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가을, 체중과의 전쟁이 시작된다

    10월 가을, 하늘이 맑고 높다. 힘들었던 여름을 보내고 한결 지내기 좋아진 계절을 맞아 입맛도 좋아진다. 바야흐로 천고마비(天高馬肥)의 계절이다. ‘천고마비’는 가을의 풍성함을

    중앙선데이

    2009.10.18 02:12

  • [e칼럼] 중국 고비사막에 로마군단의 후예들-하

    [e칼럼] 중국 고비사막에 로마군단의 후예들-하

    사실 고비사막 간쑤성에 로마군 패잔병이 산다는 것은 기록에 관해서라면 최고라고 할 수 있는 중국 고전에도 언급돼 있다. 중국의 최고의 고대역사로 꼽히는 후한서 등에 따르면 한나라

    중앙일보

    2009.03.31 14:08

  • [이덕일의 事思史:조선 왕을 말하다] 태평성대를 위하여, 수고는 모두 내게 맡겨라

    [이덕일의 事思史:조선 왕을 말하다] 태평성대를 위하여, 수고는 모두 내게 맡겨라

    태종은 세종에게도 혹독한 후계자 수업을 시켰다. 심온(沈溫) 사건을 계기로 명과의 외교를 중시하면서 권신의 발호를 억제하는 법을 가르치고 군사를 동원해 왜구를 소탕하는 방법을 가

    중앙선데이

    2008.10.19 06:33

  • [이덕일의 事思史:조선 왕을 말하다] 태평성대를 위하여, 수고는 모두 내게 맡겨라

    [이덕일의 事思史:조선 왕을 말하다] 태평성대를 위하여, 수고는 모두 내게 맡겨라

    대마도 정벌(44.7Χ73cm), 우승우(한국화가). 1399년 명 태조 주원장(朱元璋)의 4남인 연왕(燕王) 주체(朱逮)는 조카인 혜제(惠帝)를 축출하기 위해 군사를 일으켰다.

    중앙선데이

    2008.10.19 00:35

  • 단군조선 부정… 뿌리 없는 나라 자초

    우리 국사 교과서는 단군조선을 부정하고 있다. 중국 동북공정의 원뿌리인 탐원공정의 노림수는 바로 이 대목이다. 고조선의 시초부터 바로잡자는 역사학자 이덕일의 쓴소리-. 중국의 동

    중앙일보

    2006.10.06 18:11

  • [고선지 루트 1만㎞] 4. 애환의 비단길 - 시안~란저우

    [고선지 루트 1만㎞] 4. 애환의 비단길 - 시안~란저우

    실크로드(비단길)의 출발지인 중국 시안의 개원문 앞에 세워진 거대한 조각상. 시안을 찾은 서역의 대상들이 낙타에 비단과 향료 등 짐을 싣고 고향으로 돌아가기 위해 개원문을 나서는

    중앙일보

    2005.10.05 04:34

  • [분수대] 몽골과 몽고

    몽골은 용맹스러움을 뜻하는 말이라고 한다. 몽골공화국은 몽고 (蒙古) 로 곧잘 통용돼 왔다. 그러나 몽골인들은 그들이 '몽고' 로 불리는 것을 싫어한다. '몽고' 는 옛 중국인들이

    중앙일보

    1999.05.27 00:00

  • [새로운 세기를 찾아서]45.만리장성 유감

    오늘은 만리장성에서 엽서를 띄웁니다. 나는 생각했던 대로 베이징공항에서 곧바로 만리장성으로 향했습니다. 관광객들을 위하여 개축하고 단장한 바다링(八達嶺)을 사양하고 그나마 옛모습이

    중앙일보

    1997.12.13 00:00

  • [고은 서역에서 헤매다]2.모래·바위·바람·멀고도 험난한 '皇泉'길

    엄청난 천둥번개였다.밤하늘 전체를 꽉 채우고 있었다.한번 번개칼을 휘두를 때마다 그 방전(放電)은 공중의 티끌과 먼지 그리고 미생물들을 모조리 태워버리는 것이었다. 그것은 대기의

    중앙일보

    1997.09.21 00:00

  • 蠶室-본디 누에치던 방,官形도 뜻해

    잠실(蠶室)은 누에를 치는 방이다.옛날 필자의 고향은「삼백(三白)의 고장」답게 누에를 많이 쳐서 어디를 가나 뽕나무 밭이있었고 집집마다 누에를 쳤다. 그런데 蠶室에는 끔찍한 뜻도

    중앙일보

    1995.09.14 00:00

  • 犬馬-전제 군주시대의 충성심 의미

    견(犬)과 마(馬)는 각기 개와 말의 모습을 본떠 만든 상형문자다.인간이 농경정착 생활을 하면서 본디 야생동물이었던 것을순화(馴化)시켜 인간이 부릴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여러

    중앙일보

    1995.05.26 00:00

  • 魚雁-편지

    어(魚)는 물고기의 모양에서 나온 상형문이고,안(雁)은 엄(엄).(인).추(추)의 결합이다.엄은 깍아 지른 절벽을(危.厄.厚.仄.原),(人)은 사람,추는 새를 각각 뜻한다(雀.雉.

    중앙일보

    1995.05.03 00:00

  • 千里馬-하루에 千里를 달리는 駿馬

    옛날 주나라 목왕(穆王)의 신하에 조보(造父)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훌륭한 말을 골라 훈련시켜 명마로 만드는데 뛰어난자질을 가지고 있었다.그러니까 말의 명조련사였던 셈이다. 그

    중앙일보

    1995.01.25 00:00

  • 4.우루무치

    7월19일 아침 일찍 우리 일행은 무덥고 긴 밤을 설친 투루판(吐魯蕃)을 떠나 버스로 우루무치(烏魯木齊)를 향해 떠났다. 눈덮인 天山산맥의 보거다봉(博格達峰.5천4백45m)을 오른

    중앙일보

    1994.08.30 00:00

  • 2.가욕관과 돈황

    柳家峽에서 황하를 건너면 서쪽으로 祁連산맥(5천5백47m)과고비사막 사이에 낀 좁고 기다란 길이 있다.길이는 1천㎞. 옛날 隊商들이 낙타를 타고 한달이 걸렸을 길이다.이곳이 실크로

    중앙일보

    1994.08.21 00:00

  • 使節

    使는 王命을 받은(吏)사람()이고 節은 대나무(竹)로 만든 신분증(卽)이다.옛날 使臣에게는 旌節(정절),將軍에게는 符節(부절)을 주어 신분을 보장해 주었다.「마디」로 알게 된 것은

    중앙일보

    1994.06.04 00:00

  • (6)비르텍 봉토분|스키타이 곡옥 등 신라와 흡사

    알타이산은 백두산(중국 측에서는 장백산이라 부름)과 같이 우리의 먼 추억이 깃들여 있는 고향과 같다. 언어학적으로 우리민족과 관계 있는 어족으로는 고 아시아(혹은 고 시베리아)와

    중앙일보

    1992.10.25 00:00

  • 뉴 실크로드(분수대)

    아득한 옛날 동양과 서양 두세계를 잇는 큰 통상로가 뚫렸다. 동의 비단과 서의 옥·직물 등이 이 길을 통해 교역됐다. 수박·호박·호두·마늘·참깨같은 과일과 식품들도 이 길을 통해

    중앙일보

    1991.11.05 00:00

  • 몽골문화 탐방(24)활쏘기 명수는 초원의 "스타"

    놀이는 원래 종교적 의식이나 세시풍속에서 출발한다. 그것은 호이징가의 학설처럼 문화보다 오래일 수 있다. 그래서 민속학을 연구하는 이들은 곧잘 놀이를 통해 그 민족의「문화의 틀」을

    중앙일보

    1991.02.18 00:00

  • (9)반가운 손님이 오면 권주가로 환대|권오성|민속음악

    중국 내몽골 자치구 이극소맹 동승시의 오르도스 호텔에 도착하자마자 몽골 전통의상을 곱게 차려입은 6명의 아가씨들이 두 손에 흰 천을 가로질러 늘어뜨리고는 접시에 술잔을 받쳐들고 나

    중앙일보

    1990.10.24 00:00

  • KBS-1TV1월초부터 (일NHK제작-본사연재)|대작 다큐멘터리 『황하』국내방영

    발원지 서령서 발해만까지|물줄기따라 흐르는 문명 영상에 담아 『실크로드』 이후 최대의 걸작 다큐멘터리로 평가되는 일본 NHK TV의『황하』가 내년 1월초부터 K1TV를 통해 방영된

    중앙일보

    1987.12.15 00:00

  • 제4부 하원에서 발해까지…동양사 5천년의 베일을 벗긴다.

    삼국지로 우리에게도 매우 친숙한 고장이며 중국고대사의 중심지인 고도 낙양을 밟는 감회는 황하대장정중에서도 남다른데가 있다. 『낙양은 라 불려 왔읍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11왕조의

    중앙일보

    1987.05.14 00:00

  • (7)일 NHK방송 취재·작가 정상정 집필…본사 독점연재-하원에서 발해까지… 동양사 5천년의 베일을 벗긴다

    황하상류의 충적평야, 영하회족자치구의 영하평원과 그에 잇닿은 내몽고 자치구의 하투평원을 두고『새상강남 (장성밖 변경의 풍요한 곡창지대)』이라는 호칭이 있다. 황하는 유구한 혜택을

    중앙일보

    1986.11.11 00:00

  • 제2부(4) 하원에서 발해까지…동양사 5천년의 베일을 벗긴다

    감숙성 임하회족 자치주 화정현 남쪽27㎞의 깊은 산중에 있는 송명암에서 1년마다 대화아라 불리는 소수민족의 노래잔치가 벌어진다. 화아란 청해 감숙을 비롯해 황하상류 유역 각지에 사

    중앙일보

    1986.10.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