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냉동차를 100%활용하는 지혜

    기온이 점점 올라가면 음식물이 장하기 쉽다. 냉장고에 보관하면 된다고 생각하지만 식품마다 적정 저장온도가 틀리고 냉장고의 기능 또한 제한돼 있으므로 올바른 저장법을 알아야한다. 이

    중앙일보

    1978.05.16 00:00

  • 유해식품 단속

    서울시는 18일 유해식품을 뿌리뽑기위해 3월말부터 5월말까지 2개윌동안 금년도 상반기 유해식품특별단속을 펴기로 했다. 서울시는 이번 단속에서 봄철 성수식품·대량유통식품및 어린이용

    중앙일보

    1978.03.18 00:00

  • 한국식품공업 사장 정세학씨 7년구형|급식빵 부정사건

    서울지검김형기검사는 9일 국민학교급식빵 집단식중독사전과 관련, 구속기소된 한국식품공업사장 정세학피고인(55)에게 보건범죄단속법위반죄를 적용, 징역7년·벌금7백20만원을 구형하고 이

    중앙일보

    1978.03.09 00:00

  • 전국 시대 맞을 해외자원 개발…자유의사에 맡기기로|농개공 생밤 장기 보관 법 개발…5∼10개월까지 저장

    동력자원부는 기업체들의 해외 자원개발을 자유 경쟁 원칙에 맡기기로 결정. 국내 업체간의 특정 지역에 대한 과당경쟁을 막기 위해 동자부는 해외자원 개발촉진법을 만들어 적극적인 지원과

    중앙일보

    1978.02.25 00:00

  • 불량식품 단속 연중 계속키로

    보사부는22일 올해를 「부정·불량식품근절의 해」로 정하고 6월부터 9월까지 관계부처와 합동단속을, 나머지기간동안은 시·도자체단속을 실시하는등 연중계속 단속을 펴 불량식품을 뿌리뽑기

    중앙일보

    1978.02.22 00:00

  • 식품 3만종 수거검사

    보사부는 25일 올해 연24만 개소의 식품개조·판매업소 단속. 3만점의 제품을 수거 검사하고 「카바레」·「비어·홀」등 접객업소의 퇴폐 행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는등을 내용으로한 식

    중앙일보

    1978.01.25 00:00

  • 벌써 물 탄 막걸리가

    애주가들의 커다란 기대 속에 오랜만에 등장했던 쌀 막걸리가 시판 한달 남짓한 사이에 벌써 그 인기를 잃어가고 있다. 쌀 막걸리를 생산하는 일부 양조장에서 누룩 대신 화학발효물질을

    중앙일보

    1978.01.20 00:00

  • 물탄 막걸리 단속령

    치안본부수사대는12일 상오 5시를 기해 시내 10개 합동양조장과 30개 공판장·62개 막걸리 소매상을 덮쳐 막걸리를 일제수거, 국세청 기술연구실에 감정의뢰한 결과 5개 소매상의 막

    중앙일보

    1978.01.13 00:00

  • (6)우리주변의 부조리와 병폐를 없애기위한 연말 「캠페인·시리즈」|불량식품

    어린이들이 즐겨먹는 과자류를 비롯, 석회로 굳힌두부, 수은으로 기른 콩나물, 톱밥에 물감을 들인 가짜 고추가루, 담뱃가루를 넣어 색을 낸 「꽁피」(꽁초「코피」), 공업용페유로 만든

    중앙일보

    1977.12.28 00:00

  • 모든 식품의 포장지에 변질품 교환장소 표시

    보사부는 21일 변질 부패식품의 발생을 막기 위해 식품「메이커」측의 의무규정을 크게 강화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는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마련, 법제처에 넘겼다. 개정된 시

    중앙일보

    1977.12.21 00:00

  • 아랑곳없는 유해식품단속|제조업자 33%, 판매업소 27% "부적합"

    보사부의 계속적인 유해식품단속에도 불구, 올 들어 당국이 단속한 식품제조업소의 33.1%, 식품판매업소의 27.1%가 각종 위반사항으로 적발된 불량업소로 밝혀졌다. 9일 중앙 유해

    중앙일보

    1977.12.09 00:00

  • 물 탄 쌀 막걸리

    오랫동안 금지돼 오던 쌀 막걸리의 제조가 허용됨에 따라 애주가들은 시판되는 새 술의 햇 맛을 보려고 벌써부터 기대가 크다. 막걸리는 말할 것도 없이 우리의 전통적인 토속주로 오랜

    중앙일보

    1977.12.08 00:00

  • 「한국식품」관계자 7명 연행

    서울지검 부정식품합동단속반(반장 변재일 검사)은17일 한국식품공업 대표 정세학(54), 공장장 전인규(34), 생산과장 우해룡(44), 생산과장대리 전원기(36), 판매과장 박원태

    중앙일보

    1977.09.17 00:00

  • 국교 생 7천8백 명이 집단 식중독|변질된 급식「크림」빵에「한국식품」제도

    서울시내 1백73개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16일 학교급식용「크림」빵을 먹고 이중 53개교 7천8백72명이 집단 식중독을 일으켰다. 어린이들이 먹은 빵은 서울시교위와 계약한 한국식품공

    중앙일보

    1977.09.17 00:00

  • 보건 연구소 시설 부족

    전국 각 시·도 보건 연구소의 인력과 시설 장비가 모자라 대기·수질 등 공해도 조사를 비롯, 방역·의약품 품질 검사 등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보건 연구소는 올 들어 보사부

    중앙일보

    1976.12.08 00:00

  • 허가 업소 식품 15·8%가 유해

    유해 식품 단속 중앙 대책 본부는 17일 3차 단속 기간인 9, 10월 2개월 동안 전국 식품 제조 허가 업소에서 만든 식품 8백99건을 수거, 이중 4백5건을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중앙일보

    1976.11.17 00:00

  • 식생활

    장마철에는 1년 중 식중독의 위험이 가장 많다. 세균이나 곰팡이가 무덥고 눅눅한 장마 때만 더욱 성하기 때문이다. 식품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유독한 곰팡이는 주로 쌀·보리

    중앙일보

    1976.07.12 00:00

  • (11)이것도 식품인가-고발창구

    『부정식품 고발하여 우리건강 보호하자』『망각된 상도의, 소비자에 대한 기만이다』 (한국부인회)-. 전국82개 여성단체에서는 소비자보호운동의「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불만의 창구」

    중앙일보

    1976.07.01 00:00

  • (⑨)이것도 음식인가

    수은주가 30도까지 치솟은 27일하오의 서울영등포시장안. 먼지가 푹푹일어나는 길가 잡상인틀틈에 조그마한 「아이스·박스」를놓고 그안에 각종청량음료와함께 우유를 넣어놓고 팔고있었다.

    중앙일보

    1976.06.28 00:00

  • 독성식품 추방을 위한 캠페인⑥

    5월20일. 밀도살한 쇠고기에 물을 주입, 무게를 늘려 팔려던 상인 6명이 치안본부에 검거됐다. 물 먹인 소를 잡아 파는게 아니고 잡은 쇠고기에 「콤프레서」로 불결한 물을 주입한

    중앙일보

    1976.06.24 00:00

  • 이것도 음식인가 독성식품 추방을 캠페인(4)

    상한생선에 공업용 물감 칠|빨대로 바람 불어넣어 냉동시설 엉망…오후면 상해 급성장염·식중독을 일으켜 여름철에 흔히 발생하는 식중독 사고의 원인식품 가운데 60%이상을 어패류가 차지

    중앙일보

    1976.06.21 00:00

  • 이것도 음식인가…|독성식품 추방을 위한 캠페인(2)|오염 청과물

    자연식품인 청과물류가 오염·부패되어 인체에 해를 주는 것은 생산과 유통과정·소비자의 부주의 등 3가지 요인의 경우로 구분된다. 청과물재배과정에서 병충해를 막기 위해 뿌리는 30여가

    중앙일보

    1976.06.17 00:00

  • 물먹인 쇠고기 팔아 8천만워 폭리

    치안본부는 20일 밀도살쇠고기에 불결한 물을 주입시켜 팔아 8천3백여만원의 부당이득을 본 일당 11명가운데 임종환씨(40· 서울 영등포구 구로공단 390의70)등 6명을 식품위생법

    중앙일보

    1976.05.20 00:00

  • 밀도살·부정육류 판매에 철퇴|오늘부터 시·경합동 단속|1차로 10개정육점주인 구속

    서울시는 지난해말부터 육류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지방에서 밀도살한 고기가 서울로 대량반입된다는 정보에 따라 2O일부터 경찰과 합동으로 부정축산물및 유사도매행위에 대한 합동단속에 나섰

    중앙일보

    1976.02.2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