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국 음악학』 펴낸 이강숙 교수

    이강숙 교수(55·서울대 음대)는 우리 음악계에 박혀있는 몇 안 되는 이론통의 한사람이다. 「장이」로서의 직관과 예술적 감수성을 으뜸으로 추어올리며 누구나 곡 만들고 거기 따라 치

    중앙일보

    1990.11.04 00:00

  • 『임수경과 47일』 책 출간 계획』

    『수경이와 지낸 47일간의 일들을 2백자 원고지 l천5백장 정도로 정리해 책으로 펴낼 생각입니다. 올해 말까지는 원고를 모두 끝낼 계획입니다.』 지난해 6월30일 임수경 양이 북한

    중앙일보

    1990.10.29 00:00

  • 지역감정 타파는 정치서부터(사설)

    ◎남도 한마음축제ㆍ휠체어행진을 보며 영호남 사이에 첨예화돼 있는 망국적인 지역감정을 해소시켜보려는 노력이 두 지역 주민들에 의해 시도돼 관심과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지난 26,27

    중앙일보

    1990.10.28 00:00

  • 광주항쟁 다룬『산 자여 따르라』출연-북한 인기여배우 박금실양

    평양에서 열린 범민족 통일 음악회(23일 폐막)를 성공적으로 이끈 재독 작극가 윤이상씨의 교향곡『광주여 영원히』를 토대로 한 북한 영화『산 자여 따르라』에서 주인공의 애인 진혜라

    중앙일보

    1990.10.27 00:00

  • (9)반가운 손님이 오면 권주가로 환대|권오성|민속음악

    중국 내몽골 자치구 이극소맹 동승시의 오르도스 호텔에 도착하자마자 몽골 전통의상을 곱게 차려입은 6명의 아가씨들이 두 손에 흰 천을 가로질러 늘어뜨리고는 접시에 술잔을 받쳐들고 나

    중앙일보

    1990.10.24 00:00

  • 각종 행사를 알아보면‥‥

    10월은 문화의 달. 추석·한글날·문화의 날(20일)이 포함돼있고 문화예술 각 부문의 올해 결실을 집약, 선보이는 갖가지 문화행사가 치러진다. 10월에 벌어지는 각종 문화행사는 모

    중앙일보

    1990.10.01 00:00

  • 음악·미술·시와 춤의 만남 「창무 큰 춤판 90」23일 개막

    ○…무용과 음악·미술·시 등 인접 예술장르가 한데 어우러지는 「창무 큰 춤판 90-미술과 음악 시 그리고 춤의 만남」이 23일부터 10월1일까지 조선일보 미술관 2층 전시실에서 펼

    중앙일보

    1990.09.21 00:00

  • 남북 회담 계기로 본 「북한 언론」|뉴스 전달보다 사상 주입 우선

    남북 총리 회담 취재를 위해 서울에 온 북한 언론인들은 남한의 취재 기자들에게 생소한 인상을 남겼다. 북측 기자들은 취재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 듯 했고 남한 기자들의 격렬한 취

    중앙일보

    1990.09.18 00:00

  • "난치병 어린이에 희망을…"

    『죽어 가는 어린이에게 새 생명을』. 돈이 없다는 이유만으로 삶을 포기하고 있는 어린이들에게 생명의 빛을 던져주는 노래와 대형 무대가 준비되고 있다. MBC-TV는 난치병을 앓고있

    중앙일보

    1990.09.07 00:00

  • 「마음의 피서」위해 이런 책을…각계인사 추천

    김광웅 68년 창립된 한국미래학회가「전망의 회고」란 역설적 부제를 붙여 펴낸 에세이집이다. 각분야의 회원 23명이 학회창립 후 20년간 한국사회가 어떤 모습으로 변화해 봤는가를

    중앙일보

    1990.07.22 00:00

  • MBC 강변가요제 가수등용문으로 "변질"

    대학생들이 창작가요로 경연을 벌이는 MBC 강변가요제는 이제 젊은이들을 위한 음악축제라기보다 신인가수 등용문성격으로 정착해 가고 있다. 해마다 MBC가 여름 휴가기간의 축제행사 형

    중앙일보

    1990.07.20 00:00

  • (34)온양시|천혜의 온천지…휴양·관광도시로 가꾼다

    「천혜의 온천지역인 온양시를 세계적 관광지로 발돋움시키자.』 조선조시대 세종대왕이 이곳에 내려와 약수로 사용했다는 어의정이 말해주듯 천도온양은 오랜 전통과 역사를 가진 섭씨47∼5

    중앙일보

    1990.07.07 00:00

  • 한소 문화교류 「88」 이 〃기폭제〃

    우리나라와 소련이 스포츠분야 다음으로 활발한 교류를 해온 분야는 문화예술이다. 문화예술분야의 교류는 88서울올림픽 문화축전을 계기로 급격히 늘었으나 개인 차원보다 공연단체나 협회등

    중앙일보

    1990.06.02 00:00

  • 연극과 영상의 만남 대형스크린 "이채"

    연극의 양보다 질을 강조, 매년 1편씌만의 정기공연작을 발표해온 극단미추가 네번째 정기공연작으로 색다른 뮤지컬 『영웅만들기』를 27일부터 1주일간 문예회관 대극장무대에 올리고 있다

    중앙일보

    1990.03.28 00:00

  • 파리 함락(분수대)

    지난 17일 저녁 파리의 한 오페라극장에서는 공연이 끝나자 2천7백석을 메운 청중이 일제히 기립했다. 그리고 지휘자와 출연자를 향해 열화 같은 박수갈채를 20여분간 보냈다. 이 공

    중앙일보

    1990.03.19 00:00

  • 문예진흥원·방송광고공사 등 공공기관 지원|북한관련 총서 출간 늘어

    출판사들이 한국문예진흥원·한국방송광고공사 같은 공 기관의 직·간접적인 지원을 받아 북한사회 각분야의 실상에 관한 총서류를 기획·출판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과거 북한에 관한 서

    중앙일보

    1990.02.12 00:00

  • ″「자니윤 쇼」미 토크쇼 복사판〃

    가식 없는 대화와 익살이 풍부한 KBS-2TV『자니윤 쇼』는 종래 우리방송의 토크쇼에선 볼 수 없었던 나름대로의 독특한 맛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심야에 방송되는『

    중앙일보

    1990.01.15 00:00

  • 남북 문예-학술 교류 "전무"

    노태우 대통령의 7·7선언 이후 문화·예술계와 학계에서는 각종 남북 교류 제의와 선언이 수없이 쏟아져 나왔기만 단 한건도 실현되지 않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7·7선언을 뒷받침하고

    중앙일보

    1989.07.06 00:00

  • 창극 정형화 서두른다

    창극이 공연되기 시작한지 1세기에 이르도록 창극에 대한 논리개발이나 그 방법에 대한 모색이 미흡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국립극장은 5일 오후3시 국립극장 소극장에서「창극의

    중앙일보

    1989.07.04 00:00

  • ˝때묻지 않은 음악성 감동적˝|「모스크바 솔리스트 앙상블」연주를 듣고

    소련을 대표하는 실내악단인 모스크바 솔리스트 앙상블이 지난 26, 27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공연을 가졌다. 연주를 듣기 전과 들은 후의 내 마음이 바뀌었다. 듣기 전의 나는

    중앙일보

    1989.05.30 00:00

  • 서울시향 「염불보다 잿밥」… 해묵은 논쟁

    「한국 교향악운동의 선구자」로 자처하는 서울시립교향악단이 최근 지휘자 정재동 교수(중앙대)에 대한 신임여부와 단원들의 근무조건개선 및 보수인상문제를 포함한 운영 개선안을 둘러싸고

    중앙일보

    1989.03.14 00:00

  • 소 메달리스트에 포상금 가불-성화대

    서울 올림픽 각 경기 가운데 가장 비판의 화살을 받는 종목은 단연 복싱. 경기자체가 가장 전투적이기도 하지만 심판들의 농간이 심하여『복싱메달은 심판이 만든다』는 얘기가 공공연히 나

    중앙일보

    1988.09.29 00:00

  • 뮤지컬 3편 잇달아 막 오른다|피날레에 접어든 서울 국제연극제

    서울국제연극제의 화려한 피날레를 장식하는 3편의 뮤지컬이 22일부터 10월 2일까지 차례로 무대에 올려진다. 22일 오후 7시30분 국립극장 대극장에서 첫선을 보이는 88서울예술단

    중앙일보

    1988.09.20 00:00

  • 올림픽 초유의 빅 이벤트|개회식 작품이 탄생되기까지 각고의 과정을 보면

    서울올림픽의 얼굴격인 개회식 공개행사는 공연시간이라야 3시간에 불과하지만 3시간 짜리 작품을 탄생시키기까지는 1만7천명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인력이 2년2개월 동안 간난 신고를 겪어

    중앙일보

    1988.09.1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