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책과 지식] 인문학의 보고 한국화, 오늘을 비추는 거울

    [책과 지식] 인문학의 보고 한국화, 오늘을 비추는 거울

    혜원(蕙園) 신윤복(1758~?)의 ‘여인의 팔을 당기는 남정네’는 정확한 인물 묘사와 풍광을 표현한 아련한 필치가 돋보인다. 이에 못지않게 배경의 괴석과 배롱나무가 당시 얼마나

    중앙일보

    2013.11.16 00:10

  • 저 솔가지의 한 획 한 획 … 이상향을 품에 안다

    저 솔가지의 한 획 한 획 … 이상향을 품에 안다

    옛 그림을 보는 법 허균 지음, 돌베개 352쪽, 1만8000원 4분 33초 동안 침묵의 연주로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던 전위예술가 존 케이지가 알았다면 반드시 퇴계(退溪) 이황을

    중앙일보

    2013.09.14 00:22

  • [정진홍의 소프트파워] 문자향과 서권기

    [정진홍의 소프트파워] 문자향과 서권기

    정진홍논설위원·GIST다산특훈교수# 지루한 장마는 끝물인 듯싶은데 본격적인 무더위는 이제 시작일 듯하다. 어디론가 훌쩍 더위를 피해 떠나면 좋겠지만 그것이 여의치 않을 때는 서책을

    중앙일보

    2013.08.03 00:33

  • [문화재 @ 과학] 그림 속 흰눈이 유독 하얀 까닭 … “종이에 규소 입힌 뒤 그렸을 것”

    [문화재 @ 과학] 그림 속 흰눈이 유독 하얀 까닭 … “종이에 규소 입힌 뒤 그렸을 것”

    설송도, 종이에 먹, 117.0×53.0㎝. 종이의 바탕에 무언가를 두껍게 덧바른 후 엷은 먹으로 그렸다. 소나무 가지 주변에 먹을 가하지 않고 남겨둔 부분이 자연스럽게 눈처럼 보

    중앙일보

    2010.09.15 00:33

  • PREVIEW

    PREVIEW

    베를린 캄머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시간 3월 1일 오후 7시30분장소 충무아트홀 대극장입장료 VIP석 8만원 R석 5만원 S석 3만원 A석 2만원 B석 1만원문의 02-2277-65

    중앙선데이

    2010.02.27 19:01

  • “그다지 슬플 것도 즐거울 것도 없는 덤덤한…”

    “그다지 슬플 것도 즐거울 것도 없는 덤덤한…”

    혜곡(兮谷) 최순우 선생(1916~84)은 한국 전통 미술을 위해 태어난 것처럼 살다 갔다. 스물일곱 살에 개성부립박물관에 들어간 뒤 국립중앙박물관장을 거치며 우리 미술의 아름다

    중앙선데이

    2008.11.01 00:21

  • 간송미술관, 탄은 등 그림 모아 '난죽대전'

    간송미술관, 탄은 등 그림 모아 '난죽대전'

    대나무 그림으로 조선을 떨어 울렸던 사대부 화가 탄은 이정의 ‘어린 대’. 댓잎에 흔들리는 바람이 얼굴에 와닿는 듯 살아 움직인다. 가늘고 여리지만 날카롭게 뻗은 잎몸이 강직해 보

    중앙일보

    2005.10.11 21:12

  • [삶과 문화] 전시회 이끄는 '스타 작품'

    지난달에 전시회를 마치고 나니 마음이 한결 가볍다. 조선 후기의 그림들 중에서 '기(氣)'와 '세(勢)'가 뚜렷한 작품을 따로 모은 전시였는데, 전시 기간 내내 기세좋게 밀려드는

    중앙일보

    2005.05.03 20:56

  • '붓을 든 풍류객' 겸재·단원 … 쩌렁쩌렁한 화폭

    '붓을 든 풍류객' 겸재·단원 … 쩌렁쩌렁한 화폭

    ▶ 절벽을 타고 떨어지는 폭포의 장엄하고 씩씩한 기세를 실경보다 더 가슴에 와 닿게 그린겸재 정선의 ‘박연폭도’. 기와 세가 넘치는 조선 후기의 시대 움직임이 시원하게 담겼다. 내

    중앙일보

    2005.03.30 19:31

  • [삶과 문화] '시절 그림' 감상법

    음식에 시절 음식이 있다면 그림에도 시절 그림이 있다. 딱히 시절을 그린 그림이라기보다 제철 만나 더 깊은 맛을 내는 그런 그림들 말이다. 이를테면 '까치 호랑이 그림'은 희소식이

    중앙일보

    2005.01.04 18:32

  • [신간] 화가들 통해 본 근대 미술사

    화전(畵傳) 최열 지음, 청년사, 456쪽, 2만4000원 최열(48·가나아트센터 기획실장)씨는 우리 미술동네에서 바지런한 미술사가로 꼽힌다. 특히 한국근대미술을 파고드는 사랑과

    중앙일보

    2004.12.04 08:53

  • 책꽂이

    ◇번역의 공격과 수비(안정효 지음, 우석,1만5천원)=인터넷 강좌에 2년간 연재됐던 '번역실기'를 보완했다. 주어진 어휘와 구조에 속박당하지 않는 창조적인 번역이 '공격'이라면

    중앙일보

    2002.07.13 00:00

  • 16개팀 철통 경호… 관중 통제는 유연히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이번 월드컵의 성공적인 개최 여부는 역시 안전(安全)에 달려 있다. 지난해 9월 뉴욕 세계무역센터 항공기 자폭 테러 이후 국제 테러조직에 대한 경각심은

    중앙일보

    2002.05.20 00:00

  • 조선시대 닭이 그림속에서 '꼬끼오'

    채마밭에서 홍당무를 갉아먹고 있는 들쥐와 깊은 산속의 준수한 사슴. 연꽃 위를 날고 있는 잠자리, 떼지어 춤추는 호랑나비와 솔가지에 붙은 매미. 활짝 핀 국화와 늙은 단풍나무, 패

    중앙일보

    2001.10.17 08:25

  • 간송미술관, 조선시대 화훼영모전 열어

    채마밭에서 홍당무를 갉아먹고 있는 들쥐와 깊은 산속의 준수한 사슴. 연꽃 위를 날고 있는 잠자리, 떼지어 춤추는 호랑나비와 솔가지에 붙은 매미. 활짝 핀 국화와 늙은 단풍나무, 패

    중앙일보

    2001.10.17 00:00

  • 2001년 상반기 출판 분야 좋은책 5

    《화인열전》, 유홍준 지음, 역사와비평사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로 우리 문화(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 영남대학교 유홍준 교수가 야심적으로 쓴 우리 화가들 평전 모음이다.

    중앙일보

    2001.07.09 10:52

  • 작가 유홍준 '화인열전' 펴내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작가 유홍준씨가 조선시대를 수놓은 화가들의 예술혼을 찾아 나섰다. 이전의 저작이 문화재의 모든 부분을 망라하는 '박물학(博物學)' 이었다면,『화인열전』은 저

    중앙일보

    2001.04.02 10:47

  • 작가 유홍준 '화인열전' 펴내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작가 유홍준씨가 조선시대를 수놓은 화가들의 예술혼을 찾아 나섰다. 이전의 저작이 문화재의 모든 부분을 망라하는 '박물학(博物學)' 이었다면,『화인열전』은 저

    중앙일보

    2001.03.31 00:00

  • 조선시대 문인화 〈만남과 헤어짐의 미학〉전

    조선시대 문인들은 모임이 있은 뒤 만나는 뜻을 그림으로 남겼고 헤어지는 아쉬움을 시와 글씨로 달랬다. 친구, 관아 동료, 은퇴 관료들은 계모임·시회 후에 계회도(契會圖)·아집도(雅

    중앙일보

    2000.09.02 11:01

  • 조선시대 친목 풍속도 보여주는 '만남과…' 전시회

    조선시대 문인들은 모임이 있은 뒤 만나는 뜻을 그림으로 남겼고 헤어지는 아쉬움을 시와 글씨로 달랬다. 친구, 관아 동료, 은퇴 관료들은 계모임, 시회 후에 계회도(契會圖).아집도(

    중앙일보

    2000.09.01 00:00

  • 권기윤 교수 개인전

    흐르는 강물처럼 잔잔한 붓질. 희한한 아이디어보다는 진실함에 승부를 거는 화폭. 한국화가 권기윤(45.안동대 교수)씨가 지난달 29일부터 아트스페이스서울에서 '안동(安東)의 바람과

    중앙일보

    1999.11.01 10:13

  • 안동의 자연 은은한 색채묘사…권기윤 교수 개인전

    흐르는 강물처럼 잔잔한 붓질. 희한한 아이디어보다는 진실함에 승부를 거는 화폭. 한국화가 권기윤(45.안동대 교수)씨가 지난달 29일부터 아트스페이스서울에서 '안동(安東)의 바람과

    중앙일보

    1999.11.01 00:00

  • 겸재-단원 두 대가 비교…간송미술관 '금강산 그림전'

    1711년 당시 36세의 젊은 화가 겸재 (謙齋) 정선 (鄭敾) 은 첫 금강산 유람길에 오른다. 외금강.내금강.만물상을 거쳐 해금강에 이르기까지 금강산 구비구비 여정을 담은 그의

    중앙일보

    1999.05.24 00:00

  • [북한문화유산 답사기]20.조선미술박물관의 단원그림

    평양의 조선미술박물관 회화 수장품 중에는 예외적이라 할 정도로 이인상 (李麟祥).이인문 (李寅文).김홍도 (金弘道) 의 작품이 여러 점 있었다. 이인상은 '소나무 아래서' 라는 대

    중앙일보

    1998.12.2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