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4대 궁궐·왕릉 문 활짝 열린다…'청룡 가오리연' 날려 볼까

    4대 궁궐·왕릉 문 활짝 열린다…'청룡 가오리연' 날려 볼까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 '스투파의 숲'에서 관람객들이 약샤(인도의 정령, 남성형) 조각을 바라보고 있다. 약샤는 동전을 쏟아내는 연꽃모자를 쓴 형태로, 동전이 쏟아지는 장면은

    중앙일보

    2024.02.09 05:00

  • “사립문 안 지키고 왜 짖나” 영조, 탕평 반대파 삽살개에 비유 : 국립중앙박물관 탕탕평평 전

    “사립문 안 지키고 왜 짖나” 영조, 탕평 반대파 삽살개에 비유 : 국립중앙박물관 탕탕평평 전

     ━  영·정조 시대 ‘탕탕평평’ 특별전     영조의 청계천 공사 시찰을 묘사한 ‘준천첩’(1760). 김희성(?-1763 이후)의 그림. 기증 이건희 컬렉션. 국립중앙박물관

    중앙선데이

    2023.12.16 00:18

  • '불멍' 외국인 17만명 찾았다…국립중앙박물관 연 400만 돌파

    '불멍' 외국인 17만명 찾았다…국립중앙박물관 연 400만 돌파

    연간 관람객 400만 시대를 맞은 국립중앙박물관의 전경. 박물관 측은 12월13일 올해 관람객이 400만명을 돌파한다면서 이는 지난해 341만 명을 뛰어넘어 2014년의 353만

    중앙일보

    2023.12.12 11:49

  • 일제가 씨말린 토종개 ‘바둑이’ 50마리 이상 집단 복원

    일제가 씨말린 토종개 ‘바둑이’ 50마리 이상 집단 복원

    지난 6월 8일 서울 광진구 건국대 생명과학관에서 열린 한반도 토종견 유전자분석 연구결과 발표 기자회견에서 단모 삽살개 ‘바둑이’와 장모 삽살개 ‘겨레’가 대기하고 있다. [연합

    중앙일보

    2023.08.22 00:01

  • 일제강점기 거치며 사라진 '바둑이'…멸종됐다 돌아온 사연

    일제강점기 거치며 사라진 '바둑이'…멸종됐다 돌아온 사연

    지난 6월 8일 서울 광진구 건국대학교 생명과학관에서 열린 한반도 토종견 유전자분석 연구결과 발표 기자회견에서 삽살개 바둑이와 겨레가 대기하고 있다. 건국대 박찬규 교수 연구팀은

    중앙일보

    2023.08.20 07:00

  • 일제 때 씨 마를뻔한 ‘바둑이 삽살개’ 복제견 2세 얻었다

    일제 때 씨 마를뻔한 ‘바둑이 삽살개’ 복제견 2세 얻었다

    지난해 태어난 바둑이 삽살개 형제 자매. 이중 2마리가 단모종 바둑이 삽살개다. [사진 김민규 충남대 교수팀] 무정자증의 아버지를 체세포 복제한 멸종 위기 토종 단모종(짧은 털)

    중앙일보

    2019.12.03 10:52

  • [서소문사진관] 에로틱하거나 혹은 정치적.. 옛 그림 속의 개

    [서소문사진관] 에로틱하거나 혹은 정치적.. 옛 그림 속의 개

    수렵도(부분), 고구려 무용총 주실 서벽, 5세기 후반, 중국 집안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아는 그림이다. 오랜 세월 교과서에 빠짐없이 실렸기 때문이다. 중국 집안 지역에

    중앙일보

    2017.12.27 06:00

  • [분수대] 개 그림에 부침

    [분수대] 개 그림에 부침

    박정호 논설위원 그림만 봐도 마음이 푸근해진다. 조선 중기 화가 이암(1507~1566)의 ‘어미 개와 강아지(母犬圖)’다. 붉은 줄을 목에 두른 어미가 강아지 세 마리를 지긋이

    중앙일보

    2017.12.21 01:34

  • [사진] 조선시대 그림 속 얼룩삽살개 복제 성공

    [사진] 조선시대 그림 속 얼룩삽살개 복제 성공

    얼룩삽살개가 복제돼 일반에 공개됐다. 얼룩삽살개는 검은 털이 박혀 있고 일반 삽살개와 달리 털이 짧다. 이 개는 조선시대 그림에도 등장한다. 궁중화가 김두량은 얼룩삽살개를 그려

    중앙일보

    2017.05.25 01:38

  • 털짧은 얼룩삽살개를 아시나요? 복제견 오늘 대전 동물원서 공개

    털짧은 얼룩삽살개를 아시나요? 복제견 오늘 대전 동물원서 공개

    털이 덥수룩하게 난 삽살개는 이름부터 친숙한 토종개다. 1992년 천연기념물 368호로 지정돼 보호받고 있다. 삽살개 가운데는 검은 털이 박힌 얼룩 삽살개가 있다. 털이 짧아 일반

    중앙일보

    2017.05.24 10:33

  • [삶의 향기] 우리 집 까미와 이암(李巖)의 개

    [삶의 향기] 우리 집 까미와 이암(李巖)의 개

    전수경 화가 파드닥 파드닥 문 긁는 소리. 현관의 도어록을 해제할 때마다 매번 듣는 환청이다. 우리 집 까미가 죽은 지 열흘이 지났다. 여전히 그 늠름한 개는 집에 들어서는 나를

    중앙일보

    2017.02.21 01:31

  • [사람 속으로] “삽살개·진돗개·동경이·고려개, DNA 95% 같은 형제”

    [사람 속으로] “삽살개·진돗개·동경이·고려개, DNA 95% 같은 형제”

     ━ 토종개 혈통 밝혀낸 ‘개박사’들 하지홍 교수가 삽살개육종연구소에서 강아지를 살피고 있다. [프리랜서 공정식]개박사. 사람들은 하지홍(64) 경북대 교수와 김종주(49) 영남대

    중앙일보

    2017.02.18 01:00

  • [week&놀거리볼거리] 국립중앙박물관 연휴 첫날 무료

    [week&놀거리볼거리] 국립중앙박물관 연휴 첫날 무료

    민족 최대의 명절 설을 덩실덩실 우리 음악과 춤으로 맞으면 어떨까. 28일 오후 5시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예악당에 가보자. 무대는 힘찬 행진 음악 '취타'로 막이 오른다. 섣

    중앙일보

    2006.01.26 15:12

  • 개, 새해 액운 쫓고 희망 지킨다

    개, 새해 액운 쫓고 희망 지킨다

    ▲▲오원 장승업(1843~97)이 남긴 ‘두 마리의 털복술 강아지’. 영원을 비유하는 바위에 꽃과 나무를 곁들여 좋은 자연 속에서 영원히 살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했다.▲김두량 작

    중앙일보

    2005.12.15 21:52

  • 책꽂이

    ◇번역의 공격과 수비(안정효 지음, 우석,1만5천원)=인터넷 강좌에 2년간 연재됐던 '번역실기'를 보완했다. 주어진 어휘와 구조에 속박당하지 않는 창조적인 번역이 '공격'이라면

    중앙일보

    2002.07.13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제2부18.조선미술박물관의 명화

    어느 나라를 가든 나의 여행은 곧바로 박물관 관람으로 이어진다. 그것이 나의 본업이고 본색이다. 하물며 평양에 와서 그렇게 보고 싶었지만 사진으로만 접해왔던 우리의 유물들을 보지

    중앙일보

    1998.12.12 00:00

  • 250년전의 삽살개 그림 품종분류 증거로

    5월25일자 「문화는 살아있다」란에 실린 이재열 교수의 「그림 속의 삽살개 품종논쟁」에 대해 한마디 하고 싶다. 李교수는 이 글에서 조선시대 화가 남리(南里)김두량(金斗樑. 169

    중앙일보

    1996.06.15 00:00

  • 그림속의 삽살개 품종논쟁

    조선시대에 많은 화가들이 있었지만 몇폭의 개그림을 남긴 화가로 남리(南里) 김두량(金斗樑.1696~1763)이 잘 알려져있다. 삽살개의 「품종」문제를 야기시킨 김두량의 삽살개 그림

    중앙일보

    1996.05.25 00:00

  • 해외 한국미술품 '고향찾기' 활발

    지난 설날을 앞두고 인사동 고미술상 K씨는 일본으로부터 한통의 전화를 받았다.그는 설연휴도 마다하고 일본으로 날아갔다.일본 고미술상회가 밀집해있는 도쿄(東京)교바시(京橋)에 있는

    중앙일보

    1996.02.25 00:00

  • 삽살개 土種 논-尹信根회장,서양개 개량종 천연기념물 재고

    천연기념물 368호 삽살개가 진짜 토종인지 여부에 대한 논쟁이 일고 있다. 한국동물보호연구회 윤신근(尹信根)회장은 최근 『삽살개가 순수토종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어 92년

    중앙일보

    1995.08.31 00:00

  • 서화.도자 명품점-8월15일까지 부산 진화랑

    최근 들어 일본이나 미국을 통해 되돌아온 한국의 고미술품 가운데 명품.일품들을 한자리에 소개하는 전시회. 회화와 서예작품,그리고 청자.백자.분청사기등 모두 2백여점이전시중이다. 전

    중앙일보

    1995.07.21 00:00

  • 20.金斗樑의 삽살개

    조선시대부터 전해진 개그림 가운데 여기 이 삽살개만큼 으르렁거리는 표정을 실감나게 그린 그림이 있을까. 눈을 딱 부릅뜨고 발은 땅을 긁듯이 버티고 서서 공중을 노려보며 당장이라도

    중앙일보

    1995.07.14 00:00

  • 20.金斗樑의 삽살개

    일본에서 활동중인 화가 李禹煥씨가 지난 3월 우연히 자신과 친구사이인 소장가집을 방문해 『해외문화유산을 찾아서』취재팀의 취재를 지켜보았다.한국고미술에 대해 상당한 조예가 있으며 민

    중앙일보

    1995.07.14 00:00

  • 19.금동약사여래상

    마국 보스턴미술관은 세계에서 둘째 가라면 서러워할 정도로 동양미술의 보고(寶庫)다.미국 양키의 본고장인 이곳은 독립이후 신생 미국의 선진화를 위해 세계 곳곳에서 미술품을 모아들이기

    중앙일보

    1995.07.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