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북·중 변계조약 문서 발견하기까지]

    중앙일보 주관의 국경탐사를 떠나기 전 국경관계 자료들을 조사하면서 한가지 큰 의문을 갖게 됐다. 국내 어디에도 북한과 중국간의 국경문제를 구체적으로 기술한 곳이 없으며, 무엇보다

    중앙일보

    2000.10.18 00:00

  • [분수대] 백두산 영유권

    고구려 건국설화는 하백의 딸 유화(柳花)가 해모수와 정을 통했다가 집에서 쫓겨나면서 시작된다. 유화부인의 로맨스가 시작된 목욕터(靑河)는 오늘날의 압록강이고, 가출한 후 고구려 시

    중앙일보

    2000.10.17 00:00

  • [북·중 국경조약서 내용 요약]

    이번에 발견한 '조중변계조약' 과 '변계의정서' 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천지(天池)와 백두산의 변계(邊界)(조약 제1조, 의정서 제7조 등)=천지 외에 압록.두만강과 연결

    중앙일보

    2000.10.16 00:00

  • 함흥차사 모두가 죽진 않았다

    보통 사람이 갖고 있는 일반적인 지식이 상식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이미 알려졌거나 혹은 어느 책에 '그것이 아니다' 고 이미 발표됐다 해도 일반 사람들이 여전히 그걸 사실이라고

    중앙일보

    2000.06.30 15:12

  • 일반인이 모른 조선이야기 다룬 ' 조선역사…'

    보통 사람이 갖고 있는 일반적인 지식이 상식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이미 알려졌거나 혹은 어느 책에 '그것이 아니다' 고 이미 발표됐다 해도 일반 사람들이 여전히 그걸 사실이라고

    중앙일보

    2000.06.30 00:00

  • 국내 최고 백두산 지도 발견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백두산 등산 지도와 백두산 천지 지도가 발견됐다. 지도는 조선시대 대제학을 지낸 서명응(徐命膺:1716~1787)일행이 영조 42년(1766)에 백두산을 유람

    중앙일보

    2000.01.03 00:00

  • [시론] 천지분할문제 어떻게 볼까

    국경.영토문제는 매우 민감한 사안으로 확정 공포된 내용이 아닌 설(說)을 갖고 왈가왈부하는 것은 자칫 당사국간의 민족적 자존심 내지 감정대결로 치닫기 쉽다. 우리 영토는 3면의 바

    중앙일보

    1999.10.23 00:00

  • [케임브리지대 동아시아 옛지도 대량발견의 의미]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대량 발굴된 동아시아 관련 서양지도 (본지 6월 26일자 보도) 들은 간도 등 만주지역의 국경과 관련, 명확한 국내외 지도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대량으로 쏟아

    중앙일보

    1999.06.28 00:00

  • [분수대] 유럽인이 본 조선 국경

    16세기 말부터 중국에서 활동을 시작한 예수회 선교사들은 서양의 새로운 문물을 중국에 소개했다. 우월한 기하학 지식을 활용한 천문관측과 지도제작, 그리고 원근법을 쓴 화법 (畵法)

    중앙일보

    1999.06.28 00:00

  • [고은의 북한탐험]8.압록강의 첫걸음

    북한은 대체로 3대 방언지역으로 돼 있다. 평양 말은 평양과 평안남북도.황해북도.강원도 등지에서 쓰이고 개성.해주 일대의 말, 그리고 북관 사투리가 있다. 백두산 일대의 양강도는

    중앙일보

    1998.09.30 00:00

  • [고은의 북한탐험]5.백두산③ 하루가 1년 같은곳

    그 정상에서 나는 한동안 어쩔 줄 몰랐다. 비극적이라고밖에 말할 수 없는 웅장한 연봉의 부동존 (不動尊) 들이 커다란 타원 안에 호수를 에워싸고 치솟아 있는 그 풍광! 도대체 그

    중앙일보

    1998.09.10 00:00

  • 백두산 정계비 표석 찾았다…해발 2천5백m 북한지역서

    백두산 정계비 (定界碑) 받침돌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됐다. 백두산 정계비는 1712년 (숙종 38년) 조선과 청나라가 국경을 확정한 뒤 세운 것으로, 해방후 일제의 행정구역을

    중앙일보

    1997.09.10 00:00

  • 日 200해리 설정작업 독도문제 대비를

    며칠전 중앙일보에서 1996년 일본이 200해리 경제수역 설정작업에 들어간다는 기사를 읽었다.이미 우리나라도 200해리 경제수역 설정을 진행중이기 때문에 일본의 시도 자체를 문제삼

    중앙일보

    1996.01.08 00:00

  • 일제치하 민족수난 묘사 뮤지컬 2편 무대오른다

    「3일 공연에 무대준비기간이 4일」「저명 편곡가 피터 케이시편곡,호주현지 녹음」. 각각 웅장한 무대장치와 음악을 무기(?)로 화제 속에 준비되고 있는 창작 뮤지컬 2편이 드디어 연

    중앙일보

    1995.12.07 00:00

  • "우리나라 영토이야기"양태진 지음

    유사이래 한반도는 지정학적 특수성으로 인해 외침이 끊이지 않았다.북쪽으로 중국등 대륙 세력과 남쪽으로 일본등 해양세력 사이에서 영토를 간직하기 위한 피나는 투쟁이 곧 우리 역사의

    중앙일보

    1994.09.24 00:00

  • 백두산(분수대)

    「조상의 강토가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줄어들었다」. 일찍히 육당 최남선은 그의 『백두산 관참기』에서 백두산 일대 상당 부분의 땅이 중국으로 넘어간 사실을 이렇게 개탄했다. 육당

    중앙일보

    1993.07.26 00:00

  • 토문회 영토 연구교실 열어

    양태진 토문 회장(영토문제전문가)은 백두산정계비 건립 2백8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28일 오후2시 영토 연구교실을 개설. 토문회는「영토 학」정립에 필요한 인접학문분야의 권위자들

    중앙일보

    1992.11.25 00:00

  • 영토 연구시리즈-양태진 저

    우리나라 국경 및 영토 분야 연구에 심혈을 기울여온 재야사학자 양태진씨(토문회장·국사편찬위 자문위원)가 최근의 연구결과와 자료를 모아 5권으로 펴낸 총서. 고대로부터 백두산정계비건

    중앙일보

    1992.10.11 00:00

  • “목비”(분수대)

    며칠전 중앙일보에 실린 한장의 사진을 보고 많은 독자들은 가슴이 아팠을 것이다. 그것은 백두산 천지주변에 마구 버려진 쓰레기더미 사진이었다. 옛날 우리 선조들은 백두산을 감히 「오

    중앙일보

    1992.06.14 00:00

  • 「토문회」발기모임 가져

    양태진 한배달 학술위원(사진·국사편찬위 자문위원)과 최영택 국제대교수 등 한중국경문제 연구자 10명은 13일 낮12시 서울시내 모 식당에서 백두산정계비문상의 요체가 되는 토문에 대

    중앙일보

    1992.06.12 00:00

  • 백두산의 경계(분수대)

    작년 여름 광개토대왕릉비 학술조사단을 따라 집안으로 가는 길에 백두산 천지에 오른 일이 있다. 그날은 마침 8월15일. 우리나라에서는 광복절이지만 중국의 조선족에서는 노인절로 통하

    중앙일보

    1992.01.07 00:00

  • 두만강 개발(분수대)

    두만강이 오늘의 한·중 국경선으로 굳혀진 것은 구한말 순종 융희3년(1909년)이었다. 일제가 만주철도 부설권을 얻어내는 대가로 이 강을 조·청국경의 경계로 삼는 양보를 했던 것이

    중앙일보

    1991.10.24 00:00

  • 〃한민족이 만주개척 주도〃|겨레의 업적·정신등 연구·선양해야

    ○…만주의 존재를 새롭게 인식하자는 주장이 강하게 일고 있다. 만주지역 독립운동사를 주재로 지난7일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박영석) 가 주최한 학술회의에서 고승제박사 (학술원)는

    중앙일보

    1984.12.10 00:00

  • 반조각 백두산

    백두산이 우리나라의 고유한 영토라는 말은 『독도는 우리땅』이란 말처럼 너무나도 당연한 동의어 반복에 불과하다. 그러나 당연한 사실을 재삼 강조하고 확인해야만 될 현실에 직면해 있다

    중앙일보

    1983.09.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