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대학은 큰 스승이 있는 곳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대학은 큰 스승이 있는 곳

    ▲앞줄 왼쪽부터 판광단·뤄자룬(羅家倫)·메이타이치·펑여우란·주쯔칭(朱自淸). 김명호 제공 서남연합대학에는 총장이 없었다. 세 대학의 총장이 상임위원이었다. 베이징대와 난카이대 총

    중앙선데이

    2008.07.28 16:39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② 중국 핵 개발 아버지 덩자셴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② 중국 핵 개발 아버지 덩자셴

    ▲신장 뤼부포 핵실험장에서의 덩자셴(왼쪽). 사진은 덩이 사망한 뒤 공개된 것이다. 1956년 4월 25일 마오쩌둥(毛澤東)은 “원자탄을 가져야 한다. 남들에게서 업신여김을 당하

    중앙선데이

    2008.07.24 15:09

  • 올림픽으로 도약 꿈꾸는 중국 ‘바링허우’세대

    “베이징 올림픽은 세계의 손님들에게 보내는 중국의 선물이다. 포장지를 뜯어본 지구촌 사람들은 중국의 발전상에 놀랄 것이다.” 베이징의 쿤룬호텔(5성급) 마케팅 담당 직원 자오빈(趙

    중앙일보

    2008.07.09 02:01

  • “지진 예측 보고서 상부서 묵살”

    중국 쓰촨(四川)성 대지진의 피해가 큰 것은 ‘과거 잘못의 반복이 낳은 참사’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재야 지진학자들의 쓴소리다. 파장이 우려되는 내용인 만큼 이 주장은 제기된 직후

    중앙일보

    2008.05.31 01:07

  • 덩샤오핑 장남 푸팡 정협 부주석에 선출

    덩샤오핑 장남 푸팡 정협 부주석에 선출

    덩샤오핑(鄧小平)의 장남 덩푸팡(鄧樸方·64·사진) 장애인연합회 주석이 중국 최고 정치 자문기구인 제11기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부주석에 선출됐다. 덩푸팡은 13일 베이징 인

    중앙일보

    2008.03.14 02:17

  • 대학은 큰 스승이 있는 곳

    대학은 큰 스승이 있는 곳

    앞줄 왼쪽부터 판광단·뤄자룬(羅家倫)·메이타이치·펑여우란·주쯔칭(朱自淸). 김명호 제공 서남연합대학에는 총장이 없었다. 세 대학의 총장이 상임위원이었다. 베이징대와 난카이대 총장

    중앙선데이

    2008.03.09 00:48

  • 시골마을 배구 감독 출신 베이징 올림픽 지휘봉 잡다

    시골마을 배구 감독 출신 베이징 올림픽 지휘봉 잡다

     대학 시절 배구선수였고 시골 마을에서 배구팀 감독을 지냈던 인물이 8월에 열리는 베이징 올림픽의 ‘안주인(호스트)’ 역할을 맡았다. 주인공은 궈진룽(郭金龍·61·사진) 전 안후이

    중앙일보

    2008.01.28 05:13

  • 일본 대학이 달라졌다…국립대 법인화 4년 ① 고미야마 히로시 도쿄대 총장

    일본 대학이 달라졌다…국립대 법인화 4년 ① 고미야마 히로시 도쿄대 총장

    일본에서 국립대가 법인화돼 정부의 보호와 구속에서 벗어나 자율과 책임 경영을 하게 된 지 4년이 됐다. 법인화는 국립대뿐만 아니라 사립대에도 큰 영향을 미쳐 대학개혁을 가속화시켰

    중앙일보

    2007.12.26 05:01

  • 태자당, 상하이 '접수'하나

    태자당, 상하이 '접수'하나

    중국 경제의 간판 격인 상하이(上海)시가 태자당(전직 고위 관리의 자제 혹은 친척들)의 텃밭으로 변했다. 중국 공산당은 27일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발탁된 시진핑(習近平) 전 서기의

    중앙일보

    2007.10.29 04:53

  • 국내 논문 성균관대 … 해외 논문 인용 포스텍 1위

    국내 논문 성균관대 … 해외 논문 인용 포스텍 1위

    교수 연구 부문 기술이전료 서울대 32억원 1위 지적재산권 등록선 한양대 3위 올해 교수연구 부문에서는 지난해 3위로 내려 앉았던 포스텍(POSTECH.옛 포항공대)의 1위 탈환이

    중앙일보

    2007.09.27 04:33

  • "120만 과학기술 인력이 최대 자산"

    "120만 과학기술 인력이 최대 자산"

    안후이성 허페이의 중국과학원 산하 플라스마 물리연구소에서 연구원들이 ‘초전도 토카막 핵융합장치(EAST)’를 점검하고 있다. 중국은 이를 이용해 2050년까지 인공 태양을 개발할

    중앙일보

    2007.05.29 04:34

  • 중국 핵 개발 아버지 덩자셴

    중국 핵 개발 아버지 덩자셴

    신장 뤼부포 핵실험장에서의 덩자셴(왼쪽). 사진은 덩이 사망한 뒤 공개된 것이다.  1956년 4월 25일 마오쩌둥(毛澤東)은 “원자탄을 가져야 한다. 남들에게서 업신여김을 당하

    중앙선데이

    2007.04.27 18:08

  • 9세 대학생 송유근군 중국 IT 현장 간다

    9세 대학생 송유근군 중국 IT 현장 간다

    9세짜리 대학생 송유근군이 첫 여름방학을 맞아 마이크로소프트의 초청으로 다음달 중순 중국 베이징을 방문한다. 송군은 지난해 인하대의 '글로벌 리더 전형'을 통과해 현재 이 대학

    중앙일보

    2006.07.27 05:50

  • 82세 노벨상 수상자 양전닝 박사 대학원생 부인과의 신혼살림 공개

    82세 노벨상 수상자 양전닝 박사 대학원생 부인과의 신혼살림 공개

    ▶ 지난해 말 중국 하이난다오에서 자전거를 타며 신혼여행을 즐기고 있는 양전닝 부부. '할아버지가 손녀를 취했다.' '돈과 명예를 노린거다.' 중국의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양전닝

    중앙일보

    2005.04.22 05:56

  • [중앙 포럼] 역사학자, 국제무대에 서라

    나는 역사에 깊은 지식이 없음을 부끄럽게 생각한다. 중.고등학교 때 배운 국사와 세계사 개요가 지금도 머리에 뱅뱅 돌고 있으며 그때의 주입식 교육이 바깥 세상을 내다보는 창문 역할

    중앙일보

    2004.08.30 18:33

  • 휴대전화에 벼락 만리장성 관광 중

    중국에서 휴대전화의 전자파 때문에 관광객들이 벼락에 집단 감전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베이징청년보에 따르면 지난 23일 오후 2시40분쯤 외국인을 포함한 관광객 15명이 만리장성의

    중앙일보

    2004.07.25 21:52

  • 오늘 지구의 날 … 韓·中 환경장관 좌담

    올 들어 황사 피해가 크게 늘고 있는 가운데 지난 20일부터 이틀간 서울에서 제4차 한·중·일 3국 환경장관회의가 열렸다. 이번 회의에서는 황사뿐 아니라 지구온난화·환경기술 교류

    중앙일보

    2002.04.22 00:00

  • 지구온난화영향으로 북반구 초목 밀도 높아져

    지구의 북반구는 일부 지역의 경우 초목의밀도가 높아지고 연간 생장 기간이 길어지는 등 20년 전에 비해 더 푸르러진 모습을하고 있다고 미국 과학자들이 4일 보고했다. 미 항공우주국

    중앙일보

    2001.09.05 10:01

  • 노벨상관련 특별기고… 이기준 서울대 총장

    김대중 대통령의 노벨 평화상 수상에 박수를 보낸다. 노르웨이 수도 오슬로에서 타전된 '노벨평화상 수상자, 대한민국 김대중 대통령' 이라는 긴급 뉴스를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열린

    중앙일보

    2000.10.14 00:00

  • 중국 칭화대 '노벨상 반' 신설

    이과 부문에서 중국 최고 수준이라는 칭화(淸華)대가 중국 국적의 노벨상 수상 과학자를 한명도 내지 못한 한을 풀기 위해 9월 새 학년도 첫학기부터 '기초 과학반' 이란 영재반을 신

    중앙일보

    2000.09.29 00:00

  • '중국 물리학의 아버지' 우다유 타계

    [타이베이AFP〓연합] '중국 물리학의 아버지' 로 불리는 우다유(吳大猷)가 4일 타이베이(臺北)에서 심장병으로 사망했다. 92세. 대만(臺灣)최고 학술연구기관인 '중앙연구원' 원

    중앙일보

    2000.03.06 00:00

  • [세계의 교육개혁] 4. 평가가 두려우면 그만둬라

    미 중부의 명문 아이오와대. 숲이 우거져 아늑한 캠퍼스 분위기로 유명한 이 대학은 수년 전 한 대학원생의 총기난사 사건으로 발칵 뒤집혔다. 발단은 까다로운 박사학위 논문심사. 물리

    중앙일보

    1999.06.08 00:00

  • [열린마당]고액과외 예체능계 교수들 자정노력을

    지난 10일자 2면에 실린 '음악 고액과외 말뿐인 단속' 이라는 제하의 기사를 읽고 대학에 몸 담고 있는 입장에서 곤혹스러운 마음을 지울 수 없었다. 지난달 12일 중앙일보 기획취

    중앙일보

    1998.10.16 00:00

  • 북한 과학자.작가 망명-정갑렬 準박사

    북한 사회에서 중상류 생활을 했던 두 명의 고급 두뇌가 끝내사선을 무릅쓰고 한국행을 택하게 된 것은 바로 김일성(金日成).김정일(金正日)왕조 체제의 모순 때문이었다.작가 장해성씨는

    중앙일보

    1996.05.3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