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박정희 대통령은 그를 ‘오 국보’ 라 불렀다

    박정희 대통령은 그를 ‘오 국보’ 라 불렀다

    고 박정희 전 대통령이 ‘오 국보(國寶)’라고 부르며 중용했던 오원철(83·사진) 전 대통령 경제수석이 상을 받는다. 한국공학한림원이 8일 오후 5시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시

    중앙일보

    2011.03.08 00:28

  • 한국사, 필수과목으로 하자 ② 역사, 이념 싸움의 도구로

    한국사, 필수과목으로 하자 ② 역사, 이념 싸움의 도구로

    냉소적 사관 왜 판치나 2010년 3월 열린 교과서 검정심의위원회. 올해부터 새로 쓰일 한국사 교과서 검정심의를 하던 중 표결까지 가는 논란이 있었다. 파블로 피카소(Pablo

    중앙일보

    2011.01.11 01:35

  • [BOOK 깊이읽기] ‘열광과 냉소 사이’ 박정희를 다시 본다

    [BOOK 깊이읽기] ‘열광과 냉소 사이’ 박정희를 다시 본다

    1968년 9월15일 ‘한·호 정상회담’을 위해 오스트레일리아행 비행기에 오르는 박정희 대통령 내외와 큰딸 근혜. 박근혜 의원은 당시 16세의 나이로 부모와 일정을 함께 했다. 당

    중앙일보

    2009.10.16 19:43

  • 한국전력기술, 원전 설계 34년 만에 역수출

    한국전력기술, 원전 설계 34년 만에 역수출

    한국전력기술이 5월 그리스 정부와 그리스 연구용 원자로 설계개선 사업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1978년 완공된 한국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인 고리 1호기는 대부분 미국 기술로 건립됐다

    중앙일보

    2009.06.12 00:07

  • [내생각은…] '공돌이'에 개발 혜택 줘야

    '공돌이'. 공학하는 사람들이 스스로를 자조적으로 칭하는 말이다. 공학인은 지식 창안도 하지만 지식을 특정 상황에 응용해 설비.제품을 만들거나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 인류 복지에 직

    중앙일보

    2007.05.21 20:58

  • 재외동포 교육기금 마련 후원의 밤 성황

    ▶ 정범모 전 한림대 총장, 신기남 열린우리당 의장, 서영훈 재외동포 교육진흥재단 이사장, 강영훈 전 총리, 안병영 교육부총리, 이현재 전 총리(왼쪽부터)가 '재외동포 교육진흥기금

    중앙일보

    2004.07.21 22:44

  • [권영빈 칼럼] 흐름을 보면 변화를 안다

    2001년 12월, 중국의 장쩌민(江澤民) 주석은 90세 생일을 맞은 노과학자 첸쉐썬(錢學森)박사를 찾아 건강을 걱정하고 그의 학문적 위업을 칭송했다. 첸 박사는 1935년 상하이

    중앙일보

    2004.02.26 18:28

  • [시론] 이공계 권하는 세가지 이유

    지금이 이공계를 선택해야 하는 분명한 이유가 있는 때다. 대학입시철이 되면 한번쯤 자녀들의 진로문제를 고민하게 되는 고교생과 그 자녀를 둔 학부모, 그리고 이공계 석.박사 과정을

    중앙일보

    2003.12.22 18:02

  • [2003 전국대학평가] 10주년 결산 좌담회

    *** 참석자 ▶ 김종순 교수 (건국대 기획조정처장) ▶ 김준년 교수 (중앙대 기획조정실장) ▶ 오재응 교수 (한양대 기획조정처장) ▶ 박영우 상무 (삼성SDI 인사담당) ▶ 사회

    중앙일보

    2003.10.01 18:09

  • "태풍피해 복구 1조원 긴급지원"

    국정브리핑 김부총리와의 인터뷰 내용 전문 △태풍 '매미'로 인한 피해가 엄청난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피해지역이 빠르게 복구될 수 있도록 할 지원책은 준비했는가. -먼저 이번 피해

    중앙일보

    2003.09.17 16:55

  • [STOP! 노화] 20. 끝 '한국 백세인'들의 삶

    [STOP! 노화] 20. 끝 '한국 백세인'들의 삶

    '백세인시대는 이미 시작됐다'. 중앙일보 '스톱! 노화팀'이 지난 6개월 동안 세계의 장수촌과 노화연구소를 취재하고 내린 결론이다. 유엔통계에 따르면 1998년 1백세 이상노인 인

    중앙일보

    2003.05.14 10:06

  • [STOP! 노화] 20. 끝 '한국 백세인'들의 삶

    '백세인시대는 이미 시작됐다'. 중앙일보 '스톱! 노화팀'이 지난 6개월 동안 세계의 장수촌과 노화연구소를 취재하고 내린 결론이다. 유엔통계에 따르면 1998년 1백세 이상노인 인

    중앙일보

    2003.05.13 16:35

  • [새천년 이 분야에 승부건다] 경상대 수출기계

    경상대 수송기계공학부는 인류가 만든 모든 종류의 '탈것' 을 공부하는 전문학부이다. 비행기.자동차.배 등 운송 수단의 설계부터 생산까지 전 과정을 가르치는 전국에서 유일한 학부이다

    중앙일보

    1999.12.10 00:00

  • [시론] '박정희 방식'을 넘어설 때다

    서거 20주년을 계기로 박정희(朴正熙)대통령의 업적에 대한 찬반논의가 활발하다. 누가 무어라고 해도 朴대통령이 경제발전의 기틀을 마련한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야말로 무(無)에서

    중앙일보

    1999.10.27 00:00

  • 55세 이상만 들어오세요…'어르신 인터넷방' 등장

    "청소년의 입장은 사절합니다. 55세 이상 '어르신' 만 오세요. " 인터넷PC방이 청소년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최근 '어르신 전용방' 이 등장해 화제다. 서울반포동 팔레

    중앙일보

    1999.04.05 00:00

  • 인천 팔봉직업학교 - 13년째 취업률 100% 산업역군 産室

    '인천의 한국과학기술원,21세기 정보화시대 전문기술인력의 산실….' 인천시서구당하동 장미산 기슭에 자리잡은 팔봉직업전문학교(교장 李禹永)가 13년 연속 취업률 1백%라는 신기록을

    중앙일보

    1997.04.04 00:00

  • 17.신경섭.권원태 기상청 박사부부

    기상청 신경섭(申慶燮.43.기상개발관).권원태(權琬台.41. 기상연구관)박사 부부는 「뜬 구름 잡는 일」이 본업이다.시시각각 변덕을 부리는 기상현상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나아가 정

    중앙일보

    1996.11.14 00:00

  • 16.한국해양연구소 이홍금 박사

    『뭐 참신(?)한 것 하나 안올라 오나.』산호.이끼벌레.해면등이 가득 담긴 망태기가 뱃전으로 들어올려질 때마다 그녀는 이런 기대감으로 설렌다. 한국해양연구소 이홍금(李洪錦.41)박

    중앙일보

    1996.11.07 00:00

  • 15.KIST 금속연구부 조영환박사

    지난달 15일 전남광양에서는 뜻깊은 행사가 열렸다.연산(年産) 1백80만 규모의 광양제철소 제5고로(高爐)착공식이 열린 것이다.5고로가 완공되는 98년 포항제철은 세계 1위의 철강

    중앙일보

    1996.11.03 00:00

  • 15.KIST 금속연구부 조영환박사

    지난달 15일 전남광양에서는 뜻깊은 행사가 열렸다.연산(年産) 1백80만 규모의 광양제철소 제5고로(高爐)착공식이 열린 것이다.5고로가 완공되는 98년 포항제철은 세계 1위의 철강

    중앙일보

    1996.11.03 00:00

  • 14.포항공대 화학과 한종훈 교수

    여기저기 널린 IC칩과 인쇄회로기판(PCB),복잡하게 얽힌 전선,드라이버와 플라이어등 공구,카메라와 현미경.레이저 발사기등 각종 광학기기. 전자공학 실습실을 연상케하는 포항공대 공

    중앙일보

    1996.10.20 00:00

  • 13.서울대의대 의공학과 박광석 교수

    원자보다 작은 소립자에서 수만광년 떨어진 성운까지. 우주공간에서 신비를 불허해온 과학문명의 발달은 놀랍기만 하다. 그러나 첨단과학시대에도 감기 하나 제대로 치료하지 못하고 있는 것

    중앙일보

    1996.10.06 00:00

  • 12.고려대 생명공학원 신정섭교수

    보리와 쌀.이 두가지만큼 관계가 미묘한 곡물도 드물다.과거 경제가 어려울 때는 각각 빈부의 상징으로 대립(?)하기도 했지만 한 쪽이 부족하면 다른 한 쪽이 빈자리를 채우던 보완(?

    중앙일보

    1996.09.22 00:00

  • 11.기초과학지원硏 이경수 박사

    화석연료는 현대문명을 꽃피우게 했지만 동시에 환경오염이라는 부작용을 선사한 야누스적 존재.그나마 석유는 40여년,석탄은 2백여년이면 바닥날 것으로 보인다.제3의 불로 각광받아온 원

    중앙일보

    1996.09.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