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민족' 떼려는 진보 담론 열린 민족주의로 가나

    "이제 20세기 '민족주의 시대'를 넘어, 21세기 '국제협조.국제연대의 시대'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최근 '민족주의의 시대-일제하의 한국 민족주의'(경인문화사)란 책을 펴낸

    중앙일보

    2007.01.26 04:32

  • [BOOK꿈나무] 고조선은 잊어라, 한국사는 신라부터 ?

    [BOOK꿈나무] 고조선은 잊어라, 한국사는 신라부터 ?

    민족인가, 국가인가? 이종욱 지음, 소나무, 336쪽, 1만8000원 니체는 역사를 기념비적, 골동품적, 그리고 비판적 방법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각각 찬미, 회고, 반성을 뜻

    중앙일보

    2007.01.19 20:08

  • 6월 항쟁 20년을 뛰어넘기 '2단계 민주화론' 대 '선진화론'

    6월 항쟁 20년을 뛰어넘기 '2단계 민주화론' 대 '선진화론'

    진보 진영과 뉴라이트, 엇갈린 6월의 과제와 전망 퍼포먼스,학술대회에 각종 자료집도 출간 예정 올해는 1987년 6월 민주항쟁 20주년을 맞는 해이다. 이와 함께 12월엔 대통령

    중앙일보

    2007.01.03 20:45

  • 중국 집요한 '역사공정'

    중국 집요한 '역사공정'

    중국이 한반도와 만주 문화의 뿌리로 알려진 랴오허(遼河) 일대의 북방 신석기 문화를 자국 문명권에 편입하려는 노력을 가속하고 있다. 선사(先史)시대 중국문명의 판도를 기존 학계가

    중앙일보

    2006.12.18 04:26

  • [BOOK책갈피] 진지한 정감록, 재밌는 정감록

    [BOOK책갈피] 진지한 정감록, 재밌는 정감록

    한국의 예언 문화사 백승종 지음, 푸른역사 388쪽, 1만6500원 정감록 역모 사건의 진실게임 백승종 지음, 푸른역사 380쪽, 1만4500원 한국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예언서로

    중앙일보

    2006.12.01 21:04

  • 단군조선 부정… 뿌리 없는 나라 자초

    우리 국사 교과서는 단군조선을 부정하고 있다. 중국 동북공정의 원뿌리인 탐원공정의 노림수는 바로 이 대목이다. 고조선의 시초부터 바로잡자는 역사학자 이덕일의 쓴소리-. 중국의 동

    중앙일보

    2006.10.06 18:11

  • "금·청나라 한국사에 편입해야"

    "중국의 한족(漢族)은 한(漢).당(唐) 이후 만주 지역을 한번도 완전하게 지배한 사실이 없다. 고구려와 발해를 이어 만주 일대에 건국된 여진족의 금(金)과 만주족의 청(淸)을 넓

    중앙일보

    2006.09.15 04:44

  • [week&개봉작] 한반도 外

    [week&개봉작] 한반도 外

    ◆ 한반도 감독:강우석 출연:안성기.문성근.조재현.차인표.강신일 장르:액션 등급:15세 홈페이지:(www.hanbando2006.com) 내용:경의선 철도 개통식을 열자 일본은

    중앙일보

    2006.07.13 18:03

  • 이화여대 새 총장에 이배용 교수 선출

    이화여대 새 총장에 이배용 교수 선출

    이화여대 이배용(59.여.사학.사진) 인문과학대학장이 9일 이 대학 제13대 총장으로 선출됐다. 학교법인 이화학당(이사장 윤후정)은 이날 오전 이사회를 열어 전임교수 74명이 추

    중앙일보

    2006.06.10 05:20

  • 청동기 탄천에선 무슨 일이…

    분당 중앙공원의 광장 바로 뒷편 산 기슭에는 크기가 다른 '돌덩어리' 10개가 모여 있다. 중앙에는 길이 2m가 넘고 무게도 8t 가까이 됨직한 큰 돌이 놓여 있다. 야외수업 나온

    중앙일보

    2006.06.05 11:00

  • 인문학 '실명 비판의 칼'

    인문학 '실명 비판의 칼'

    학계에 '실명(實名) 비판'의 새 바람이 불고 있다.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특정 주의.주장이나 학파를 겨냥하는 방식으로 진행돼 온 논쟁이 이제는 직접 상대 학자의 이름과 경력을

    중앙일보

    2006.05.24 04:20

  • 중국 "고구려 무덤 2300기 발견"

    중국 "고구려 무덤 2300기 발견"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을 마주보고 있는 중국 지린(吉林)성 바이산(白山)시의 윈펑(雲峰)댐 수몰지역에서 고구려 때 것으로 보이는 고분 2300기가 무더기로 발견됐다고 신화통신

    중앙일보

    2006.05.10 20:15

  • "상하이는 한국땅이었다?" 주장에 中네티즌 격분

    "상하이는 한국땅이었다?" 주장에 中네티즌 격분

    고구려·백제·신라 등 삼국이 중국 대륙에 실재했다는 한 사학자의 입장을 담은 ‘우리역사’라는 책이 중국 네티즌 사이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책에서 발췌한 도표가 중국 인터넷에 퍼지

    중앙일보

    2006.05.10 10:05

  • [BOOK기획리뷰] 학문에 똬리 튼 ‘가짜 신화’

    [BOOK기획리뷰] 학문에 똬리 튼 ‘가짜 신화’

    고대 도시국가 아테나의 수호신인 ‘아테나 여신’. 원래는 이집트의 네이트 여신이 뿌리라서 검은 색깔의 ‘블랙 아테나’로 출발했고 동방문명의 흔적이 짙으나 나중에 ''흰둥이''로 둔

    중앙일보

    2006.01.20 20:39

  • [바로잡습니다] 12월 17일자 33면 '사학계 원로…' 제목의 기사 중

    12월 17일자 33면 '사학계 원로 신연철씨 별세' 제목의 기사 중 '추사 김정호'를 '추사 김정희'로 바로잡습니다.

    중앙일보

    2005.12.19 05:14

  • 사학계 원로 신연철씨 별세 시신은 성균관대 의대 기증

    사학계 원로 신연철씨 별세 시신은 성균관대 의대 기증

    사학계 원로인 부촌(阜村) 신연철 성균관대 명예교수가 16일 오전 11시45분 숙환으로 별세했다. 75세. 고인의 뜻에 따라 시신은 모교인 성균관대 의과대에 기증된다. 1930년

    중앙일보

    2005.12.17 05:14

  • 전해종 서강대 명예교수 인문학 연구기금 1억 기부

    전해종 서강대 명예교수 인문학 연구기금 1억 기부

    서강대는 한국 사학계 원로인 전해종(86) 서강대 명예교수가 사재 1억원을 들여 '경백 동양사 연구기금'을 조성해 이 학교 사학과에 기부했다고 14일 밝혔다. 전 교수는 "인문학

    중앙일보

    2005.09.15 05:34

  • [행복한 책읽기] 덧나는 현대사 상처, 이젠 꿰맬 때

    [행복한 책읽기] 덧나는 현대사 상처, 이젠 꿰맬 때

    한국 근현대사의 '덧나는 상처'인 친일 등 과거사 문제가 다시 불거졌다. 민족문제연구소가 8월29일 발표한 친일파 3090명 명단을 둘러싼 논쟁은 사회적 공감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

    중앙일보

    2005.09.02 20:30

  • [책동네] 김산의 '아리랑' 개정3판 나와 外

    김산의 '아리랑' 개정3판 나와 1984년 첫 번역된 '아리랑'(님 웨일즈.김산 지음, 송영인 옮김, 동녘, 512쪽, 1만5000원)의 개정3판이 최근 출간됐다. 초판이 나올 때

    중앙일보

    2005.08.19 20:39

  • [BOOK/즐겨읽기] 수메르 건국신화 비밀

    [BOOK/즐겨읽기] 수메르 건국신화 비밀

    수메리안 (전2권) 윤정모 지음, 파미르, 368쪽, 9500원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 '고삐' 등 여성 문제와 반미 문제를 주로 소재로 다뤘던 작가 윤정모씨가 이번에는 500

    중앙일보

    2005.08.12 21:35

  • [이 책과 주말을] '사라진 비문을 찾아서'

    [이 책과 주말을] '사라진 비문을 찾아서'

    김병기 지음, 학고재 290쪽, 1만2000원 중국 지린성 지안현에 있는 고구려 광개토대왕비는 한.일 사학계의 주요 논쟁거리 중 하나다. 특히 비문 중 '百殘新羅 舊是屬民 由來朝貢

    중앙일보

    2005.05.27 21:21

  • [week& 기획] 자연 따라 역사 찾아 걸으면서 웰빙

    [week& 기획] 자연 따라 역사 찾아 걸으면서 웰빙

    ▶ 왼쪽부터 정희섭, 이덕일, 조용헌, 신정일씨. "현대인들은 일단 차만 버리면 모든 것을 얻을 수 있지요."(47.문화정책연구소장 정희섭) "고속철도의 속도혁명을 말하는 요즘인데

    중앙일보

    2005.03.31 16:01

  • "일본 고유영토론은 조잡한 주장"

    "일본 고유영토론은 조잡한 주장"

    '다케시마의 날'을 제정한 시마네현의 지역사학계 권위자가 일본 정부와 시마네현의 독도 영유권 주장을 정면 반박하는 글과 인터뷰를 일본 언론에 잇따라 실었다. 나이토 세이추(內藤正

    중앙일보

    2005.03.17 20:51

  • [week& 기획] 김영준씨 삐라 2000장

    [week& 기획] 김영준씨 삐라 2000장

    1980년대 중반의 어느 날 김영준(55)씨는 서울 불광동의 헌책방을 뒤지고 있었다. 광복 이후 좌익 진영에서 낸 책이 없을까 해 나선 길. 80년대 초 고미술을 모으다 생긴 수

    중앙일보

    2005.01.27 1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