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229)제16화 한·미 합동첩보비화 「6006부대」(8)

    52년 이른 봄, 특수작전 지점확보를 위해 적지 어화도에 기습 상륙한 합동특공대는 오히려 적의 역기습을 당해 막대한 피해를 보았다. 이곳에서 전회에 소개한 이순희 중사는 죽을 고

    중앙일보

    1971.08.11 00:00

  • (197) 38선 돌파와 북진 (13)|미 187 공정대 (하)|「6·25」21주…3천여의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한국 전쟁 3년

    10월21일 대동강을 건너 단숨에 근 1백리를 진격한 영국군 제27여단이 영 유리에서 야영을 하고 있을 때 북방에서 요란한 총성이 들려왔다. 이때까지도 영국군을 숙천에 낙하한 미1

    중앙일보

    1971.07.05 00:00

  • (196)|38선 돌파와 북진(12)미 187 공정대 (상)|「6·25」21주…3천여의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한국 전쟁 3년

    「유엔」군이 38선을 돌파하며 평양으로 육박하고 있을 때 「맥아더」원수는 여의도 비행장에 「프랭크·S·보원」대령이 지휘하는 미187 공정 연대를 미 극동사령부의 유일한 예비 부대

    중앙일보

    1971.07.02 00:00

  • (165)-(8)「6·25」 20주…3천 여의 증인회견·내외 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한국전쟁 3년

    (3) 「유진·프랭클린·클라크」 대위가 영흥도에서 「맥아더」 사령부에 타전한 인천상륙에 관한 극비 정보는 대개 다음과 같은 것이었다. 앞서도 말한 바와 같이 이 정보는 함명수 해군

    중앙일보

    1971.04.21 00:00

  • (164)인천 상륙(7)

    영흥도 첩보전(2) 「맥아더」사령부 정보 부에서 특파한 「유진·프랭클린·클라크」해군 대위의 첩보 반이 영흥도에서 인천 상륙에 관한 귀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던 것은 우리 해군

    중앙일보

    1971.04.19 00:00

  • (158)|맥아더의 집념 (1)|인천상륙 (1)

    1950년9월15일 상오 6시27분. 미 제10군단 산하 제1해병사단 제5연대 제3대대는 함포와 공중 지원을 받으며 월미도로 적전 상륙을 개시했다. 맥아더 원수는 미 해군 순양함

    중앙일보

    1971.04.02 00:00

  • (148)학도 의용병(5)

    (2) 71명의 3사단 학도의용군 중대원 중 전사 48, 부상 13, 포로 10명으로 중대 전원이 거의 희생된 포항여중 전투이야기를 계속 들어보겠다. 다행히 적 포로가 됐던 10명

    중앙일보

    1971.03.10 00:00

  • 월남군 계속 공세

    【케산(월남)26일로이터동화】소련제전차 17대를 앞세운 월맹군 1개 대대는 26일하오 라오스 영내 20㎞의 제9공로 바로 북쪽에 있는 31고지를 수비하는 월남군 공정대 약 1개 대

    중앙일보

    1971.02.27 00:00

  • (143)6·25 20주…3천여의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역은 다큐멘터리 한국전쟁 3년|낙동강 공방전(25)|영천회전(3)

    1주일에 걸친 영천회전에서는 적 제15사단 전부와 8사단 일부를 완전히 섬멸했다. 특히 적 제15사단은 분대장 급 이상이 모두 중공군 출신의 정예부대로서 8월 공세 때에는 미제1기

    중앙일보

    1971.02.26 00:00

  • (2)

    낙동강교두보의 운명을 건 영천회전에서 아군이 대승한 것은 지휘관들의 적절한 작전지도와 장병들의 용전분투 때문이지만 또한 운도 좋았다. 때로는 전투에서 우연한 일들이 승패를 좌우하는

    중앙일보

    1971.02.24 00:00

  • <민족의 증언<(125)|낙동강 공방전(7)|동부전선(4)|「6·25」20주…3천 여의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한국전쟁3년|육본, 분대장에도 처형권

    동부전선의 안강·기계전투도 낙동강 교두보의 운명을 판가름하는 혈전의 하나였다. 북괴군 제12사단과 제766유격연대는 8월 공세가 개시되자, 단숨에 비학산을 돌파, 11일에는 포항에

    중앙일보

    1971.01.15 00:00

  • 바다의 비극

    남영호의 침몰사건은 구슬픈 세모를 더욱 어둡게 만들었다. 3백62t이라면 1860년대에 처음으로 태평양을 건너간 일본 배와 비슷한 무게이다. 콜롬부스나 마젤란이 탔던 목조선, 또는

    중앙일보

    1970.12.16 00:00

  • (68)대전의 25시(7)|미 제24사단의 혈투(1)|「6·25」20주…3천여의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 한국전쟁 3년

    미 제24사단이 개전 초에 참담한 패배를 거듭했지만 북괴군도 7월 중순에 접어들면서부터 진격 속도가 처지기 시작했다. 특히 미 공군의 제공권 장악으로 남침의 앞장을 섰던 막강의 북

    중앙일보

    1970.09.04 00:00

  • 나흘째 철야수색허탕

    국립묘지에 잠입했던 잔비를 쫓고있는 군·경·예비군 합동수색대는 만 4일째인 24일밤도 비를 맞으며 수색작전을 폈으나 잔비들의 흔적을 찾아내지 못했다. 수색대는 25일 새벽부터는 일

    중앙일보

    1970.06.25 00:00

  • (31)6·25 20주 3천여의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 한국전쟁 3년|가장 길었던 3일(31)|작전지도의 혼돈(2)

    26일 심야의 비상국무회의에서 수도천도를 의결하고나온 신성모국방장관은 27일새벽 5시쯤 국방수뇌부회의를 긴급소집했다. 신장관이 주재한 이 회의에는 장경근국방차관, 손성겸국방부제1국

    중앙일보

    1970.06.10 00:00

  • 명신호 조난의 문제점

    현해탄에서 침몰한 대일 외항선 명신호의 조난사건은 교통부의 외항선 관리행정에 허술한 면을 드러냈다. 사업면허에『국내 취항에 한 한다』는 단서까지 붙어있는 이 배를 파도 높은 대일「

    중앙일보

    1970.05.13 00:00

  • 유부녀냐? 미망인이냐?

    『실제로 있었던 일』은 때론 작가의 공상세계보다 더욱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월맹상공에서 실종된 채 3년째 생사조차 알 수 없는 남편을 기다리며 7남매의 뒷바라지를 해온 어느

    중앙일보

    1970.03.30 00:00

  • 마지막말 " 하강풍에 말렸다"

    【사이공=이방훈특파원】 「퀴논」의 U 21기 추락사고 원인을 조사중인 한-미 합동원인 조사단의 중간보고에 의하면「퀴논」 비행장 관제탑에서의 녹음 「테이프」로 사고시간이 11일 하오

    중앙일보

    1969.11.14 00:00

  • 미헬기1대 북괴에 피격

    승무원 3명을태운 주한미육군소속OH-23 「헬리콥터」1대가 17일상오11시쯤 군사분계선 남방에서 훈련비행중 북괴군지상화기에의해 사격을 받은후 한강하류 북괴지역에 추락했다고 18일

    중앙일보

    1969.08.18 00:00

  • (8)일본

    이「시리즈」는 최근 20여년 동안 세계 각국 문단에 형성된 새로운 문화풍토를 개관하고 그 속에서 대표적 인간상을 추출함으로써 문학작품 속에 부각된 현대적 상황과 그 안에서 호흡하는

    중앙일보

    1969.06.12 00:00

  • 저궤도 핵폭탄망 소 FOBS 설치?

    【워싱턴21일AP동화】국방성 관리들은 소련이 저궤도 핵폭탄망(FOBS)을 설치키로 결정한 것 같다고 말하고 있다. 불과 한달전「클라크·클리포드」씨는 국방장관으로서의 마지막 국방 백

    중앙일보

    1969.02.22 00:00

  • 어선5척을납북

    【인천】17일상오7시35분쯤 서해 연평도서쪽5∼10마일해상에서 조기잡이하던 안강망어선 양성2호등 어선5척이 어부44명을 태운채 북괴경비정에의해 납북되었다. 이날 양성2호는 상오7시

    중앙일보

    1968.06.17 00:00

  • 마지막송신때악천후와싸워

    【워싱턴27일AP급전=동화】「토머스·무어」미해군참모총장은 승무원99명을 태운채27일밤까지 대서양에서 귀항하지 않고있는 핵잠수함「스코피온」호가 마지막무전연락을 보낸때의 위치는북대서양

    중앙일보

    1968.05.28 00:00

  • 「푸」호납북 왜 구조못했나?

    납치될 때까지의「푸에블로」호는 미군고위사령부의 명령에 따라 원산만 앞 바다에서 정 보수집활동에 종사하고 있었다. 이 정보수집활동은 극히 중요한 임무였지만 작전상으로는 상례적인 것에

    중앙일보

    1968.02.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