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훈 칼럼] 대통령의 두 얼굴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1 지난주 캠프 데이비드 회담을 마치고 돌아오는 윤석열 대통령의 표정은 두 가지를 말하고 있었다. 하나는 2차 냉전 시대를 헤쳐 갈 대외전략의
-
[장훈 칼럼] 윤석열 정부가 가는 길, 신발전국가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미리 당겨서 걱정하는 것은 우리의 습관이자 취미이다. 아직 9개월이나 남은 내년 총선에서 정부·여당이 어떤 평가를 받게 될지 진작부터 뜨거운 관
-
[장훈 칼럼] 누리호와 G8: 국가의 실력, 위신, 그리고 위험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1. 누리호가 푸른 하늘로 시원하게 솟구치면서 눌려 있던 우리의 마음도 함께 날아올랐다. 세계 7번째의 독자 발사체 국가라는 긍지는 그동안 북
-
[장훈 칼럼] 20년의 베팅, 윤 대통령 방미와 신냉전 동맹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1. 70주년 팡파르를 위한 준비는 완벽했었다, 얼마 전까지는. 아시아의 작은 나라였던 우리가 한미동맹 70년을 거치며 반도체·배터리·군수산업
-
[장훈 칼럼] 여당 전당대회, 법치와 인치의 시험대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0. 본론에 앞서 독자들과 만나는 이 지면에 대한 필자의 소회부터 나눠보자. 하루를 시작하는 아침 시간의 약 5분. 독자들께서는 2400자짜리
-
[장훈 칼럼] 우리는 멜로니의 함정을 피할 수 있을까?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이탈리아하면 먼저 무엇이 떠오르시는지? 마늘과 올리브가 듬뿍 들어간 이탈리아 음식? 정열적인 사람들? 피렌체? 우리네 일상적 관심을 넘어서기
-
[장훈 칼럼] 윤 대통령은 책임총리가 필요하다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칼럼 제목을 보시고 독자들께서는 고작 식상한 책임총리 이야기를 또 꺼내느냐고 반문할 수도 있다. 한편 대통령실 참모들은 슬그머니 외면하고 싶을
-
[장훈 칼럼] 윤 대통령과 국민의 ‘가상’ 대화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역대급 물난리로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은 조금 더 빠질 수도 있다. 지난 3월 필자가 이 지면에서 논의했던 바와 같이, 지지율은 단순한 숫자가
-
[장훈 칼럼] 지지율 하락과 내러티브의 빈곤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저는 사람에 충성하지 않습니다.” 아직도 선명하게 기억에 남아있는 한 문장. 공직자의 소신을 강렬하게 담은 이 한 마디는 윤석열 검사가 9년
-
[장훈 칼럼] 규제혁파의 시대, 정당도 예외 아니다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지방선거가 마무리 된지 보름 남짓, 연극의 시간은 끝나고 권력투쟁의 시간이 시작되었다. 정치인들에게 일을 맡기고 주권자들이 일상으로 돌아가자,
-
[장훈 칼럼] 바이든 대통령의 서울 일기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윤석열 대통령 취임 10일 만에 미국 바이든 대통령이 첫 번째 손님으로 2박 3일 한국을 방문한다. 한미 정상이 다뤄야할 정책의제 분석은 이미
-
[장훈 칼럼] 국회는 리콜이 안되나요?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간단한 퀴즈로 시작해보자. 민주화 이후 대통령들 가운데 면직(탄핵)으로 내몰렸던 사례는? 6명 중 2명(33%). 같은 기간 연인원 2000여
-
[장훈 칼럼] 무한교착의 정치와 당선인의 상시 캠페인 통치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아름다운 허니문이 이어지리라고 기대하지는 않았다. 부족전쟁처럼 치러진 선거 이후 정치 휴전이 얼마나 지속될 지가 관심거리였다. 역시나 거대 야당
-
[장훈 칼럼] 3·1절, 안중근 의사의 전쟁과 평화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며칠 후면 103주년 3·1절을 맞는 가운데, 우리는 유라시아 대륙 반대편에서 벌어지는 약소국의 비애를 지켜보고 있다. 결코 작다고 할 수 없는
-
[장훈 칼럼] 후보들, 시대정신에서 밈으로 이동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칼럼 제목에서 ‘시대정신’에 눈길이 먼저 가는 독자들은 아마도 필자와 같은 시대를 살아오셨을 듯하다. 정치가 시대정신을 담아야 한다고 믿던 세대
-
[오병상의 퍼스펙티브] 누가 되든 비호감, ‘대통령권한 축소하자’
1972년 유신헌법으로 제8대 대통령에 당선된 박정희 대통령이 취임식에서 선서를 하고 있다. 유신헌법은 대통령을 '국가원수' '국법의 수호자'로 규정하면서 행정, 입법, 사법이란
-
[장훈 칼럼] 예고된 재난, 인플레와 버블 공약
장훈 본사 칼럼니스트·중앙대 교수 2년째 코로나에 갇혀 지내다보니, 재난은 대체 어디서 오는가를 곰곰 돌아보게 된다. 당연한 얘기지만 뿌리는 우리 안에 있다. 코로나 위기의 뿌리
-
[알림] 91명의 울림…오피니언 더 넓고 깊어집니다
새해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안갯속에서 새 정부가 출범하는 거대한 변화가 찾아옵니다. 국내 신문 중 가장 넓고 강한 중앙일보 오피니언 지면에 새 필진이 새로운 시대의 길잡이로 합류
-
[장훈 칼럼] 굿바이 2021, 움츠렸지만 희망도 있었던
장훈 본사 칼럼니스트·중앙대 교수 12월은 달력의 마지막 장을 넘기며 한해를 결산하는 시간이다. 정치 사회를 중심으로 보자면, 올해 연말결산은 이런 숫자들로 요약된다. 80%.
-
[장훈 칼럼] 스트롱맨 후보들과 좁은 문
장훈 본사 칼럼니스트·중앙대 교수 오늘 오후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결정되면 내년 3월 대선의 주요 구도는 스트롱맨 후보들 간의 대결로 짜이는 셈이다. 참으로 대조적인 인생 길을
-
[장훈 칼럼] 부족 전쟁의 정치, 냉담층이 멈춰세워야
장훈 본사 칼럼니스트·중앙대 교수 이 글의 제목을 접하는 순간, 정치에 냉담한 독자들은 아마도 페이지를 넘겨 버릴 수도 있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오늘 정치 냉담층만이 우
-
“트럼프가 공화당 이끌었으면”…美 보수층 10명 중 6명 지지
최근 발표된 여론조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여전히 미국 보수층 내 상당한 지지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공화당 지도부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오는 2024년 트럼프
-
[장훈 칼럼] 9·11 20주년과 아프간…두려움과 흥분을 넘어
장훈 본사 칼럼니스트·중앙대 교수 힘의 공백은 순식간에 혼란과 폭력으로 메꿔졌다. 우리가 지켜본 대로 미군이 떠나는 아프간 카불에서 테러, 탈주, 혼란, 공포가 한꺼번에 폭발하듯
-
[장훈 칼럼] 내향적인, 너무나도 내향적인 대선
장훈 본사 칼럼니스트·중앙대 교수 최고의 국경일인 광복절을 이틀 앞두고 드는 느낌은 숙연함과 착잡함이다. 수십 년 압제의 시대를 넘어 광복을 맞이했던 부모, 조부모 세대의 불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