.12.11 00:00

  • 성씨의 고향부안 김씨

    우리 나라의 김씨는 크게 두 갈래다. 가락국 수로왕을 시조로 하는 김해 김씨계와 신라의 알지를 시조로 하는 경주 김씨계. 부안 김씨는 그중 경주에 연원을 두고 있다. 신라 마지막

    중앙일보

    1986.10.18 00:00

  • 조선조 조식선생 재조명작업 활기

    지금은 가려져 있지만 조선조 대학자었던 남명 조식선생(1501∼1572)의 면모를 새롭게 인식하려는 강렬한 의지들이 모아지고 있다. 24일 상오 저멀리 지리산이 바라다보이는 곳,

    중앙일보

    1986.08.27 00:00

  • 상소는 성역 없는 상하 ˝대화의 길˝

    조선조가 망할 무렵 조선왕조 5백년의 제도를 연구하던 어느 외국인 학자가 읽던 책을 덮으며 탄식했다고 한다. 『이렇게 훌륭한 제도를 가진 나라가 어떻게 망할 수 있단 말인가.』 상

    중앙일보

    1986.04.07 00:00

  • 성씨의 고향(글 사진 김방원기자)

    남양 전씨의 시조는 전흥이다. 그는 원래 조선왕조의 개창에 아버지 이성계를 도와 큰 몫을 한 태종 이방원의 집 종이었다. 그러나 그는 남다른 두뇌와 용기와 뱃심의 소유자였다. 그의

    중앙일보

    1986.03.08 00:00

  • 한강변의 유적지

    한강 유역의 역사적 견적과 명승지들이 새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서울시가 자체적으로 조사한 이들 사적·유적·문화재·명승지들 가운데는 강동구의 선사주거지·백제토성·삼전 도비나 행주산

    중앙일보

    1986.02.12 00:00

  • <경남 밀양순 산외면 다원1리

    경남밀양군산외면다원1리-. 산세수려한 차나무골 깊숙이 들어앉은 마을 가장자리에 5간 혜산서원이 우뚝서있다. 그주변엔 팔각지붕을 인 재사와 비각등 고색창연한 유적들. 한눈에 경남유림

    중앙일보

    1985.12.07 00:00

  • 80대가 말하는 나의 인생 나의 건강 김계숙 박사

    조선조임금 성종과 계비정현왕후윤씨, 그리고 중종이 묻혀있는 선릉과 정릉(강남구삼성동소재)사이 오솔길에 노철학자한분이 사색의 산책을 하고 있었다. 국내철학계의 원로 김계숙박사(80·

    중앙일보

    1985.12.07 00:00

  • (152)(글·사진 이용우기자) 벽진 이씨

    벽진 이씨는 생육신의 한사람인 경은 이우전과 조선말기의 거유화서 이항로를 배출한 명문이다. 고려 개국공신 벽진장군 이분언이 시조. 이분언은 왕건을 도와 고려를 세우는데 큰공을 세워

    중앙일보

    1985.11.09 00:00

  • (151) 거제 반씨

    반씨는 고려 충렬왕때 문하시중(국무총리격)을 지낸 문절공 반부의 후손들이다. 기성(경남거제의 옛이름)을 비롯, 충주·남평·청도·홍천, 예천·음성·전주·광주등 여러 갈래로 분파됐으나

    중앙일보

    1985.11.02 00:00

  • 중종반정공신 이기가 터잡아 15대째

    장항선을 타고 천안·예산·홍성·광천을 지나면 보령. 서해 바닷물이 육지 깊숙이 파고들어 호수처럼 찰랑거리는 만을 끼고 해안에 기름진 들판이 열린다. 야트막한 야산을 등지고 오붓하게

    중앙일보

    1985.08.31 00:00

  • (149)수안 이씨

    수안이씨의 시조 이견웅은 고려태조 왕건을 도와 고려개국에 한몫을 담당하고 삼중대 광태사평장사 벽상공신으로 기록된 인물이다. 빈(사공)·단(평장사)·위(평장사)·연송(삼중대광평장사)

    중앙일보

    1985.08.3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