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7국 백34명 참가 아시아 아마복싱26일 서울서 개막

    대한아마 복싱연맹은 오는26일부터 7월3일까지 8일 동안 잠실 실내체육관에서 벌어지는 제10회 아시아 아마복싱선수권대회에 26개 회원국 중 17개국 1백34명(임원40, 선수94)

    중앙일보

    1982.06.21 00:00

  • 주말명화

    > 「존·웨인」이 에이레에서 건너온 복싱선수로 분해 박긴감 있는 연기를 보여준다. 아카데미 감독상 수상작. 「존·웨인」은 복싱경기도중 상대편 선수를 죽이게 되자 지금까지의 선수생활

    중앙일보

    1982.06.19 00:00

  • (3442)사각의 혈투 60년(60)|홍수환|김영기

    『엄마! 나 챔피언 먹었어』-. l974년7월4일 새벽 지구의 저쪽 남아프리카의 더반시 에서 홍수환은 승전보를 전해왔다. WBA밴텀급 챔피언이 탄생한 것이다. 66년 김기수에 이어

    중앙일보

    1982.06.18 00:00

  • (3441)제77화 사각의 혈투 60년(59)|김영기|이창길

    이창길은 서강일에 이어 적지에 뛰어들어 세계 타이틀에 도전한 두 번 째 복서다. 74년 WBA 주니어 웰터급 챔피언인「안토니오·세르반테스」콜롬비아)에게 도전했으나 6회 2분15초만

    중앙일보

    1982.06.17 00:00

  • (3439)제77화 사각의 혈투 60년(57)|김영기|김덕팔·최성갑·이금택

    김기수가 링을 떠난 뒤 미들급에선 김덕팔·최성갑.·이금택 등 이 짧은 기간 반짝하다 사라진다. 특히 김덕팔은 동양에선 처음 라이트 헤비급 선수로 활약하는 새로운 기록을 세우지만 좋

    중앙일보

    1982.06.15 00:00

  • 고메스-로페스 세미파이널도

    온 세계 복싱팬들의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프로복싱 WBC 헤비급챔피언「래리·홈즈」 와 도전자「제리·쿠니」(WBC및 WBA1위)의 흑백 대결이 12일 상오 11시 반(한국시간) 라스

    중앙일보

    1982.06.11 00:00

  • (3433)제77화 사각의 혈투 60년(51)|김영기|도금봉과 동거

    복싱의 묘미 중 으뜸가는 것은 뭐니 해도 일발필도의 KO펀치가 작렬할 때다. 강세철이 세인의 인기를 크게 모은 것도 흔히 통렬한 KO펀치를 터뜨렸기 때문이다. 특히 강세철의 KO승

    중앙일보

    1982.06.07 00:00

  • (3432)제77화 4각의 혈투 60년(50)|김영기|강세철

    해방을 전후하여 정복수가 한국프로 복싱의 대명사였듯이 50년대 후반기부터 60년대 초까지 프로복싱 계의 심벌은 강세철 이었다. 그러니까 강세철은 정복수 박형권 송방헌 김계윤 등 열

    중앙일보

    1982.06.05 00:00

  • (3431)제77화 사각의 혈투 60년(49)|김영기|김진국

    해방 후 중량급 복서 중 스피드가 가장 뛰어난 선수를 꼽으라면 나는 아마, 프로를 막론하고 서슴없이 김진국을 지적할 수 있다. 서울 토박이인 그는 해방 후 서울 권투구락부에서 본격

    중앙일보

    1982.06.04 00:00

  • "매맞아 번 돈 6천만 원 떼였다"|김상기씨와 손잡았었던「작은 거인」김태식 선수 주장

    『매맞아 가며 번 돈 6천만 원을 고스란히 날렸습니다.』 「작은 거인」김태식 선수(25·전 WBA플라이급 챔피언)의 말이다. 은행돈 86억 원을 유용하고 지난4월19일 스스로 목숨

    중앙일보

    1982.06.04 00:00

  • 은행돈 86억 원 유용한 김상기 씨|두 개의 얼굴을 가진 사나이

    시중은행 1개 지점 차장으로 있으면서 기업 군을 거느렸고 불 우 소년 뒷바라지에서 사회사업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활동을 펴 칭송만 받던 김상기씨(39)는 결국 두개의 얼굴을 가진 야

    중앙일보

    1982.06.04 00:00

  • (3430)제77화 사각의 혈투 60년(48)|김영기|김유창과 조익성

    현재 한국권투위원회(KBC)의 링 아나운서인 김유창과 사무국장 조익성은 은퇴 후 가장 권투 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권투 인이라 할 수 있다. 올해 68세인 김유창은 대회 때

    중앙일보

    1982.06.03 00:00

  • (3492)제77화 사각의 혈투 60년(47)|김영기|조성구

    조성구는 40세까지 권투생활을 계속한 국내 최 장수 복서중의 한 사람이다. 해방 후 아마권투의 미들급을 석권한 뒤 51년 피난 수도인 부산에서 프로로 전향, 8년 동안 중량급에서

    중앙일보

    1982.06.02 00:00

  • (3428)제77화 사각의 혈투 60년(46)|김영수|김기수-프레디·리틀전

    이일호는 피난 수도인 부산에서 프로모터 겸 복서로 크게 활약했다. 당시 수많은 피난민들로 북적대던 부산에는 마땅한 오락이 있을 수 없어 권투경기는 수지맞는 장사가 될 수 있다는 생

    중앙일보

    1982.06.01 00:00

  • (4)스타지망생 홍수

    뉴욕 근교 중산층 주택가에 위치한 루이스콜 공립중학교에서 2백여 전교생에게 장래 희망을 물었다. 읍의회 의원이나 주의회 의원을 희망한 학생은 몇명 있었으나 장차 미합중국의 대통령이

    중앙일보

    1982.05.31 00:00

  • (3427)제77화 사각의 혈투 60년(45)

    이일호는 선수로서 뿐만 아니라 프러모터로서도 성공한 드문 복서중의 하나다. 그는 펀치는 약했으나 스피드가 뛰어났으며 경량급선수로는 박력 있는 복싱을 구사했다. 해방 후 국내 첫

    중앙일보

    1982.05.31 00:00

  • (3426)| 사각의 혈투 60년 (44)|미들급 강자 송방헌|김영기

    송방헌은 준수한 외모와 함께 인텔리 복서로 인기를 모았다. 복싱 스타일도 잽과 스트레이트를 위주로 한 깨끗한 아웃 복서였다. 정복수와 박형권이 프로 근성이 투철한 복서인 반면 송방

    중앙일보

    1982.05.29 00:00

  • (3425)|제77화 사각의 혈투 60년|동양 3대 권투왕

    8·15해방 후 정복수·박형권·송방헌이 트로이카를 구축, 동양의 3대 권투왕으로 불리며 이들의 대전이 장안의 인기를 독차지해 왔다함은 이미 기술한 바 있다. 이들은 복서로 활약하던

    중앙일보

    1982.05.28 00:00

  • (3424)제77화 목각의 혈?60년(42)「전조선 프로권투연맹」

    연합회와 협회는 결국 빗발치는 여론 앞에 어절 수 없이 굽혀「전조선 프로권투연맹」으로 통합했다. 그러나 연합회 측의 탈퇴인사가 속출한 것은 협회를 이끌던 황을수의 위력이 막강했기

    중앙일보

    1982.05.27 00:00

  • (3422)| 사각의 혈투 60년 (40)|밴텀급 최강자로|김영기

    일제 말기의 선수들이 대부분 그랬지만 고봉아도 전쟁의 혼란기에 일본 프로 복싱계가 많은 제약을 받아 공식 타이틀을 획득하지 못한 채 귀국하여 아쉬움이 컸다. 그러나 해방 후 국내에

    중앙일보

    1982.05.25 00:00

  • 『복싱 총람』 출간

    『한국 복싱 총람』 (사진) 이 출간됐다 (월간 「펀치·라인」사 편·도림 문화사간). 한국 권투의 80년 사를 집대성한 이 책에는 한국 복싱의 연혁, 한국 챔피언의 전적 및 역대

    중앙일보

    1982.05.25 00:00

  • (39)문무겸전의 고봉아

    권투선수라면 오래 거칠고 단세포적인 사람으로 생각하기 쉽다. 물론 대부분 그렇다. 그러나 한국 복싱사에 특이하게 기록되는 이지적인 프로복서가 있다. 고봉아다. 고봉아는 언제나 사색

    중앙일보

    1982.05.24 00:00

  • (3420)사각의 혈투 60년(38)|김영기

    해방 전 한국인 복서들의 활동무대는 중국에도 있었다. 인종 박람회장을 방불케 하던 국제도시 상해였다. 이 곳에는 일본인·중국인·한국인뿐만 아니라 미국·필리핀·독일 등 전세계 각국에

    중앙일보

    1982.05.22 00:00

  • 제11회 소년 체육대회 유망주들 대거 탄생

    【대전=체전 취재반】제11회 전국소년체전에 처음으로 채택, 시범종목으로 첫선을 보인 레슬링·복싱·역도에 관심이 집중, 뜻밖의 열기를 모으고 있다. 20일 시작된 이들 경기는 경기장

    중앙일보

    1982.05.2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