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중앙SUNDAY-아산정책연구원 공동기획] 국민 91% ‘한식=건강’ 믿음 … 실상은 메뉴따라 영양 양극화

    [중앙SUNDAY-아산정책연구원 공동기획] 국민 91% ‘한식=건강’ 믿음 … 실상은 메뉴따라 영양 양극화

    프랑스에서 유통됐던 조선의 사진 엽서. 소반에 받은 이 밥상은 밥·국·장 외에 찌개·조림·나물 3개의 반찬을 곁들인 전형적인 3첩 반상으로 보인다. [사진 주영하 저『식탁 위의

    중앙선데이

    2014.04.13 00:26

  • 노화방지 물질 과일의 10배 보기 좋은 꽃이 몸에도 좋다

    노화방지 물질 과일의 10배 보기 좋은 꽃이 몸에도 좋다

    꽃피자는 오감을 자극해 요리에 풍미를 더한다. 비올라·한련화처럼 꽃잎이 얇은 생화를 올려 먹으면 피자의 느끼함을 잡아주며 향긋한 맛을 즐길 수 있다. [김수정 기자] 노릇하게 구워

    중앙일보

    2013.07.08 00:01

  • 윤후, 짜파구리 폭풍 흡입…'역시 먹방 샛별'

    윤후, 짜파구리 폭풍 흡입…'역시 먹방 샛별'

    [사진 MBC ‘일밤-아빠 어디가’ 방송 캡처] ‘아빠 어디가’에서 윤민수의 아들 윤후가 식탐을 드러냈다. 17일 방송된 MBC ‘일밤-아빠 어디가’에서는 춘천호로 겨울 캠핑을 떠

    온라인 중앙일보

    2013.02.18 13:21

  • 꽃 피는 밥상

    꽃 피는 밥상

    꽃샘 추위의 시샘에도 불구하고 곳곳에서 봄이 느껴진다. 봄이 반가우면서도 주체할 수 없이 쏟아지는 졸음을 쫓느라 힘들다. 쉽게 피곤해지는 데다 입맛을 잃기도 쉽다. 이럴 때는 고

    중앙일보

    2011.03.22 04:57

  • [food&] 봄의 별미 ‘꽃밥’이 피었습니다

    [food&] 봄의 별미 ‘꽃밥’이 피었습니다

    꽃이 수북이 담겨 나오는 꽃밥은 보기에도 황홀하다. 물김치는 스테비아를 넣어 만들었다. 스테비아는 설탕보다 300배나 단 맛이 나서 물김치도 달콤하다.동서양을 막론하고 귀한 손님을

    중앙일보

    2010.03.16 09:00

  • [그때 오늘] 가슴과 어깨에 벚꽃을 꽂고 희생 다짐하는 18세 조종사

    [그때 오늘] 가슴과 어깨에 벚꽃을 꽂고 희생 다짐하는 18세 조종사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는 1909년 창경궁의 이름을 창경원으로 바꾸었다. 나라를 빼앗긴 왕조의 궁궐에 우리가 즐비하게 들어서자, 장희빈이 사약을 받고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혔던

    중앙일보

    2009.04.13 01:23

  • 정성으로 버무린 영양밥상

    정성으로 버무린 영양밥상

    지장수로 지은 경기도 여주 '목련정사'의 떡갈나무잎밥. 12년간 밥과 나물 요리를 연구해온 일회 스님의 손맛이 더해졌다. 전북 익산 '본향'의 마약밥은 깔끔하고 맛깔스러운 전통

    중앙일보

    2009.03.09 18:01

  • [혁이 삼촌의 꽃따라기] 얼레지, 양갓집 규수가 바람났어요

    [혁이 삼촌의 꽃따라기] 얼레지, 양갓집 규수가 바람났어요

    흰얼레지봄이 유난히 더디다 싶었는데 연둣빛 산자락이 벌써 진초록으로 바뀌고 있다. 그 바람에 ‘꽃쟁이’들은 어디로 가야 할지 마음도 발도 바쁘다. 미치광이풀과 모데미풀이 지난해 못

    중앙일보

    2008.04.18 01:00

  • 식물원에서 꽃밥 먹고 허브 마사지에 숙박까지

    식물원에서 꽃밥 먹고 허브 마사지에 숙박까지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의 허브나라농원. 식물원 외에 박물관과 펜션, 레스토랑 등을 갖춘 리조트다. 중앙포토 ‘재스민·로즈메리·라벤더·페퍼민트·캐머마일…’. 150종의 허브 식물을

    중앙선데이

    2008.04.06 04:41

  • 개미 배, 200배 키워서 보면 외계인

    개미 배, 200배 키워서 보면 외계인

    모기의 더듬이를 떼어 낸 부위와 겹눈을 한꺼번에 현미경으로 보면 어떤 모습일까? 우아한 꽃에서 불꽃이 피어나는 것 같다. 이는 충북대학과 오송바이오진흥재단이 공동으로 주최한 바이

    중앙일보

    2007.11.02 05:27

  • [week&쉼] 맛있는 휴가 길 ‘100대 한식집’

    [week&쉼] 맛있는 휴가 길 ‘100대 한식집’

    남원새집추어탕‘어디 가서 뭘 먹어야 하나?’ 휴가지로 향할 때면 늘 머릿속을 맴도는 걱정이다. 지방으로 출장갈 때도 마찬가지다. 마침 문화관광부에서 ‘대한민국 베스트 한식당 100

    중앙일보

    2007.07.19 15:43

  • 향긋한 봄의 초대

    향긋한 봄의 초대

    봄을 향한 발걸음이 성급했나보다. 잠시 쉬어가라는 듯 꽃샘추위가 심통을 부렸다. 옷깃을 여미며 몸을 움츠리지만, 코끝은 이미 봄향기를 쫓는 3월. 참살이(웰빙) 바람 타고 우리

    중앙일보

    2007.03.13 09:42

  • [시가있는아침] '꽃밥'

    '꽃밥' - 엄재국(1963~ ) 꽃을 피워 밥을 합니다 아궁이에 불 지피는 할머니 마른 나무 목단, 작약이 핍니다 부지깽이에 할머니 눈 속에 홍매화 복사꽃 피었다 집니다. 어느

    중앙일보

    2007.01.29 19:41

  • [BOOK즐겨읽기] 애들이 더 잘 알아, 세상의 단맛 쓴맛

    [BOOK즐겨읽기] 애들이 더 잘 알아, 세상의 단맛 쓴맛

    흔히 어린아이들이 삶의 신산함을 뭘 알겠느냐고들 한다. 그런데 어른이 몰라 그렇지, 어린아이들도 분명히 세상을 보고 듣고 해석한다. 때론 아이이기 때문에 더 잘 보이는 삶의 비밀

    중앙일보

    2006.09.15 20:24

  • [사진] "꽃밥 맛도 좋아요"

    [사진] "꽃밥 맛도 좋아요"

    주한외교사절 부인들이 24일 가전업체 쿠쿠홈시스가 서울 필동 한국의 집에서 주최한 '꽃밥 만들기 요리강좌'에 참가해 제철 꽃으로 만든 요리를 맛보고 있다. [연합]

    중앙일보

    2005.05.24 20:59

  • [과학과미래] 봄… 봄…봄, 꽃들의 짝짓기

    [과학과미래] 봄… 봄…봄, 꽃들의 짝짓기

    봄이 왔다는 사실을 사람들은 주변에 핀 꽃으로 실감한다. 사람 눈에는 '아름답다' 또는 '향기가 좋다'는 식의 느낌으로 끝나는 꽃. 하지만 식물들의 입장에서는 꽃 피우는 일이 종족

    중앙일보

    2004.03.03 16:01

  • 진주비빔밥 세계 음식박람회서 첫 선

    경남 진주지역의 전통적인 진주비빔밥이 세계 음식박람회에서 처음으로 선 보인다. 13일 경남 진주시에 따르면 지난달 고유의 맛으로 복원한 진주비빔밥을 오는 15일부터 19일까지 문화

    중앙일보

    2002.06.14 18:10

  • [시가 있는 아침] 채호기 '수련2'

    흰 주름치마 오므린 치마 말기에서 서서히 육감적으로 부풀어 올랐다 다시 치마단으로 가면서 약간 오므라드는 흰 치마 바람이 들추면 얼핏 감추인 속살이 들여다보이는 인조견 흰 속치마

    중앙일보

    1999.12.09 00:00

  • 開花조절 유전자

    전북 고창에 있는 선운사를 찾기엔 4월이 제격이다.대웅전 뒤숲을 온통 빨갛게 물들이는 동백꽃의 장관은 그때라야 볼 수 있다.계절의 변화는 꽃들로 인해 더욱 실감난다.산과 들과 거리

    중앙일보

    1995.05.25 00:00

  • 동백꽃(분수대)

    『…그리고 뭣에 떠다밀렸는지 나의 어깨를 짚은채 그대로 퍽 쓰러진다. 그 바람에 나의 몸뚱이도 겹쳐서 쓰러지며 한참 피어 흐드러진 노란 동백꽃 속으로 푹 파묻혀 버렸다. 알싸한,그

    중앙일보

    1992.05.18 00:00

  • 고교선생님 추억 손거울

    우리집 주방의 장식 선반에는 볏짚 계란꾸러미가 걸려 있다. 슈퍼마킷의 진열 소품이던 것을 계란 속의 내용물은 바늘로 찔러 빼내고 꾸러미째 보관한 것이다. 플래스틱 계란판에 떠밀려

    중앙일보

    1990.05.11 00:00

  • 꽃가루 환약

    『꽃으로 말해요』라는 말이 있다. 『세이 위드 더 플라워즈』라고 한다. 꽃말에서 비롯된 것 같다. 서양 사람들은 꽃마다 뜻을 담아 백합은「순결」, 장미는「사랑」, 아이리스는 「소식

    중앙일보

    1985.06.22 00:00

  • 문화재 많은 선의 "고향" 실상사

    사적으로 지정받은 지리산 기슭 실상사(전북남원군산내면입석리소재)를 찾는 관광객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실상사 주위에는 지리산의 명소인 뱀사골·달궁계곡·피아골등이 흩어져 있기 때문에

    중앙일보

    1984.10.2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