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밀렵 적발 줄었지만…프로 중의 프로만 남았다

    밀렵 적발 줄었지만…프로 중의 프로만 남았다

     ━  수렵과 밀렵 사이   밀렵꾼이 쏜 총에 맞아 날개 한쪽이 잘린 천연기념물 흰꼬리수리. 전민규 기자 지난달 충남 논산시 도로변에서 차에 치인 고라니 한 마리가 발견됐다. 한

    중앙선데이

    2020.01.11 00:02

  • 순환수렵장 확대 vs 운영 중단…지자체, 돼지열병 확산 걱정

    순환수렵장 확대 vs 운영 중단…지자체, 돼지열병 확산 걱정

    지난 17일 오전 강원 화천군 전방에 설치한 포획틀에 야생멧돼지가 포획됐다.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방지를 위해 화천군은 전날 포획틀 20개를 제작해 설치했다. [화천군청] 겨울철

    중앙일보

    2019.10.27 05:00

  • 국제 멸종위기종 고라니, 국내선 왜 민폐동물 됐을까

    국제 멸종위기종 고라니, 국내선 왜 민폐동물 됐을까

    지난해 10월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 안병덕 재활관리사는 고라니가 쓰러져 있다는 신고 전화를 받았다. 현장에 가보니 농경지 한쪽에서 고라니 한 마리가 쓰러진 채로 고통스러운 듯 발버

    중앙일보

    2018.01.22 01:12

  • 17만 마리씩 죽는 고라니…어쩌다 '민폐 동물'이 됐나

    17만 마리씩 죽는 고라니…어쩌다 '민폐 동물'이 됐나

    폐그물에 걸린 고라니가 탈출하기 위해 발버둥을 치고 있다. [사진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 지난해 10월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 안병덕 재활관리사는 고라니가 쓰러져 있다는 신고 전화를

    중앙일보

    2018.01.21 16:41

  • 경북·강원 백두대간은 멧돼지 잡는 사파리장?

    경북·강원 백두대간은 멧돼지 잡는 사파리장?

    백두대간이 통과하는 경북과 강원도 지역에서 멧돼지를 비롯한 야생동물 수렵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야생동물들의 개체수가 늘면서 농작물뿐 아니라 인명 피해까지 자주 발생하자 지

    중앙일보

    2017.06.03 01:32

  • 탕탕탕...백두대간 '멧돼지 사파리' 가볼까?

    탕탕탕...백두대간 '멧돼지 사파리' 가볼까?

    백두대간이 통과하는 경북과 강원도 지역에서 멧돼지를 비롯한 야생동물 수렵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야생동물들의 개체수가 늘면서 농작물뿐 아니라 인명 피해까지 자주 발생하면서

    중앙일보

    2017.06.02 12:18

  • 순환수렵장 문 닫은 옥천 멧돼지 특공대 투입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으로 2016~2017년 순환수렵장 운영을 중단한 충북 옥천에서 멧돼지 퇴치 특공대가 투입된다.5일 옥천군에 따르면 야생생물관리협회·자연생태계보전협회·옥천

    중앙일보

    2017.01.05 11:05

  • 충북 옥천 AI 발생에 올해 순환수렵장 문 닫아

    충북 옥천 AI 발생에 올해 순환수렵장 문 닫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피해가 확산되는 가운데 22일 오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들이 충북 청주시 오송읍에 설치된 거점소독소에서 사료 차량을 방역하고 있다. 프

    중앙일보

    2016.12.22 10:07

  • [브리핑] 충북지역 5곳 임시 수렵장 운영

    충북도는 1일부터 제천시와 진천군·음성군·보은군·영동군에서 순환수렵장을 운영한다. 제천·진천·음성은 1일부터 보은군, 영동군은 15일과 다음 달 5일 각각 시작한다. 수렵장은 내년

    중앙일보

    2011.11.01 00:19

  • 충북, 옥천·영동·보은·단양군에 순환수렵장 운영

    충북도는 야생동물의 적정 서식밀도 조정을 위해 17일부터 내년 3월 16일까지 옥천·영동·보은·단양 등 4개 군에서 순환수렵장을 운영한다. 수렵장에서는 3종의 포획승인권이 발급된다

    중앙일보

    2010.11.08 01:06

  • 충북, 보은·옥천·영동·단양군 순환수렵장 운영

    충북도는 다음달 1일부터 내년 2월 29일까지 4개월간 보은·옥천·영동·단양 등 4개 군(郡)에서 순환수렵장을 운영한다고 30일 밝혔다. 수렵지구는 국립공원과 문화재·군사시설보호구

    중앙일보

    2007.10.31 05:43

  • [로컬가이드] ‘시민을 위한 군악축제’ 外

    [로컬가이드] ‘시민을 위한 군악축제’ 外

    ◆육·해·공군의 각 본부 군악대와 대전시립예술단이 함께 펼치는 ‘시민을 위한 군악축제’가 2일 오후 7시30분 충남대 정심화국제문화회관에서 화려하게 펼쳐진다.건군 제59주년을 기념

    중앙일보

    2007.10.01 05:59

  • 구례군 등 수렵장 개장

    구례군 등 수렵장 개장

    전남 구례.강진.함평군과 전북 정읍시 등 전국 15개 시.군의 순환수렵장이 21일 개장됐다. 수렵장은 2006년 2월 말까지 운영된다. 순환수렵장은 해마다 11월1일 시작됐으나

    중앙일보

    2005.11.21 22:26

  • 전국 수렵장 15곳 개장

    전국 수렵장 15곳 개장

    강원도 춘천시 등 전국 15개 시.군 순환수렵장이 21일 개장됐다. 수렵장은 2006년 2월 말까지 운영된다. 순환수렵장은 해마다 11월 1일 시작됐으나 올해는 부산에서 열린 A

    중앙일보

    2005.11.21 21:50

  • 전남 화순·영암·영광에 순환수렵장

    전남 화순.영암.영광 등 3곳이 1일부터 내년 2월 말까지 순환수렵장으로 지정, 운영된다. 전남도는 "화순 425㎢와 영암 256㎢.영광 189㎢ 등 모두 870㎢를 수렵지역으로

    중앙일보

    2004.10.31 20:51

  • 원주·태안·영동에 순환수렵장

    환경부 방침에 따라 강원도 3개 시.군(원주.홍천.평창)과 충남 태안군, 충북 영동군이 11월 1일부터 내년 2월말까지 4개월 동안 순환 수렵장을 운영한다. 수렵 희망자는 2만~4

    중앙일보

    2004.10.26 20:45

  • 안동호 주변에 야생동물 공원 조성

    안동호 주변에 야생동물 생태공원이 들어선다. 경북도는 29일 내년부터 안동시 도산면 동부리 안동호 주변 산림 및 경작지 30만평을 사들여 야생동물 생태공원을 조성한다고 밝혔다. 도

    중앙일보

    2001.10.30 00:00

  • 제주도 수렵장 내달 개장

    제주도는 14일 한라산국립공원 내 천연보호구역과 절대보전지역.도시계획구역, 도로에서 1백m 이내 지역 등을 제외한 도내 전지역 8백6.4㎢를 11월부터 내년 2월 말까지 수렵장으로

    중앙일보

    2001.10.15 00:00

  • 제주도 일원수렵장 11월부터 개방

    전국 유일 고정수렵장을 운영하고 있는 제주도가 11월부터 수렵시즌을 개막한다. 제주도는 24일 한라산국립공원내 천연보호구역과 절대보전지역.도시계획구역, 도로에서 1백m이내 지역등을

    중앙일보

    2000.10.25 00:00

  • 제주도, 수렵시즌 11월 개막

    전국유일 고정수렵장을 운영하고 있는 제주도가 11월부터 수렵시즌을 개막한다. 제주도는 24일 한라산국립공원내 천연보호구역과 절대보전지역.도시계획구역, 도로에서 1백m이내 지역등을

    중앙일보

    2000.10.24 10:15

  • 전남·북지역 4년만에 순환 수렵장 지정

    전남.북지역이 다음달 1일부터 내년 2월 말까지 4개월 동안 순환수렵장으로 설정돼 사냥이 가능하다. 순환수렵장은 야생 조수의 개체수 조정을 통한 자연생태계 균형 유지를 위해 전국을

    중앙일보

    2000.10.07 00:00

  • 불법 사냥에 통신선로 훼손에…순환수렵장 "무법천지"

    순환수렵장으로 지정된 충남.북 지역에서 불법 수렵과 통신선로 훼손등이 속출하고 있다. 대한 수렵관리협회 대전.충남지부와 충남도 등에 따르면 순환수렵장으로 개장된 지난 15일 이후

    중앙일보

    1999.12.04 00:00

  • 올해 순환수렵장 충남·북에 개설

    전국 4대 권역별로 돌아가며 4년마다 개설되는 순환수렵장이 올해는 충남.북 지역에 개설.운영된다. 충남도는 28일 다음달 15일부터 내년 2월말까지 도내 전체 면적(8천5백89㎢)

    중앙일보

    1999.10.29 00:00

  • 11월∼내년2월까지 강원도 수렵 허용

    오는 11월1일부터 내년 2월말까지 강원도 전역에서 수렵이 허용된다. 이는 4년마다 각 시.도를 돌아가며 열리는 산림청의 순환수렵장제도에 따른 것으로 대상면적은 군사시설보호구역.공

    중앙일보

    1998.10.1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