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환경관련 집단민원 전국 곳곳서 봇물

    [전국종합]대구에서는 올들어 1백80건의 각종 시위가 발생했다.이중 73건은 대학생시위다.그러나 나머지 59% 1백7건은공사와 관련한 소음.분진.일조권피해를 막아달라는 시위였다.

    중앙일보

    1996.07.21 00:00

  • 반포.압구정동 고밀도 재건축 거부

    『잘 짜인 녹지공간,널따란 주차공간등 최상의 주거여건을 갖추고 있는데 굳이 고밀도로 재건축할 이유가 없다.』 『재건축을 하더라도 용적률(대지면적 대비 건축연면적 비율)을 크게 높여

    중앙일보

    1996.07.08 00:00

  • 구리 수택동 고층아파트 일조권 침해 마찰

    ㈜일화가 경기도구리시에서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던 건물을 헐고고층아파트를 지으려 하자 인근 주민들이 일조권 침해등을 내세워반발하고 있다. 12일 주민들에 따르면 ㈜일화는 사무실로 사

    중앙일보

    1996.06.13 00:00

  • 테헤란路 10층미만 건물 지을 수 없게 돼

    앞으로 서울강남구 테헤란로의 간선도로변에서는 10층 미만의 건물을 지을 수 없게 된다. 또 테헤란로 주요 네거리 주변에는 건물을 15층 이상으로 짓도록 적극 유도된다. 이는 강남구

    중앙일보

    1996.05.25 00:00

  • 건축허가 사전예고제 이웃 '항의' 부쩍 줄어

    金모(45)씨는 지난해 9월 서울강남구대치동에 5층짜리 건물을 짓기위해 신축예정부지에 건물의 층수.용도등을 기록한 건축허가예정 안내판을 5일동안 현장에 내걸었다. 또 건물의 평면도

    중앙일보

    1996.04.21 00:00

  • 우후죽순 多가구.多세대주택 주거환경

    90년이후 공급위주의 주택정책으로 마구 지어진 다가구.다세대주택문제가 심각한 주차난등을 일으키고 조망권등의 시비가 벌어지고 있다.무분별하게 남발된 건축허가가 결국 주택물량만을 쏟아

    중앙일보

    1996.04.18 00:00

  • 아파트 일조권 기준 서울高法 처음 제시

    서울고법 민사1부(재판장 金東建부장판사)는 30일 崔양례씨등인천시북구산곡2동 경남아파트 주민 2백44명이 『아파트 동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아 일조권이 침해됐다』며 경남기업을 상대로

    중앙일보

    1996.03.31 00:00

  • 교육환경권 수호 학생들이 나섰다-서울신동中 전교생 소송

    서울서초구잠원동 신동중학교 1학년 백병훈(白秉勳.14)군등 전교생 4백94명은 학교옆에 고층아파트를 짓고 있는 신화건설과아파트주택조합등을 상대로 공사중지 가처분신청을 서울지법에 냈

    중앙일보

    1996.02.15 00:00

  • 환경침해 상가신축 주민반발-중동 은하아파트등 4곳

    부천 중동신도시 은하마을 대우아파트등 4개 아파트 1,200여가구 주민들은 아파트단지 건너편에 지상 8층짜리 상가건물이 들어서자 주거환경이 침해된다며 집단 반발하고 있다.20일 부

    중앙일보

    1995.10.21 00:00

  • 고층건물.러브호텔 함부로 못짓는다

    내년부터 단독주택 등 저층건물이 많이 모여 있는 곳에는 높은건물을 아예 짓지 못한다. 또 인근 주민들이 싫어할 「러브 호텔」등 위락성.사치성 건물도 지을 수 없게 된다. 건설교통부

    중앙일보

    1995.10.09 00:00

  • 준농림지역 위락건물 규제

    요즘 지방을 다니다 보면 불쑥 높은 건물이 올라가 있거나 러브호텔등의 위락 건물이 여기 저기 들어서 있는 것이 흔히 눈에띈다. 이에 따라 일조권(日照權)과 사생활 침해 사례가 늘고

    중앙일보

    1995.10.09 00:00

  • 도심 2백50년 거목 사라질 위기

    『마을의 상징이자 주민의 공동재산인 노거수(老巨樹)를 살리자.』 윤치영(尹致暎.98)前공화당의장이 살던 집안에 있는 2백50년생 느티나무가 이 집 새주인에 의해 옮겨지려하자 이웃인

    중앙일보

    1995.09.15 00:00

  • 초고층빌딩 신축 붐-부동산경기 회복 기대감

    올들어 서울시내에 30층 이상의 초고층빌딩 신축붐이 일고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7월말까지 건축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신축허가를 받은 빌딩 가운데 30층이상인 빌딩은 연덕건설이 시

    중앙일보

    1995.08.05 00:00

  • 경기 광명시 광명동 90평

    부동실명제 실시등에 따라 부동산이 투기의 대상이라는 인식에서벗어나 개발.이용을 위한 투자대상으로 점차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돈은 있어도 부동산개발에 관한 전문지식이 부족해 어쩔수

    중앙일보

    1995.07.27 00:00

  • 아파트단지내 스포츠타운 강행 주민집단반발 백지화요구 농성

    인천시연수구 연수택지개발사업지구에 하나아파트단지를 건설한 ㈜한국공영(대표 張在春)이 아파트단지안에는 상가등 주민들의 생활편익시설외에 대형백화점.스포츠센터등이 들어설 수 없다는 검찰

    중앙일보

    1995.07.21 00:00

  • 서울 서교동 일반주거지 63.5평

    부동산을 개발할 때는 수익성의 극대화가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개발대상 건축물이 처한 입지조건과 주변 건물과의 조화도 배제할수 없다.건물외양도 전체적인 흐름을 따라가야 할 뿐더러 해당

    중앙일보

    1995.07.13 00:00

  • 변호사 오세훈씨

    발레복을 입은 딸아이와 함께 춤추는 아빠.마치 개구쟁이 소년처럼 자전거를 타다 두 발을 활짝 올리는 남자.삼성물산의 신사복 「로가디스」CF속에 나타난 오세훈(吳世勳.34)변호사의

    중앙일보

    1995.06.23 00:00

  • 단독주택 北門집 가격 南向보다 비싸

    북문(北門)집이 남향(南向)집보다 비싸지는 현상이 서울시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원래 우리나라는 남향에 동문(東門)집을 최고로 쳤고 얼마전까지만 해도 집값도 북문집에 비해 20

    중앙일보

    1995.06.22 00:00

  • 진입로 안내고 공사 먼지.소음 심해

    (株)대림산업이 아파트단지를 조성하면서 별도의 진입로를 개설하지않고 폭이 6m에 불과한 기존도로를 진입로로 사용하고 있어이 도로 주변 주민들이 공사장을 오가는 트럭의 진동.소음때문

    중앙일보

    1995.06.02 00:00

  • 서울 천호동 상업용지 103평

    부동산은 말그대로 움직이지 않는 재산이지만 그 가치는 때에 따라 변화무쌍하게 움직인다. 때문에 부동산을 개발하는데는 타이밍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여러가지 여건을 고려할때 1~2년후

    중앙일보

    1995.06.01 00:00

  • 아파트 로열층 기준변화-저층.상가인근 선호

    ◇저층선호=22층짜리의 경우 그동안은 로열층(5~18층)다음으로 꼭대기층을 제외한 층이 먼저 팔리는게 상례였다.그러나 최근들어 땅과 가까워야 땅의 기운을 맡으면서 살 수 있다는 설

    중앙일보

    1995.04.13 00:00

  • 일조권침해로 공사중지 울산옥동 성신타운아파트 공사재개

    [蔚山=黃善潤기자]일조권 침해를 이유로 공사가 중지됐던 울산시남구옥동 성신타운아파트 공사가 한달만에 재개됐다. 〈本紙3月9,10日字 보도〉 부산지법울산지원 제1민사부(부장판사 朴昶

    중앙일보

    1995.04.10 00:00

  • 서울 신당동 P씨댁

    달동네 비탈진 땅에 집 짓기란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대지가좁아 집 모양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데다 땅의 모양새조차 비뚤어져 연면적을 좌우하는 용적률이 평지에 비해 형편없이 떨어지기

    중앙일보

    1995.03.30 00:00

  • 서울 합정동 복합주택

    크기가 같은 땅이라도 주변여건이나 설계자의 실력에 따라 건물연면적의 차이가 많이 나게된다. 서울마포구합정동 369의15-. 50.3평의 대지에 세워진 지하1층,지상 5층 규모(연면

    중앙일보

    1995.03.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