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빨간 면도기, 레드와인색 디카… '상식'에 색칠하다

    빨간 면도기, 레드와인색 디카… '상식'에 색칠하다

    1920년 미국 파커(Parker)는 처음으로 빨간색 만년필을 내놓았다. 당시 여성용 만년필은 조금 가늘었을 뿐 남성용처럼 검은색과 갈색이 전부였다. 이 회사는 파격적인 빨간색을

    중앙일보

    2004.12.13 19:29

  • [문화가 산책] 2개월간 부산시립미술관

    [문화가 산책] 2개월간 부산시립미술관

    ▶ 유대인극장 패널화 ***2개월간 부산시립미술관 ○… '색채의 마술사 마르크 샤갈'전이 13일부터 내년 1월 16일까지 부산미술관 3층 대전시실에서 열린다. 이번에 전시되는 작품

    중앙일보

    2004.11.14 20:31

  • [신간] 우키요에의 미 外

    우키요에의 미 고바야시 다다시 지음, 이세경 옮김 이다미디어, 304쪽, 2만원 모네의 작품 ‘일본 의상의 여인’을 처음 보았을 때의 당혹감을 잊을 수 없다. 그 화려한 원색의 기

    중앙일보

    2004.11.13 08:59

  • [Book cover story] 상상력으로 채색한 그림 뒤편 이야기

    한낮의 고요가 정물처럼 담긴 화실. 탁자에는 유화물감을 풀어놓은 팔레트와 붓들이 놓여 있고 아마인유 냄새가 감돈다. 화가는 붓을 든 채 이젤 위에 놓인 캔버스를 응시하고 있다. 화

    중앙일보

    2004.11.06 09:29

  • [이웃 문화] 상트 페테르부르크 '백야 축제'

    [이웃 문화] 상트 페테르부르크 '백야 축제'

    ▶ 백야 축제의 일환으로 상트 페테르부르크 심포니와 모차르트 협주곡 제20번을 협연한 피아니스트 이경미씨(上)[사진작가 조세현씨 제공]. 아래는 자정이 넘어 공연이 끝났는데도 해가

    중앙일보

    2004.07.05 17:12

  • [ 시(詩)가 있는 아침 ] - '송곳눈'

    조정권(1949~ ) '송곳눈' 전문 내가 아는 환쟁이 영감은 그림 한장 그려달라고 하자 보는 앞에서 제 눈을 송곳으로 찌른 모양이야 보기 싫은 작자 영 보지 않겠다고 제 눈알을

    중앙일보

    2004.06.18 18:16

  • [문학] 大家가 알아본 大家의 세계

    [문학] 大家가 알아본 大家의 세계

    “‘바르셀로나는 답답해서 견딜 수 없어. 도토리 키 재기 하듯 아등바등 설쳐대는 녀석들도 꼴불견이고. 여기선 아무리 이름을 얻어봐야 고작 카탈루냐 화가야. 이대로 주저앉아 뜬구름

    중앙일보

    2004.04.23 17:38

  • 현대무용 거장 85세 머스 커닝엄, 한국서 불사르는 예술혼

    현대무용 거장 85세 머스 커닝엄, 한국서 불사르는 예술혼

    ▶ 록음악에 실험적인 몸짓이 인상적인 머스 커닝엄 댄스 컴퍼니의 ‘스플리트 사이드스’. 머스 커닝엄(85). '안무가'라는 명칭만으로 그를 소개하긴 불가능하다. 그는 하나의 상징이

    중앙일보

    2004.04.11 17:48

  • [모은영의 DVD 세상] 베니스에서의 죽음

    베니스에서의 죽음(Death in Venice) 감독 : 루키노 비스콘티 주연 : 더크 보가드. 비요른 안데르센, 제작사 : 워너 브라더스 가격 : 19,800원 작품성 ★★★★

    중앙일보

    2004.01.29 15:46

  • 갑신년 '책'과 함께 시작하세요

    저마다 새해에 실천할 목표 한두개씩 정해셨죠? 잘 지키고 계신지 모르겠네요. 계획 세우기가 취미인 '투데이'의 올 목표중 하나가 한달에 두권 책읽기 랍니다. '투데이'처럼 올해는

    중앙일보

    2004.01.12 17:17

  • [생활속의 수학] 회전·반사 등 원리로 만든 모자이크 예술

    [생활속의 수학] 회전·반사 등 원리로 만든 모자이크 예술

    네덜란드의 미술가 에셔(Escher)는 수학적 원리를 이용해 독창적이고 매혹적인 그림들을 많이 그렸다. 그는 기하학적으로 특이한 모양, 공간 착시,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장면을 사

    중앙일보

    2003.10.01 15:54

  • 작지만 큰 세상 '북까페'

    고가의 외국 서적이나 잡지를 사지 않아도 편안히 볼 수 있고 매장 인테리어도 깔끔한 전문서점과, 차를 마시며 책을 읽을 수 있는 북카페. 평범한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어 주는 작지만

    중앙일보

    2003.09.28 21:07

  • [음악이 있는 그림] 線과 색채의 화려한 이중주

    장미 꽃봉오리와 줄기가 일그러진 격자 무늬의 그물망이 물방울처럼 달려 있다. 사각형과 삼각형이 한데 모여 몇 개의 성당 같은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장미를 추상.단순화시킨 나선형의

    중앙일보

    2003.07.01 17:52

  • [美박스오피스] '헐크', 북미 극장가 강타!

    6월 20일부터 22일까지의 이번 주말 북미 박스오피스에서, 마블 코믹스가 탄생시킨 슈퍼 히로의 또 다른 스크린 버전 블록버스터 '헐크(The Hulk)'가 3,660개 개봉관으로

    중앙일보

    2003.06.24 09:22

  • [사람 사람] 첫 서예전 여는 南畵 대가 조방원옹

    "글씨도 크게는 그림의 범주에 속하고 '서화동근'(書畵同根.글씨와 그림은 한 뿌리라는 뜻)이란 말도 있잖소." 전남 곡성군 죽곡면 연화마을에 칩거하며 의재(毅齋) 허백련(許百鍊.1

    중앙일보

    2003.05.21 19:16

  • [대중출판] '예술가와 뮤즈'

    예술가와 뮤즈/유경희 지음, 아트북스, 1만6천원 오노 요코에게 항상 따라붙는 수식어는 '존 레넌의 부인'이다. 결국 개념미술가로 상당한 실력을 갖고 있던 오노 요코에 대한 예술적

    중앙일보

    2003.03.28 16:47

  • [식품 이야기] 쑥

    단군신화에 등장할 만큼 우리 민족과 가까운 봄나물 쑥. 신화에서 환웅은 쑥과 마늘로 병을 다스린다. 쑥은 겨울에 움츠러 들었던 몸이 봄을 맞아 활기를 되찾는 데 도움을 주는 고마운

    중앙일보

    2003.03.25 11:44

  • [식품 이야기] 쑥

    단군신화에 등장할 만큼 우리 민족과 가까운 봄나물 쑥. 신화에서 환웅은 쑥과 마늘로 병을 다스린다. 쑥은 겨울에 움츠러 들었던 몸이 봄을 맞아 활기를 되찾는 데 도움을 주는 고마

    중앙일보

    2003.03.24 15:24

  • [과학으로 문화읽기] 예술적 영감 불어넣은 'DNA 나선'

    [과학으로 문화읽기] 예술적 영감 불어넣은 'DNA 나선'

    영국의 과학저널 네이처는 2001년 2월 15일 '인간 지놈'을 특별기획으로 다루면서 인상적인 표지디자인을 선보였다. 1천명이 넘는 사람들의 얼굴 사진 하나하나를 픽셀로 해서 거

    중앙일보

    2003.02.19 16:01

  • 느낌이 있는 경영… '신바람 주식회사'

    토털잡화업체인 ㈜쌈지의 이윤아 홍보팀장은 근무중 일이 잘 안될 때면 서울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본사에서 신촌 홍대앞까지 원정(?)간다. 회사가 지어놓은 공연·전시장인 '쌈지스페이

    중앙일보

    2002.11.07 00:00

  • 닮은꼴 두 천재… 영감이 통했나

    비교 전기(parallel biography). 인물은 저마다 다른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어디까지를 등가로 놓고 비교했을까 하는 의문이 들지만, '비교 전기'란 색다른 시도는 시

    중앙일보

    2002.10.26 00:00

  • 고독한 천재 건축가의 삶 복원

    "나는 가우디의 작품 '성가족 대성당'을 보러 갔다. 가장 혐오스런 건물 가운데 하나를. 이 건물은 혁명 기간에 아무 손상도 받지 않았는데 사람들은 '예술적 가치'때문이었다고 말

    중앙일보

    2002.09.14 00:00

  • 마일스 데이비스 '카인드 오브 블루'

    재즈 1백년사에서 가장 위대한 뮤지션으로 평가받는 사람 중의 하나인 마일스 데이비스(1926~91)는 재즈의 진보를 주도해온 선지자적인 인물이다. 정형화된 음악의 틀을 박차고 새

    중앙일보

    2002.09.09 00:00

  • 거창 국제연극제 내달1일 개최 영감 넘치는'도발무대'

    봄부터 가을까지 한국에서는 셀 수 없이 많은 지역 연극제가 열린다. 1995년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뚜렷해진 현상이다. 대부분 그 결과는 신통치 않다. 그래서 '단체장들의 폼잡기

    중앙일보

    2002.07.2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