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Cover Story] 세계는 지금 교양을 읽는다

    [Cover Story] 세계는 지금 교양을 읽는다

    ***독일에선 식을 줄 모르는 ‘슈바니츠 물결’ 자연과학 중요성 강조 피셔의 『또 다른 교양』 초대형 베스트셀러에 “이제는 교양(Bildung)이다.” ▶ 내년도 주빈국이어서 그런

    중앙일보

    2004.10.09 09:29

  • 세계 최대·최고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개막

    세계 최대·최고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개막

    ▶ 세계 최대 도서박람회인 독일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서 한 여성이 아랍권에서 발행된 책더미 사이에서 책을 읽고 있다. 아랍연맹 22개국은 이번 도서전 주빈국으로 선정됐다. [프랑크

    중앙일보

    2004.10.07 18:01

  • 예산 부족, 위원장 사퇴…서로 "나 몰라라"

    예산 부족, 위원장 사퇴…서로 "나 몰라라"

    ▶ 2003 독일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 설치된 대형 목재 ‘책’에 관객들이 앉아서 책을 보고 있다. [중앙포토] "웬일인지 출판계가 수동적이다. 애초에 왜 문화관광부가 주빈국 초청

    중앙일보

    2004.09.21 18:13

  • 스페인은 변신 중…국제미술제 '아르코' 展을 가다

    스페인은 변신 중…국제미술제 '아르코' 展을 가다

    축구와 투우와 플라멩코의 나라 스페인이 미술 강국으로 거듭나려는 시동을 걸었다. 지난해 현대미술의 거장 피카소(1881~1973)의 30주기를 기려 그의 고향 말라가에 피카소 미

    중앙일보

    2004.02.17 17:36

  • [사람 사람] 삼성전자 '儀典 삼총사' 방진선·이수향·김민정씨

    '좁게는 국가적인 행사에서 고위급 인사의 영접시 행해야 하는 국제적인 예의. 하지만 넓게는 개개인이 지켜야할 건전한 예의범절을 의미한다.' 외교통상부 홈페이지에 있는 '의전'의 정

    중앙일보

    2003.11.02 18:17

  • [네남자의 책 이야기] 전통과 보편성 접점찾기

    스페인어권의 중요한 문화 행사로 마드리드 도서전이 있다. 62회인 올해는 지난 5월 30일부터 6월 15일까지 '세 문화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열렸다. 유대교, 이슬람, 기독교,

    중앙일보

    2003.06.27 17:55

  • [책과 세상] '성처입은 용' 윤이상

    지난주 가수 조영남에게서 갑자기 전화가 왔다. 청담동 집에 놀러오란다. 무슨 자리냐고는 묻지 않고 달려간 것은 소설가 이윤기 등 늘 모이는 팀이겠지 짐작했기 때문이었다. 혹시 캐나

    중앙일보

    2003.03.28 16:49

  • [음악] 내한공연 '빈 필' 이모저모

    오는 31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과 4월 1일 상암동 서울 월드컵 경기장, 2일 통영 시민문화회관에서 내한 공연을 하는 빈 필하모닉의 입장권 금액은 각각 5만~30만원, 2만~18만

    중앙일보

    2003.03.18 17:15

  • ⑧ 테이블 매너

    연말이 되면 해마다 그렇듯 크고 작은 모임들로 하루하루가 분주하다. 이러한 모임들은 식사를 함께 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사교 모임에 익숙지 않은 사람에겐 격식을 갖춰야 하는 공

    중앙일보

    2002.12.23 00:00

  • 中 부패수사 장관급까지

    [홍콩 = 진세근 특파원]주룽지 (朱鎔基) 중국 총리가 최근 정치국 회의에서 "앞으로 부패수사를 부장 (장관) 급까지 확대하자" 고 제의했다고 홍콩 영자지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가

    중앙일보

    1999.01.14 00:00

  • 1,800만 유대인 세계를 '쥐락펴락'

    워싱턴에선 최근 홀로코스트 재산 환수를 위한 국제회의가 열려 각국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나치 약탈 예술품 목록을 공개키로 합의하는 등 큰 진전을 봤다. 회의는 세계유대인회의 (WJ

    중앙일보

    1998.12.07 00:00

  • [뉴스피플]ASEM 스타 중국 주룽지 총리

    지난 4일 폐막된 제2차 아시아.유럽정상회의 (ASEM) 기간중 서방언론들은 주룽지 (朱鎔基.69) 중국총리에게 스포트라이트를 맞췄다. 그러나 朱총리 자신은 언론의 관심대상에서 벗

    중앙일보

    1998.04.06 00:00

  • 금난새, 베토벤 전곡 완주한다…수원시립교향악단 연주 예술의전당서

    베토벤이 남긴 교향곡은 모두 9개. 이들 작품은 지휘자나 교향악단 단원들에게는 모두가 곱씹어 음미해야 할 교향곡의 '성서 (聖書)' 이자 '알파와 오메가' 다. 지휘자 금난새씨가

    중앙일보

    1998.02.24 00:00

  • 3.프랑스 '개들의 섬'

    열광적인 동물 애호가인 프랑스 여배우 브리지트 바르도가 국제무대에서 사사건건 한국을 걸고 넘어지는 이유가 어디 있을까. 프랑스식 동물 공원묘지인.개들의 섬'에서 문화적 배경을 찾을

    중앙일보

    1996.12.11 00:00

  • 문화라는 상품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미국 월드컵 결승전 전야제.파바로티,도밍고,카레라스라는 빅3 테너들이 주빈메타의 LA필하모닉과 함께 출연한 지상최대의 공연이었다. 필자는 지난

    중앙일보

    1994.07.23 00:00

  • 파바로티.도밍고.카레라스,월드컵 콘서트

    루치아노 파바로티.플라시도 도밍고.호세 카레라스 등 금세기 최고의 세 테너가 90년에 이어 올 월드컵 결승 전야에 또 다시 기념 공연을 갖는다. 결승전 전날인 16일 오후8시30분

    중앙일보

    1994.07.09 00:00

  • 영화 「하얀전쟁」주연 안성기씨(일요인터뷰)

    ◎“관객과 호흡 일치해야 진짜 배우”/9월 동경·10월 밴쿠버영화제 참가/나이 걸맞은 깊이있는 연기할 생각 삼목무더위가 막바지로 치닫던 지난달 28일 한낮 영동의 어느 디자인학원에

    중앙일보

    1992.08.02 00:00

  • 28분간 평화역설… 세차례 박수/유엔총회장 안팎 표정

    ◎북한 대표 2명도 메모하며 경청/양김씨 총회전 독방서 밀담 눈길 ○…노태우 대통령의 유엔총회 기조연설은 당초 예정보다 약 9분 늦은 24일 오전 11시9분(한국시간 25일 0시9

    중앙일보

    1991.09.25 00:00

  • 김,“노대통령 속히 만나길 고대”/김일성 면담­판문점 도착 표정

    ◎강 “김 주석 「총리각하」 불러 놀라”/1차때보다 서로 더 이해” 작별 ○노 대통령의 안부 전해 ▷강 총리­김 주석 면담◁ ○…강영훈 총리는 18일 오후 3시 정각 평양시내 금수

    중앙일보

    1990.10.19 00:00

  • 백두서 판문점까지… 이찬삼특파원 한달 취재기(다시가본 북한:12)

    ◎“열심히 노는 것도 인민의 도리”/노래시키면 주저 않고 “한 곡조”/통일얘기만 나오면 눈물 글썽 북한사람들은 대체로 딱딱해보이는 외모와는 달리 어디서나 신바람나게 놀기를 좋아한다

    중앙일보

    1990.10.11 00:00

  • 세인트루이스 심퍼니 지휘자 레너드 슬래트킨 씨

    레너드 번슈타인이래 최고의 미국인 지휘자중 한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는 레너드 슬래트킨씨가 그가 상임지휘자로 있는 세인트루이스 교향악단과 함께 내한해 7,8일 이틀간 예술의 전당에서

    중앙일보

    1990.02.09 00:00

  • (2)소 모피시장을 뒤흔든 「외곬상혼」

    지난 1월19일 저녁 7시30분. 소련 레닌그라드의 가장 큰 호텔인 프리발디스카야 호텔 2층의 대연회장 앞 로비는 줄잡아 2백 여 명의 사람들로 붐비고 있었다. 서로 반갑게 악수를

    중앙일보

    1989.04.11 00:00

  • 한학 조예 깊은 위도 태생의 한량

    어어와 슬배야 슬배로구나 미끄런 조구야 코코에 걸려라 서해 한가운데 칠산 바다의 조기 떼가 그물코마다 가뜩 걸리라는 노랫소리다. 금년의 풍어를 기원하는 굿판의 선소리 뒷소리. 온

    중앙일보

    1988.04.05 00:00

  • (8) "「붙고보자」가 진로망쳤어요"

    눈치작전도 막바지에 접어들던 지난8일 상오. 점퍼차림에 서울대노트를 말아쥔 한 학생이 서울대 원서접수창구를 풀죽은 모습으로 빠져나오고 있었다. 『어느 학과에 지원했어요?』 『의예과

    중앙일보

    1987.01.2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