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인사] 대법원 外

    ◆대법원<고법 부장판사>▶수석재판연구관 홍승면▶선임재판연구관 유해용▶사법연수원 수석교수 김시철▶서울고법 김주현(수석) 한승 강영수 김상환 한창훈 김대웅 박정화 이은애 이창형 배광국

    중앙일보

    2014.02.05 00:26

  • 미 “신군부가 협의 무시” 12·12직후 강한 불만

    1979년 전두환 장군의 신군부가 12·12 사태를 일으킨 직후 미국 행정부는 한국 신군부에 대해 극도의 불만을 표시하고 한국의 민간정부 수립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전달한 사실이 공

    중앙일보

    2010.02.23 02:40

  • 제네바가 그들을 'FTA 전사'로 키웠다

    제네바가 그들을 'FTA 전사'로 키웠다

    미국은 세계 최강 외교 대국다운 노련한 협상술을 구사했다. 그러나 한국 협상단도 밀리지 않았다. 예전과 다른 모습이었다. 미국 협상단은 이들을 가리켜 "전사(戰士)"라고 불렀다.

    중앙일보

    2007.04.04 04:37

  • [인사] 국회사무처 外

    ◇ 국회사무처 ▶미주주재관 이한길 ▶중국 정명철▶일본 이인섭 ◇ 재정경제부 ▶국제조세교육운영센터 파견예정 김규복 ▶기획관리실 기획예산담당관실 황건일▶〃행정법무담당관실 이현승▶총무과

    중앙일보

    2000.02.03 00:00

  • [인사] 재정경제부 外

    ◇ 재정경제부 ▶주미대사관 심달섭▶주뉴욕총영사관 장수만▶본부 강권석 ◇ 외교통상부▶2010년 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 사무총장(파견)이량 ◇ 산업자원부 ▶주영대사관 1등서기관 정승일

    중앙일보

    2000.02.02 00:00

  • 10. 박정희 대통령의 特補團 - 박종홍.함병춘 至誠영입

    대통령이 경륜가로부터 지혜를 잘 빌리면 국정에 큰 도움이 된다.박정희(朴正熙)대통령은 지식과 경험을 갖춘 인사들을 특별보좌관으로 임명해 폭넓게 활용했다. 특보단은'대통령의 친구들'

    중앙일보

    1997.05.08 00:00

  • 金溶植 前외무장관 별세

    김용식(金溶植)前외무장관이 31일 오후9시15분 서울송파구풍납동 서울중앙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82세. 1913년 경남 충무에서 태어난 故 金전장관은 지난38년 일본 주오(中央

    중앙일보

    1995.04.01 00:00

  • 어제別世 金溶植 前외무장관-한국외교 초창기 개척자

    김용식(金溶植)前외무장관은 지난 48년부터 81년까지 33년간 외교현장의 가운데에서 한국외교를 진두지휘한 개척자다. 1913년 경남충무에서 출생한 고인(故人)은 일본 중앙대 법학부

    중앙일보

    1995.04.01 00:00

  • (136)노씨측 배신이냐 업보냐

    전두환·노태우 두 사람간의 우정과 미움은 다른 사람은 알지도, 이해하지도 못하는 많은 축적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때문에 두 사람간의 오랜 관계를 지켜본 사람들간에는 「전에 대한

    중앙일보

    1993.07.23 00:00

  • 한적 총재|고향방문 길 트는 「구호의 대모」|역대 11명중 4명이 총리 출신

    대한적십자사 총재는 정치적 격변기, 각종 재해 때마다 불행에 처한 사람들을 돌봐야하는 「구호의 책임자」다. 80년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피로 얼룩진 현장, 77년 이리역 폭발 참사현

    중앙일보

    1992.10.30 00:00

  • 특임대사 정년은 고무줄인가(성병욱칼럼)

    우리나라가 유엔에 가입하고 수교국가가 구소련 등 동구권까지 확대되면서 우리외교의 지평은 전세계로 확대되었다. 외교의 폭이 넓어지면서 외교관도 늘고,외교관의 꽃이라는 대사·총영사 등

    중앙일보

    1992.06.02 00:00

  • 유엔대사 유엔가입으로 당당해진 「외교첨병」|유엔대사

    유엔결의에 의해 독립되고 정부가 수립된 탓에 초창기에는 거물급, 대통령의 신임을 받는 사람들이 유엔대사에 임명됐다. 우리 외교라는 것이 완전히 대미, 대 유엔외교에 집중됐기 때문이

    중앙일보

    1991.10.04 00:00

  • 주일대사

    한일관계에는 늘 빛과 그림자가 함께 드리워져 왔다. 우리는 한자와 불교·도자기문화등을일본에 전해 주었다는 자부심이있지만 임신왜난과 한일합방으로 뼈아픈 침달의 고통을 당하기도했다.

    중앙일보

    1991.01.11 00:00

  • 전경련조찬서 특강

    김용식 전 주미대사는 25일 전경련 국제경영 원이 경제인클럽에서 개최하는 제1회 월례조찬회에서「주변국가의 한반도정책과 한국의 대응전략」주제의 특강을 한다.

    중앙일보

    1986.04.21 00:00

  • (3900)제80화 한일회담 (99)-일의 평화선 인정

    한일예비회담이 본격적으로 가동한 56년5월 이후 양측 사이에 첨예한 대립을 보인 문제는 이미 지적했듯 일본의 평화선 인정과 대한재산청구권철회 문제였다. 이미 억류자 상호석방에 관해

    중앙일보

    1983.12.23 00:00

  • (3885) 제80화 한일회담(84)화해분위기 깨져

    북한 인정발언, 회담재개 전망에 찬물 54년12월초 사회당의 지지를 얻어 자유당의 「요시다」 (길전무) 수상으로부터 정권을 쟁취한 민주당의 「하또야마· 이찌로」일본수상은 12월27

    중앙일보

    1983.12.06 00:00

  • (3860)제80화 한일회담(59)일본측 대표단|김동조

    당시는 「재개한일회담」이라고 불린 제3차 회담은 1O윌6일 상오11시5분 일본외무성 419호실에서 양국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우리측에서는 수석대표에 김용식주일공사, 대표에

    중앙일보

    1983.11.07 00:00

  • (3802)동사이몽-제80화 한일회담(1)

    「한일회담」의 집필을 맡은 현민 유진오박사는 51년 1차 한일회담대표, 50년대말 재일교포 북송반대를 위한 국제회의에 참가, 민주당정권시절 제5차 한일회담수석대표를 맡아 한일회담과

    중앙일보

    1983.08.29 00:00

  • 카터 방한안했으면 미군철수 강행될뻔|밴스 전국무 회고록서 밝혀

    【뉴욕=연합】「카터」전미대통령은 재임당시 그의 선거공약으로 내걸었던 주한미전투병력철수를 고집했으나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행정부 및 의회지도층으로 부터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쳐 결국

    중앙일보

    1983.06.02 00:00

  • "장관돼서 또 오니 더 기쁘다"

    「슐츠」미국부장관 일행이 탄 보잉707 특별기가 북경을 떠나 상해상공을 거쳐 중공관제정보구역에서 바로 한국관제정보구역으로 들어와 김포공항에 도착한 시간은 예정시간보다 5분 빠른

    중앙일보

    1983.02.07 00:00

  • 뉴델리서 한국인의 힘찬 정신력 재발견

    (김용식 올림픽 위원장) ◇약력 ▲1913년 경남 충무 출생 ▲38년 일본 중앙대학교 졸업 ▲80년 미국 미주리대학 명예법학박사 ▲49∼59년 주 홍콩·호놀룰루·일본·프랑스·스위스

    중앙일보

    1982.12.07 00:00

  • (3219)제74화 한미외교 요람기|집필을 마치며

    나는 60년2월말 3·15총선거전이 시작될 무렵 이승만대통령으로부터 일시 귀국하라는 훈령을 받았다. 진해별장으로 귀국인사를 드리러 갔더니 이대통령은『곧 정·부통령선거가 있 으니 국

    중앙일보

    1981.09.23 00:00

  • (3214)제74화 한미 외교 요람기(81)

    예비회담에 이어서 열린 제1차 한일회담은 52년4월21일까지 계속되었다. 우리측에서는 예비 회담 때 교체 수석대표였던 신성모씨가 빠지고 김용식 주일대표 부 공사가 교체수석이 되었으

    중앙일보

    1981.09.15 00:00

  • 대사중의 대사 주미대사

    주미대사- 외무장관자리와 함께 외교관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오르고 싶어하는 대망의 자리다. 지금은 주미대사를 하다 외무장관이 되면 영전이라고 하지만 초대 장면대사같은 분은 국무총리로

    중앙일보

    1981.07.2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