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NIE]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태양력 썼을까

    [NIE]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태양력 썼을까

    나라마다 사용하는 달력이 제각각이라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서울 을지로의 달력 제작업체 앞에 홍보용으로 전시한 새해 달력을 행인이 살펴보고 있다.[중앙포토]20일 뒤면 양력으로 새

    중앙일보

    2006.12.10 21:34

  • 근대의 도량형기 되·말·저울…문화재 된다

    근대의 도량형기 되·말·저울…문화재 된다

    20세기 초반 각종 물건의 무게를 달던 원통형 분동(검사용 저울추). 정부가 최근 평(坪).근(斤) 등 비법정 계랑단위에 '선전포고'를 했다. 내년 7월부터 ㎡.㎏ 등 법정단위를

    중앙일보

    2006.11.08 21:06

  • [행복한책읽기Review] 중국인이 쓴 "조선 이렇게 망하더라"

    [행복한책읽기Review] 중국인이 쓴 "조선 이렇게 망하더라"

    중국인이 본 '조선 멸망의 역사'를 다룬 역사소설이다. 그런데 형식은 예스럽지만 구성은 첨단이다. 첫 장'권율의 후예는 행주대첩비 아래 목숨을 끊고 일본의 새로운 모략가는 영웅의

    중앙일보

    2006.10.20 20:40

  • 고종의 무희였던 '여인'의 향기 프랑스에서 맡다

    고종의 무희였던 '여인'의 향기 프랑스에서 맡다

    출간 전부터 화제가 됐던 김탁환(38.사진)의 장편소설 '리심'(민음사)이 15일 나왔다. 고종의 무희였다가 프랑스 공사 콜랭 드 플랑시의 연인이 되어 조선 여성 최초로 유럽과

    중앙일보

    2006.09.17 20:58

  • [박석재의천문학이야기] 기구한 명왕성 팔자

    [박석재의천문학이야기] 기구한 명왕성 팔자

    미국의 로웰은 1894년 애리조나 플랙스탭이라는 곳에 로웰 천문대를 세웠다. 로웰은 조선 말기 우리나라를 방문한 적도 있으며 '고요한 아침의 나라'라는 말을 최초로 사용한 사람이

    중앙일보

    2006.09.15 21:18

  • [김탁환의팩션기행] 5. '동양적인 것'의 슬픔 - 파리

    [김탁환의팩션기행] 5. '동양적인 것'의 슬픔 - 파리

    기메박물관 파리에서의 마지막 사흘은 동양적인 숨결을 찾아다녔다. 19세기 프랑스는 해가 지지 않는 나라 영국만큼이나 식민지 건설에 열심이었다. 인도차이나반도를 지나 한 걸음 나아가

    중앙일보

    2006.09.14 16:12

  • 100년 전 고종 정원에서처럼 우리도 …

    100년 전 고종 정원에서처럼 우리도 …

    4일 오후 덕수궁 정관헌에서 한국의 전통문화를 체험한 뒤 음식을 시식한 주한 외교사절들이 행사장을 나서고 있다. 조용철 기자제인 쿰스 주한 뉴질랜드 대사의 남편인 팀 스트롱. 레게

    중앙일보

    2006.09.05 04:31

  • 대통령 '자주' vs 서울시장 '자주'

    대통령 '자주' vs 서울시장 '자주'

    노무현 대통령의 '자주' 행보가 계속되고 있다. 노 대통령은 24일 국립중앙박물관 광장에서 열린 '용산기지 공원화 선포식'에 권양숙 여사와 함께 참석했다. 통상적인 행사로도 볼

    중앙일보

    2006.08.25 04:22

  • 미당·황순원 문학상 최종 후보작 지상중계 ⑧ 시 - 이문재

    미당·황순원 문학상 최종 후보작 지상중계 ⑧ 시 - 이문재

    겨울잠처럼 여름잠이란 게 있다면, 이문재 시인은 여름마다 기나긴 잠에 빠질 것 같다. 그리고 눈보라 몰아치는 어느 추운 날이면 한껏 게으름 피며 일어나, 황량한 벌판 혼자서 어슬

    중앙일보

    2006.08.22 21:33

  • "나, 고종은 일찍 일어난다"

    "나, 고종은 일찍 일어난다"

    '조기(早起)'. '아침에 일찍 일어난다'는 뜻이다. 근대 대한제국의 첫 황제였던 고종(1852~1919)이 즐겨 사용했던 인장(印章)에 새겨진 문구다. 조선시대 임금의 분주한

    중앙일보

    2006.08.14 19:25

  • [행복한책읽기Review] 만화로 … 그들은 제국주의를 학습했다

    [행복한책읽기Review] 만화로 … 그들은 제국주의를 학습했다

    조선은 닭이었다. 혹은 어린 아이였다. 제국주의를 향해 치닫던 19세기 말과 20세기초, 일본의 각종 시사만화에서 힘없는 닭은 조선을 상징했다. 일제 통치에 대한 조선 민중의 저

    중앙일보

    2006.07.28 20:08

  • 충정공 애국심 살아 숨쉰다

    충정공 애국심 살아 숨쉰다

    "오호라, 나라의 수치와 백성의 욕됨이 여기에 이르렀으니……영환은 죽음으로써 이천만 동포 형제에게 사죄하노라." 충정공 민영환(閔泳煥,1861~1905)이 일제 강압으로 을사늑약

    중앙일보

    2006.07.25 11:26

  • 우리는 한 번도 이 땅의 주인인 적이 없었다 '한반도 영상 시나리오 북'

    우리는 한 번도 이 땅의 주인인 적이 없었다 '한반도 영상 시나리오 북'

    온 몸이 섬뜩해지는 사실 같은 스토리로 영화보다 더욱 뜨겁고 가슴 벅찬 감동을 선사한다! ‘총제작비 100억원, 최고의 감독과 배우의 만남, 국방부의 전폭적인 지원과 해군의 실제

    중앙일보

    2006.07.21 15:14

  • [월간중앙] 명성황후는 쌍꺼풀 미인이었다

    [월간중앙] 명성황후는 쌍꺼풀 미인이었다

    1894년 일본 신양당에서 발행한 '조선국귀현초상'1번 사진에서 명성황후만 확대한 것프랑스 주간지 1985년 11월2일자 표지 사진. 사진이 작고 흐리지만 1번 사진과 비교하면 흥

    중앙일보

    2006.07.19 12:12

  • [me] 올 여름 한반도…괴물 이 달군다

    [me] 올 여름 한반도…괴물 이 달군다

    지금, 충무로의 눈은 '한반도'(감독 강우석.7월13일 개봉.(左))와 '괴물'(감독 봉준호.7월27일 개봉.(右))에 쏠려있다. 5월 초'MI3'을 시작으로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중앙일보

    2006.06.27 06:55

  • [사진] '한반도' 강우석 감독 "좀더 심하게 찍을 걸"

    [사진] '한반도' 강우석 감독 "좀더 심하게 찍을 걸"

    26일 오후 서울 종로 서울극장에서 열린 영화 '한반도' 시사회 및 기자 간담회에서 감독 강우석이 기자 질문에 답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강우석 감독 "한번쯤 이런 영화 나

    중앙일보

    2006.06.26 21:28

  • '마지막 황실 … ' 사진전 서울대 박물관서 열려

    '마지막 황실 … ' 사진전 서울대 박물관서 열려

    부축받는 고종 고종 황제(왼쪽 중앙)가 1918년 1월 15일 창덕궁 선원전(선대왕의 어진을 모신 곳)에 예를 올리기 위해 침소인 덕수궁 함녕전을 나서고 있다. 오른편 무리의 중심

    중앙일보

    2006.05.26 20:28

  • [행복한책읽기Review] 대한제국의 황실 … 우린 뭘 알고 있나

    [행복한책읽기Review] 대한제국의 황실 … 우린 뭘 알고 있나

    제국의 후예들 정범준 지음, 황소자리 560쪽, 3만5000원 한 무리의 사람들이 황제와 황태자의 어진영(御眞影)을 불태워 버렸다. 사진 속의 황제는 단발을 했으며 군복을 착용하고

    중앙일보

    2006.05.19 19:59

  • [이홍구칼럼] 이승만 박사의 젊은 시절

    26일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 박사 131회 탄신일이었다. 예년과 다름없이 그를 추념하는 모임과 예배가 정동교회에서 있었으나 그의 파란만장한 생애를 되돌아보거나 기억하는 국

    중앙일보

    2006.03.26 20:46

  • "구한말 맹목적 반일감정이 조선 망국 불렀다"

    교과서포럼의 공동대표인 이영훈 서울대 교수(경제학)가 구한말 '맹목적 반일감정'이 조선 망국(亡國)의 원인이었다는 주장을 내놔 논란이 예상된다. 이 교수는 30일 시사웹진 뉴라이트

    중앙일보

    2005.12.30 14:55

  • "덕수궁 석조전, 대한제국 유물관으로"

    "덕수궁 석조전, 대한제국 유물관으로"

    근대미술관이냐, 근대사 역사교육공간이냐. 최근 건물 쓰임새를 놓고 다툼을 벌여온 덕수궁 석조전(사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주제로 한 토론회가 열렸다. 19일 서울 국립고궁박

    중앙일보

    2005.12.21 22:38

  • 제6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005년 12월 9일

    [제1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005년 3월 31일] [제2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005년 4월 25일] [제4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005년 7월

    중앙일보

    2005.12.13 14:43

  • [깊이읽기] 그때도 '세계화 갈등' … 구한말 다시 보자

    [깊이읽기] 그때도 '세계화 갈등' … 구한말 다시 보자

    1980년대 이후 유행한 용어가 '해방 공간(1945~48년)'. 분단. 전쟁 등 현대 한국이 그 공간에서 싹텄다는 점에서 '현대사의 자궁'으로 평가받는 것이다. 시선을 넓혀 보

    중앙일보

    2005.12.02 20:37

  • "고종, 명성황후 시해 악몽 시달려"

    "고종, 명성황후 시해 악몽 시달려"

    100년 전 을사조약 체결 당시 한반도 주둔 일본군 사령관 하세가와 요시미치(長谷川好道.사진) 대장이 강압적으로 조약 체결을 밀어붙였던 정황을 스스로 기록한 문건이 발견됐다. 하

    중앙일보

    2005.11.16 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