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시급한 교육학의 정립|성옥연

    제6차 국제 교육학회가 지난 9월3일∼9일 「파리」의 「도핀」대학에서 열렸다. 세계56개국에서 온 7백 여명의 회원과 함께 필자도 「교육학에 있어서 기초과학의 기여」라는 주제에 참

    중앙일보

    1973.10.17 00:00

  • 민족과 역사의 인류학적 의미|소설『태풍』을 읽고

    중앙일보에 연재 중이던 최인훈씨의 역작장편 『태풍』이 13일(일부지방 14일) 2백43회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 이 소설은 신문연재소설로는 그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깊은 문

    중앙일보

    1973.10.15 00:00

  • GATT 동경선언

    협상방법론에 차이를 보였던 미국과 EC가 각기 일보씩 후퇴하여 동경선언이 이루어지게 되었으나 통화협상과 무역협상이 다같이 원만하고 조화 있게 타결될 것이냐는 앞으로 좀더 두고 보아

    중앙일보

    1973.09.14 00:00

  • 사단의 양심과 사명감|「제3회 대한민국 사진전」에 제언한다|김행오

    고언은 듣는 사람만큼이나 하는 사람도 괴로운 일이다. 그러나 고언을 해야될 때 하지 못하는 만큼 서로가 더 슬픈 일도 없다. 이것은 서로의 파국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전의

    중앙일보

    1973.09.12 00:00

  • (14)|첫 소련입국한국인 유덕형 씨 기행문|유덕형(자서)

    내가「모스크바」에서 가장 관심을 가졌던 것은 물론 연극이었다. 나는 냉전 이후 처음으로 소련 땅을 밟은 한국인이기도 했지만 무엇보다도 국제연극회의에 참석한 연극인이었기 때문이다.

    중앙일보

    1973.06.19 00:00

  • 문단의 쟁점 농민문학론 그 「시」와 「비」

    최근 우리 문단일각에서는 이른바 민족문학으로서의 농민문학에 대하여 새로운 작업과 새로운 평가를 시도하자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또 다른 한쪽에서는

    중앙일보

    1973.06.09 00:00

  • 사회과학이론의 보편성과 특수성|한국사회학회주체 학술토론회

    사회과학에 있어서 이론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를 다룬 학술토론회가 26일 서강대에서 열렸다. 한국사회학회가 마련한 이 모임에서는 심리학·경제학·정치학, 그리고 사회학 등 4분과에

    중앙일보

    1973.05.29 00:00

  • "도전 받는 「일본문화 일원화」|「동아시아 고대문화를 생각하는 모임」

    【동경=박동순특파원】지금 일본의 이른바 「통설적 고대사관」은 심각한 근원적 도전에 직면해 있다.「동아시아의 고대문화를 생각하는 모임」은 지난10일「일본의의 기원」「심포지엄」(12일

    중앙일보

    1973.02.19 00:00

  • <비극적 체험과 비극적 형상화 현진건시고|전영태

    I, 서언 비극적인 것(The Tragic)의 속성을 선과 악, 긍정과 부정의 아이러니컬한 교차 속에서 끝없이 갈등을 일으키다가 결국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몰락하는 것이라 본다면

    중앙일보

    1973.01.08 00:00

  • (1)문학

    금년 한햇 동안의 우리 문학은 각 「장르」에 걸쳐 예년에 비해 두드러지게 활발한 움직임을 보았으면서도 특징 지을만한 하나의 일관된 흐름은 형성하지 못했다. 이것은 곧 열의와 의욕에

    중앙일보

    1972.12.14 00:00

  • 「통일 대비한 교육의 과제」이규호 박사 주제발표|교육역량의 극대화

    「통일에 대비하는 교육의 과제」를 주제로 다룬 한국교육학회(회장 김종철)제11회 학술발표대회가 3, 4일 수도사대부속여고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서 이규호 박사(연대)는 주제강연을

    중앙일보

    1972.11.06 00:00

  • 「존·R·힉스」

    「잉글랜드」의 「워크리셔」에서 1904년에 출생. 클립튼대학 및 옥스퍼드대학에서 수학했다. 런던대학·케임브리지대학·맨치스터대학을 거쳐 52년이래 옥스퍼드대학에서 경제학을 강의. 주

    중앙일보

    1972.10.26 00:00

  • 평년작 못 미칠 올 벼농사

    올 벼농사가 흉작을 면하기 어렵게 됨에 따라 새해의 쌀 사정은 외미에 크게 의존해야 될 것 같다. 농촌진흥청 조사에 따르면 올 벼농사는 목표 2천9백93만섬에 비해 3∼4백만섬이

    중앙일보

    1972.10.09 00:00

  • 뮌헨 뒤흔든 검은 9월단의 정체

    『언제고 무기를 들고 고향에 돌아갈 날을 고대하며』20여년을 무장전쟁에 의한 「팔레스타인」의 해방을 내걸고 살아 온「아랍·게릴라」들은 「아랍」민족의 과격행동파이다. 1948년 「벤

    중앙일보

    1972.09.06 00:00

  • 대학에서의 「국민윤리」교육|전국 각 대학 담당교수 「세미나」

    전국 각 대학 국민윤리담당교수 「세미나」가 24, 25일 중앙대학교에서 열렸다. 중앙대가 주최한 이 「세미나」는 오늘날 한국이 당면한 복잡한 여건 속에서 대학의 「국민윤리」과목이

    중앙일보

    1972.08.26 00:00

  • 한국과 일본의 「샤머니즘」

    일본 동경교육대학 대총민속학회 주최의 『한단과 일본의 「샤머니즘」』을 주제로 한 「세미나」가 지난 4일 동경 대에서 열렸는데 여기에 주제발표자로 초청을 받아 지난 20일까지 21일

    중앙일보

    1972.07.26 00:00

  • 연구지를 통해본 기초인문과학 그 소외 속에서의 탈피 노력

    한국의 인문과학계는 학계에서도 소외감을 느끼는 분야다. 근대화와 산업화의 여파로 자연과학계나 기술과학계는 상당히 각광을 받고 있으며 급변하는 정치·경제·사회구조와 관련해서 사회과학

    중앙일보

    1972.07.25 00:00

  • 영·일어판 저서 셋 출간

    근년 들어 우리 학계에는 국내학자들의 저서 또는 논문을 영·일어 등 외국어로 번역 소개하는 작업이 활발해 지고 있다. 이 출판물들은 대부분 국내 출판사를 통해 외국어로 간행하는 경

    중앙일보

    1972.07.03 00:00

  • 처용설화 그 종합적 고찰

    한국학 연구방법론 정립을 위한 첫 시도로서 성균관대 대동문화 연구원은 3일 동교 호암관에서 「처용설화의 종합적 고찰」을 주제로 학술 「심포지엄」을 가졌다. 처용설화라는 하나의 「테

    중앙일보

    1972.06.05 00:00

  • 한국교육에 미친 존·듀이의 영향

    그의 20주기를 맞아 2일은 존·듀이가 세상을 떠난 지 꼭 20주기를 맞는 뜻깊은 날이다. 그는 1859년10월20일 미국에서 태어나 1952년6월2일 92세로 생을 마쳤다. 그는

    중앙일보

    1972.06.01 00:00

  • 한국적 사회 과학 체계의 모색

    한 사회 학회는 최근에 있었던 72년도 춘계 대회에서 『한국 사회 과학의 반성』으로 주제로 한 발표와 토론회를 가졌다. 이 회담에서는 사회 과학의 제분야간을 지향하기 위하여「경제학

    중앙일보

    1972.05.16 00:00

  • 한국 사회 과학의 병리 진단|한국 사회학회 춘계 대회

    한국 사회학회는 12일 고려대에서 「한국 사회 과학의 반성」을 주제로 한 72년도 춘계 사회학 대회를 가졌다. 「경제학과 사회학」, 「정치학과 사회학」, 「역사학과 사회학」등 세분

    중앙일보

    1972.05.15 00:00

  • 이달의 시-비서구적인 일련의 시들

    시는 어떤 정신의 정상에 이를 때 아름답다. 정상에 이를 때만이 우리를 얽매고 있는 세계를 전체적으로 볼 수 있고 또 그 너머에 있는 다른 세계를 살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중앙일보

    1972.05.09 00:00

  • 「봉·상스」

    『「봉·상스」(bon sens)가 없구나!』 불란서 사람들은 이 말을 들으면 여간 당황하지 않는다. 모욕으로 생각하는가 보다. 「봉·상스」는 불어지만, 세계의 용어로 애용(?) 되

    중앙일보

    1972.04.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