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와이드 책꽂이] '한국의 사계 여행' 外

    ◇ 한국의 사계 여행(임인학 글.사진, 창해, 전4권, 각 권 7천8백원)〓사진작가인 저자가 10년간 전 국토를 누비며 우리 역사와 문화, 자연의 아름다움을 사진으로 찍고 글로 푼

    중앙일보

    2001.06.16 00:00

  • [해인사 동안거 끝나던 날]

    음력 정월 대보름인 7일 새벽 3시 가야산 해인사. 반도의 남쪽이지만 깊은 산속 절집의 바람은 차다. 찬 바람을 가르는 북소리. "둥, 둥, 두두둥, 둥둥둥둥…. " 점점 빨라지는

    중앙일보

    2001.02.09 00:00

  • 종교학 크로스오버 시도 다양

    기독교 신학자가 동양철학을 강조하고, 불교학자가 선(禪)의 세계를 서양철학으로 해석하는 책을 각각 내놓았다. 신학자인 강남대 김흡영 교수는 '道의 신학' (다산글방)이란 책에서 새

    중앙일보

    2000.11.17 00:00

  • 전통 선 수행법 비판 토론회 열려

    '무(無)' '이 뭐꼬. '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로다. ' 화두(話頭)는 이렇게 애매하다. 선(禪)을 강조하는 우리나라 승려들은 깨달음을 얻고자 이런 화두를 붙잡고 절간에 앉아

    중앙일보

    2000.10.27 00:00

  • 뚜웨이밍 교수 "한국 기독교-불교 대화채널 필요"

    "한국은 특이하게도 여러 종교가 매우 활발하게 공존하는 나라이기에 '종교간의 공존' 이라는 미래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미국의 종교철학자인 뚜웨이밍(杜維明.60.하버드대)교수

    중앙일보

    2000.09.25 00:00

  • "조선시대 민중혁명 드라마 사실적 재현"

    역사를 공부하는 사람을 만나는 일은 솔직히 당혹스럽다. 그에게로부터 들어야 할 이야기가 너무 많아서다. 끝도 없이 펼쳐지는 그의 이야기를 듣는 일은 적잖이 지겨워질 수도 있다. 역

    중앙일보

    2000.08.01 13:25

  • [신 남북시대] 정상회담이후 바빠진 문화계

    15일 막을 내린 남북정상회담에서 양측이 사회.문화교류를 활성화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벌써부터 문화예술단체의 움직임이 부산해지고있다.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활발해진 문화교류를 겨냥해

    중앙일보

    2000.06.16 00:00

  • 다른 종교에서 본 예수

    "그리스도는 전적으로 독보적이며 유일무이한 존재다. 그가 만약 소크라테스 같은 현자(賢者) 나 마호메트 같은 선지자, 혹은 부처처럼 깨달음을 얻은 자에 불과했다면 지금의 그와는 달

    중앙일보

    2000.04.04 21:46

  • 구조주의 철학자 들뢰즈 해부…이정우 '시뮬라크르…'

    "우리가 행하는 모든 문화활동은 의미를 전제합니다. 그 의미로 인해 행위는 단순한 물리적 변화가 아니라 문화적 활동이 되는 것이죠. (…) 그렇다면 의미는 문화의 가장 아래 층위,

    중앙일보

    1999.04.15 00:00

  • 서울도심 불상없는 전통선원 탄생

    불상을 모시지 않는 선불교 본래 모습의 선원 (禪院) 이 서울 도심에 생긴다. 조계종 덕숭총림 수덕사는 22일 서울 강남 신사동에 무불선원 (無佛禪院) 과 한국불교선학연구원 (이사

    중앙일보

    1999.01.16 00:00

  • [선을 찾아서]38.끝 덕산 古德禪院

    부처도 조사도 죽여라(殺佛殺祖) 나는 우리 선조들과는 달리 생각한다. 부처도 조사도 없고 달마는 냄새나는 야만인이다. 석가모니는 별볼일 없는 마른 똥막대기요, 문수·보현보살은 변소

    중앙일보

    1997.08.31 00:00

  • [선을찾아서]36.남악 磨鏡台

    벽돌로 거울을 만들다(磨 作鏡) 남악:보니 자네 좌선을 열심히 하는데 좌선해서 뭘 얻으려고 하나. 마조:부처가 되고자 합니다. (남악회양선사(677~744)는 마조의 초암 마당가에

    중앙일보

    1997.08.03 00:00

  • 하늘과 순수와 상상, 100문 100답, 형이상학

    ◇하늘과 순수와 상상(정진홍 지음)=인간생활에 깊숙히 영향을 미치고 있는 종교문화를 분석했다.3부로 나눠 종교문화의 본질을 탐구하고 종교다원화 사회에서 종교간 대화양식은 어떤 식으

    중앙일보

    1997.07.06 00:00

  • 32.조주 柏林禪寺

    모든 것을 아낌없이 버려라(放下着) 묻는다:이렇게 빈 손으로 왔습니다. 한 물건도 가지고 있지 않을 때는 어떻습니까. 답한다:그러면 땅에 내려놔라(放下着)! 묻는다:아무 것도 가지

    중앙일보

    1997.06.15 00:00

  • 30. 숭산 오유봉 달마동굴

    묻는다:내가 즉위한 이래 많은 절을 짓고 , 경전을 사경(寫經)하고,수많은 승려에게 공양을 했소.이 모든 것들이 얼마만한 공덕이 되겠소 . 답한다:전혀 공덕이 되지 않습니다(無功德

    중앙일보

    1997.05.18 00:00

  • 28. 천주산 三祖禪寺

    묻는다:원하옵건대 해탈법문으로 이 몸의 속박을 풀어 주십시오. 답한다:누가 너를 묶어 놓았는가. 묻는다:아무도 저를 묶은 사람은 없습니다만… . 답한다:그렇다면 너는 이미 한껏 자

    중앙일보

    1997.05.04 00:00

  • 선불교 학술대회 개최

    선불교 학술대회 개최 …성철선사상연구원(원장 목정배)은 성철선사 탄신 86주년을 맞아 5월3일 연세대 인문관에서'선불교와 해체론시대의 서구철학'이라는 주제로 춘계학술대회를 연다.9

    중앙일보

    1997.04.29 00:00

  • 20.명암 寒山寺 下.

    숲속 오막살이에 無所有의 진리가… 나의 띠풀집(茅屋) 들사람 사는 오막살이 집이라 문앞에는 차마(車馬)의 시끄러움 없네. 숲이 깊숙해 한낱 새만 모이고 시내가 넓어 본래 물고기 있

    중앙일보

    1997.02.16 00:00

  • 19.명암 寒山寺 上.

    사람이 있어 한산 가는 길을 묻는구나 그러나 한산엔 길이 통하지 않네. 나같으면 어떻게 갈 수가 있지만 내 마음 그대 마음같지가 않네. 만일 그대 마음 내 맘같다면 어느덧 그 산속

    중앙일보

    1997.02.02 00:00

  • 신비의 천연도료 옻칠이 돌아온다

    현대화의 그늘에 묻혀온 옻칠은 우리 민족 전통공예의 정수였다.오늘,찬란한 옻칠문화를 되살리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산업화'를 무기로 한국 옻칠의.세계화'를 향한 새로운 장정이 시

    중앙일보

    1997.01.18 00:00

  • 11.운거산 眞如禪寺上.

    영양은 뿔을 나무에 걸고 잔다(羚羊掛角) 묻는다:영양이 뿔을 나무에 걸 때는 어떠합니까. 답한다:육륙은 36이니라. 묻는다:뿔을 걸고 난 뒤는 어떠합니까. 답한다:육륙은 36이니라

    중앙일보

    1996.11.30 00:00

  • 8.구화산 萬年禪寺 等身佛

    옛 선승들은 이렇게 죽어갔다. 죽음을 예감하면 양지바른 산속 잔디밭이나 숲속으로 들어가 홀연히 좌화(坐化)했다.시신이 썩은 자리에는 잔디나 풀이 유난히우거졌다.그래서 바랑(鉢囊)하

    중앙일보

    1996.11.02 00:00

  • 2.조계 南華禪寺

    깨달음엔 본래 나무 없고 (菩提本無樹) 거울 또한 대가 아니다 (明鏡亦非台) 본래 한 물건도 없거늘 (本來無一物) 어디 티끌이 있으랴 (何處有塵埃) 돈오의 남종선을 개창한 제6대

    중앙일보

    1996.09.21 00:00

  • 1.운문산 大覺禪寺

    운문산 대각선사(속칭 운문사)방장 불원(佛源)화상과의 필담을 위해 기자는 휴대용 휴지위에 서툰 한문을 써나갔다.휴지의 사용은 오물에 대한 이야기의 격(?)을 갖추고자함이었다. 원래

    중앙일보

    1996.09.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