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빨간 인공색소는 해롭다-대한생화학회 이종진 박사 조사서

    식품에 사용되는 각종 인공색소의 유해성이 최근 외국에서 또다시 제기되고있어 식용인공색소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워싱턴 카이저 재단의 페인골드 박사의 실험에 따르면 사탕

    중앙일보

    1974.04.11 00:00

  • (37)-소금은 두 얼굴을 지니고 있다.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 되라』는 말이 의미하듯 소금은 생명을 유지하는데 없어서는 아니 되는 가장 긴요하고 기본적인 물질이다. 그러나 섭취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오히려 건강을 해쳐

    중앙일보

    1974.03.07 00:00

  • 한국음식 1인분의 영양-잔치음식

    신선로·전골·구절판은 우리들이 흔히 먹는 음식이라기보다는 이름만 들어도 잔치기분이 나는 음식이다. 신선로까지 차렸더라하면 정성 들여 차린 잔칫상 또는 크게 차린 잔칫상을 말하게 된

    중앙일보

    1974.02.28 00:00

  • 3년만에 재론…「사카린」사용여부

    3년전 발암성우려로 일부 사용 금지됐던 인공조미료「사카린」을 경제각의가 각종원자재 절약책의 하나로 사용 확대키로 결정함에 따라 보사부가 이의 당부(당부)검토에 나서 인체에 대한 「

    중앙일보

    1974.02.21 00:00

  • 저「칼로리」는 장수를 보증한다.

    『「빌카밤바」마을 주민들은 다른 저개발국 주민들과 마찬가지로 현대적인 위생시설이나 현대 의학의 혜택을 조금도 받지 못하고 있었다. 마을을 가로지르는 자그마한 개천이 식수를 비롯해서

    중앙일보

    1974.01.24 00:00

  • (3)떡국·만두국·냉면·국수·수제비 등 가루음식-김숙희(이대교수·식품영양학박사)

    정월이 다가오면 떡국이나 만두국을 많이 먹게된다. 그리고 국수는 무슨 큰 행사에 주식으로 많이 등장한다. 결혼잔치에는 으레 빠지지 않는 음식이다. 요즈음은 식량사정으로 분식장려라는

    중앙일보

    1973.12.21 00:00

  • (55)겨울을 건강하게

    1년 내내 영하의 혹한 속에서 건강을 누리는 북극의「에스키모」인들의 생활은 장수의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즐겨 인용하는 본보기이다.『섭취「칼로리」2천6백. 지방 1백40g, 단백질

    중앙일보

    1973.12.08 00:00

  • 임신중독증과 식이요법|배병주·김지화씨 공동연구

    임신중이나 출산 후에 고혈압·단백뇨·부종 등의 증상이 생기고 경련·혼수상태에서 사망에 이르기도 하는 임신중독증은 우리나라의 경우 10%이상의 발생빈도를 갖는 무서운 증세이다. 배병

    중앙일보

    1973.11.29 00:00

  • 알레르기병충 그 원인과 치료법

    대기가 오염되고 식생활이 향상됨에 따라 「알레르기」환자가 늘고있다는 사실이 흔히 지적되고있다. 공장이 많이 들어선 일본의 「요꼬하마」에 천식환자가 유난히 많아 『「요꼬하마」천식』이

    중앙일보

    1973.10.25 00:00

  • (37)당뇨병

    우유1병(4백g)·달걀1개(50ㅎ)·어육류1백20∼1백50g(생선1마리와 쇠고기50∼80g)·두제품1백∼1백50g(간장3분의2큰수저·두부3분의1모),녹유야채1백g 담색야채2백g·근

    중앙일보

    1973.08.04 00:00

  • (34) 식초

    우리 몸이 지닌 신진 대사 「메커니즘」의 중핵을 이루는 것에 「크렙스·사이클」이란 게 있다. 음식물을 섭취한 후 「에너지」가 발생하려면 반드시 이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크렙스·

    중앙일보

    1973.07.14 00:00

  • 미국이 농산물 수출 전면 금지하면 일본 국민 4분의1이 굶는다

    세계의 곡창 미국이 농산물의 수출 규제를 함으로써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영향이 미치고 있다. 가장 큰 영향을 입는 것이 일본. 미국 농산물이 전면 「스톱」되면 일본 국민의 4분의1이

    중앙일보

    1973.07.06 00:00

  • 혼분식 30% 배율 너무 높다

    혼분식은 쌀에 보리나 밀가루를 5∼15% 섞어 먹는것이 가장 이상적이기때문에 혼식비을이 조절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밀가루보다는 보리혼식을 하는 것이 영양에 좋다고 주장됐다. 이

    중앙일보

    1973.06.16 00:00

  • 인구와 식량(하)

    인구문제에 관한 한 권위 있는 보고는 인구의 증가, 공업생산 등의 「성장의 한계」는 1백년이 못되어 돌연 위기의 형태로 나타난다고 경고하였으나 이에 대해서도 반론이 제기됐다. 이를

    중앙일보

    1973.06.06 00:00

  • 변비환자를 위한 식군|규칙적인 배설·충분한 휴식 취해야|

    변비는 변통이 어려운 것을 말하는데 장운동의 빈도는 사람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고 변통은 전적으로 개인의 생리적인 문제에 속하므로 일괄해서 정의를 내리기는 힘들다. 건강의 가장 중요

    중앙일보

    1973.05.08 00:00

  • 식탁의 과학|노인을 위한 식단|김숙희·김영자

    나이를 먹음에 따라 인체는 해부학적으로, 생리적으로 또한 생화학적으로 변화를 가져오며 이런 현상은 영양소 요구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세계적인 추세로 보아서 노인인구가 과거

    중앙일보

    1973.03.10 00:00

  • (7)고혈압에 나쁜 음식

    남부「에콰드르」의「빌카밤바」산악계곡지역은 최근 알려진 장수촌. 이곳에서는 1백세쯤사는것이 그다지 신기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그도 그럴것이 9백명의 주민중 85세이상이 무려 40명이

    중앙일보

    1973.02.27 00:00

  • 혈압 높은 사람을위한 식단-김숙희·김영자

    고혈압으로 고생하는 사람중 많은수가 동맥경화증을 가지고 있다. 그 원인규명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해왔지만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이 남아 있다. 그러나 여러 학자들의 실험을

    중앙일보

    1973.02.10 00:00

  • (3)소금의 양을 조절하는 식단

    김숙희·김영자 (이대교수·식품영양학) 우리나라 식사습관은 세계에서 소금의 섭취량이 높은 나라에 속한다. 소금의 다량섭취는 여러가지신체의 기능장애를 일으키기 쉽다. 다음의 식단은 소

    중앙일보

    1973.02.03 00:00

  • (1)새로운 식단정립을 위한 시리즈

    식비가 우리살림에선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면서도 그 식탁의 경제성에대해선 아직 많은사람들이 주먹구구식의 운영을하고 있을뿐이다. 가족의 건강과 취향, 비용을 계산하는 효율적인 운영,

    중앙일보

    1973.01.13 00:00

  • 미국인의 식생활과 비만증

    최근 미국인들은 전혀 예기치 못한 적 때문에 고전하고 있다. 풍요로 윤택해진 식생활이 오히려 건강을 위협하는 사실로 둔갑, 미국인을 공격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그래서 「무엇을 먹어

    중앙일보

    1972.12.16 00:00

  • 과학을 하는 자세|김숙희(이대교수·영양학)

    「멕시코·시티」에서 지난 9월 3일부터 9일까지 제9차 국제영양학 회의가 열렸었다. 1백개 국에서 약 3천5백명의 학자가 모여 자기 나름의 의견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기회를 가졌었다

    중앙일보

    1972.10.09 00:00

  • 24년 뒤의 세계인구 74억-최신 유엔 통계 연감서 밝혀

    【유엔본부 9일 UPI동양】약 36억명에 달한 세계인구는 연평균 2%인 현재의 세계인구 증가율이 그대로 계속될 경우 앞으로 28년 후면 세계인구가 배로 늘어날 것이라고 유엔 통계

    중앙일보

    1972.07.10 00:00

  • 쌀과 꿈

    이라는 외화가 있었다. 시골의 경찰서장이 길바닥에 쭈그려 앉아서 뭣인가 먹고 있는 노인에게 물었다. 『뭣을 먹고 있습니까?』 『「콥베빵」입니다.』 『뭔가 사이에 끼어 넣은 것이 있

    중앙일보

    1972.07.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