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죽어가는 강을 살리자(사설)

    죽어가고 있는 것은 낙동강만이 아니다. 독성 산업폐기물을 식수원으로 흘려 보내는 것은 두산전자만이 아니다. 또 산하를 오염시키고 있는 것은 악덕 기업만이 아니다. 대다수 국민들도

    중앙일보

    1991.03.23 00:00

  • 물 좀 마음놓고 마시자/김광섭 생활과학부장(데스크의 눈)

    전국에서 또한번 식수오염파동이 일어나고 있다. 89년과 90년 여름에도 잇따라 식수오염소동을 치르고도 아직 맑은 물을 마시지 못하고 있는 우리의 현실이 개탄스럽기만 하다. 도대체

    중앙일보

    1991.03.23 00:00

  • 독물방출 무한채임 물어라(사설)

    낙동강 식수오염사건은 국민의 생명쯤은 어떻게 되든 돈만 벌겠다는 반사회적 기업윤리의 표본을 보여준 행위다. 그것은 또 독수를 흘려낼 위험을 안고 있는 대기업공장의 폐수배출상황을 사

    중앙일보

    1991.03.22 00:00

  • 무관심한 정부/소홀한 물감시/신고받고 묵살/식수오염 부추겼다

    ◎게으른 행정 멍드는 주민/토·일요일 수질검사 생략/「두산」일곱번 점검도 무사통과/공무원 돈받고 묵인 여부 수사/대구 환경청장 직위해제 【대구·부산·창원=특별취재반】 대구·부산·창

    중앙일보

    1991.03.22 00:00

  • 정부/공장폐수 일제 점검/검찰/상습방류 업주 처벌

    ◎뒤늦은 환경대책 부산 정부는 22일 노재봉 국무총리 주재로 긴급 수질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낙동강상수원오염과 관련한 종합대책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는 권숙표 교수를 단장으로 한 민간

    중앙일보

    1991.03.22 00:00

  • 기업 환경오염 반사회적 행위/노 대통령 경기도 순시

    【수원=김현일기자】 노태우대통령은 22일 『앞으로 각 시·도는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조,오염물질의 불법배출을 철저히 단속하고 하수처리장 설치를 확대하는등 맑은 물 공급을 위해 끈질긴

    중앙일보

    1991.03.22 00:00

  • 페놀오염 막을 수 있었다/두산전자 폐수처리 실적 간과

    ◎소동직전 페놀발견 보고안돼 구미공단 두산전자의 폐수방류로 야기된 경남북지역 식수오염 파동은 대구지방환경청과 시청이 정기적인 공해단속과 수질검사등을 제대로 시행했더라면 초기에 대규

    중앙일보

    1991.03.22 00:00

  • “폐수 수도물” 구멍난 수질관리/영남 식수오염 왜 일어났나

    ◎취수전엔 페놀검사 아예 안해/낙동강 7천여업체 “공해복병”/정수 처리 전근대적/기준 대폭 강화 필요 대구 상수도물의 페놀오염사태가 부산·창원 등 낙동강 수계전체로 확산되면서 영남

    중앙일보

    1991.03.21 00:00

  • 발암물질 페놀 325톤/「두산전자」서 무단 방류

    ◎영남전역 「오염식수」비상/대구·마산·창원등지 악취소동/부산선 명장취수장 한때 중단/검찰,공장장등 6명구속… 공무원도 조사 【대구·부산·창원=특별취재반】 2백60만 대구시민과 부산

    중앙일보

    1991.03.21 00:00

  • 먹기 겁나는 수도물/김일 사회부기자(취재일기)

    대기업인 두산전자(구미)가 몰래 버린 페놀(유해화학물질) 폐수가 낙동강을 거쳐 수도물에까지 스며들었다. 16일부터 20일까지 수도물 악취소동이 일어난 대구·구미·김천·칠곡 등 낙동

    중앙일보

    1991.03.21 00:00

  • 마실물 비상 빨리 손쓰라(사설)

    영남일대를 휩쓴 사상 최대의 식수오염사건이 한 산업체에서 불법 방류한 산업쓰레기가 원인이었다는 사실에 경악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 사람의 몸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가져오는 발암성

    중앙일보

    1991.03.21 00:00

  • 수도물 오염 경남까지 확산/페놀 섞인 폐수 부산 유입

    ◎정수장마다 수질확인 법석 【부산·창원=조광희·허상천기자】 발암물질인 페놀이 섞인 공장폐수가 대구시에 이어 낙동강을 타고 인구 4백만명의 부산시 및 80여만명의 마산·창원·밀양·삼

    중앙일보

    1991.03.20 00:00

  • 낙동강 물금취수강 상류지역/「수질보전」 방침 완화

    ◎공장·호텔등 규제줄어 환경처는 19일 부산시민의 상수원인 낙동강하류 물금·매리취수장 상류인 경남 김해·밀양군 등 일원 6백평방㎞를 수질보전특별대책지역으로 지정하려던 방침(중앙일보

    중앙일보

    1991.03.19 00:00

  • 수질오염 측정 슬그머니 완화/하천측정 COD 삭제

    ◎“공장폐수 오염도 눈가림 의도”비난/환경처 조사항목서 빠져 물의 환경처가 하천수질 측정항목에서 COD(화학적 산소요구량)를 삭제해 논란을 빚고 있다. 환경처는 지난달 환경정책기본

    중앙일보

    1991.03.08 00:00

  • 낙동강 일원 600㎢/수질보전지역 지정

    ◎물금 취수장등 10개 읍면 대상/공해업소·호텔·식당 설치 불허 환경처는 22일 4백만 부산시민의 식수원인 낙동강 물금·매리취수장 상류인 경남일원 6백평방㎞(1억8천여만평)를 「수

    중앙일보

    1991.02.22 00:00

  • 한강 상수원 3급수 전락

    지난해 전국 4대강 상수원 중 수질오염이 가장 심했던 곳은 영산강의 나주지점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환경처의 「90년 전국오염측정현황」에 따르면 나주는 BOD(생화학적 산소

    중앙일보

    1991.02.06 00:00

  • (27)환경·공해 정책|「개발 우선」에 밀려 언제나 찬밥 신세

    낙동강의 수질오염 - 80년 BOD(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1.8PPM에서 89년은 3.6PPM(3급수)으로 악화. 서울의 대기오염 - 83년 아황산가스농도 0.051PPM에서 8

    중앙일보

    1991.01.08 00:00

  • 도시업소 LNG사용 의무화/환경보전 5개년계획 내용

    ◎한강·낙동강·금강 2급수로 개선/쓰레기 소각공장 53곳 신설키로 「서울의 대기오염 세계 3위,상수원 호수·하천수질 1급수 전무,1인당 하루 쓰레기발생량 세계 최고(2.2㎏)」­.

    중앙일보

    1991.01.04 00:00

  • 팔당·대청 등 호수가 썩어간다

    전국민 80%가량의 식수원이 되고 있는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 등 4대강 수계의 일곱 군데 인공 호수가 물 속에 녹아드는 유기물질 탓으로 부영양화하면서 빠른 속도로 썩어가고 있다

    중앙일보

    1990.12.08 00:00

  • 낙동강 물금취수장/「수질보호구역」 추진

    허남훈 환경처 장관은 30일 국정감사에서 답변을 통해 『4백만 부산시민의 취수원인 낙동강 물금취수장 오염방지를 위해 이 일대 20평방㎞ 권역을 팔당·대청호 주변처럼 내년초부터 수질

    중앙일보

    1990.12.01 00:00

  • 영산강ㆍ금강 수질 악화/하수처리 투자 한강은 개선

    ◎8월중 4대강 조사 우리나라 4대강 수계중 하수처리시설 투자가 부족했던 영산강과 금강수계의 수질은 악화된 반면 어느정도 투자가 이루어진 한강 낙동강의 수질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중앙일보

    1990.10.06 00:00

  • (8) 독성 강한 죽음의 물|한해 80억 톤이 쏟아져 나온다|산업 폐수

    각종 공장과 산업장에서 쏟아지는 산업 폐수가 전국 곳곳의 하천과 강·바다를 크게 오염시키고 있다. 우리 경제가 성장한 만큼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산업 폐수는 생활 하수와 함께

    중앙일보

    1990.07.31 00:00

  • 중병걸린 상수원(환경오염 위험수위:7)

    ◎죽어가는 5대강/상류도 만신창이/축산폐수ㆍ양어장 찌꺼기등 넘쳐/백담계곡 물도 10㎞ 흐르면 “오염” 4천만의 식수원인 5대강이 죽어가고 있다. 상류까지 이미 흐려져 썩어가고 있다

    중앙일보

    1990.07.24 00:00

  • 폐수ㆍ쓰레기로 위협받는 “원수”(수도물 마셔도 되나:중)

    ◎4대강 고기 못살 정도로 오염/정부의 “맑은물 공급”공약으로 수도물 원수가 위협을 받고 있다. 산업화 진전에 따라 각종 공해물질ㆍ폐수 등이 제대로 정화되지 않은채 우리의 식수원인

    중앙일보

    1990.07.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