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곡물의 둑

    해마다 온 세계의 사람이 생산하는 모든 곡물을 한 곳에 쌓아보자. 그러면 지구를 한바퀴 도는 폭 15·5m, 높이 1·8cm의 둑이 생긴다. 해마다 이 둑은 소비되어간데 없어진다.

    중앙일보

    1980.08.14 00:00

  • 한끼 8백원짜리 입원환자 식사반찬 너무 나빠 먹기 힘들지경

    고둥학교 학생입니다. 얼마전 교통사고로 입원한 친구를 문병갔읍니다. H종합병원의 자그마한 병실에 3명의 환자가 입원하고 있었읍니다. 여러가지 이야기를 하던중 병원식사가 형편없다는

    중앙일보

    1979.11.30 00:00

  • 세계의 구두쇠작전

    「마거리트·대처」여사가 수상에 취임하던 날 「다우닝」가 10번지를 인사차 방문한 보수당의 원로 「해일섬」경은 자전거를 타고 갔다. 방문을 마치고 문을 나올때 그의 머리에는 상원의장

    중앙일보

    1979.07.13 00:00

  • (11)|「에스키모」의 반려…극지견

    탐험대가 머물렀던 「카낙」은 북극권활동에 가장 중요한 개와 썰매를 조달하는 보급기지로 사람 수 보다 많은 5백여 마리의 개가 마을 구석구석마다 쏘다니거나 10여 마리씩 떼를 지어

    중앙일보

    1978.11.03 00:00

  • 김치 값

    외국에 나가면 누구나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게 있다. 김치다. 한국인은 그래서 어딜 가나 한국식당을 찾는다. 그러나 김치는 거저 음식에 딸려 나오지 앉는다. 돈을 따로 내야한다. 동

    중앙일보

    1978.09.15 00:00

  • 우리집 한가위 음식|이종희여사(이숭령박사부인) 솜씨

    햇곡식과 햇과실등으로 연중 가장 풍요로운 계절에 맞는 명절이 추석. 그래서 솔잎 향기 은은한 송편을 비롯하여 각종 추석 음식 또한 다채롭다. 평소 알뜰한 음식 솜씨로 유명한 이종희

    중앙일보

    1978.09.12 00:00

  • 팔도의 전통음식|본고장 인사들이 추천하는 「무형문화재」후보|충청도 지방

    순박하고 꾸밈이 없는 충청도 사람들의 기질처럼 이 고장의 음식 또한 흔한 재료를 소박하게 조리한 평범한 것들이다. 사면이 육지로 둘러싸인 충북지방은 생선이 드물어 자반이나 젓갈 구

    중앙일보

    1978.05.10 00:00

  • 외제 우족

    밀·콩·「올리브」. 기원전 사람인「플라톤」이 구상한 이상 사회에서의 식생활은 이처럼 수수했다.「플라톤」이 되살아나 오늘의 식탁을 내려다보면 입맛을 다시기는커녕 느글거려 눈을 돌렸을

    중앙일보

    1978.01.24 00:00

  • 연말연시 손님접대는 정성담긴 즉석요리로|요리연구가 한정혜씨에게 듣는다

    세밑과 정초가 되면 가까운 친척이나 친지들을 초대해서 함께 음식을 나누는 기회가 많아진다. 그러나 손님접대를 위해 한꺼번에 많은 음식을 장만하여 두고두고 사용하는 것은 좋지않다.

    중앙일보

    1977.12.26 00:00

  • (상)짜게 먹는 습관이 문제

    서양인에게 고혈압이 흔한 것은 지나치게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그다지 육류를 섭취하지 않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고혈압이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중앙일보

    1976.10.05 00:00

  • 「프랑스」인들의 식성이 달라진다

    「프랑스」인들이 미식가란 것은 천하가 다 아는 일. 흔히들 고기와 빵과 포도주가 주식이라고 믿고 사실 그랬다. 그런데 이들의 식성에 혁명이 왔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프랑스」인들조차

    중앙일보

    1976.09.28 00:00

  • 기업들, 우량업체 선정에 앞다퉈 심사신청|조선공사, 중소형 선박에 주력 짭짤한 재미|20일께 시판 될 수입쇠고기 맛보고 값 책정

    ★…현행 상업어음 할인 적격업체 선정을 외면하면 기업들이 일반 기업보다 연1%가 싼 금리를 적용 받게되는 우량업체 선정에는 다투어 심사신청을 내고 있다. 각 시중 은행 심사부는 2

    중앙일보

    1976.08.03 00:00

  • (중)|의식주는 변하고 있다 (5)|육류 소비의 급증

    『우리 국민은 사과나 고기를 안 먹고 쌀밥만 먹기 때문에 언제나 쌀이 모자란다.』 50년대 후반기 공진항 전 농림부장관의 이 같은 「쇼킹」한 발언 이후 약 20년이 지난 지금, 쌀

    중앙일보

    1976.07.06 00:00

  • 「그린·필드」족

    「그린·필드」 「골프」족은 「골프」장을 연상하지만, 하숙생활자에게는 다시없이 구성진 말이다. 한달 내내 하숙집 밥상에는 고기 한 점 없는 시래기나 콩나물 국 뿐이다. 이걸 「그린·

    중앙일보

    1976.03.19 00:00

  • 볼품있고 맛있게 설날 상차림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 정월초하루는 연중 가장 큰 명절. 오랜만에 한자리에 모일 가족들을 위한 설음식 장만과 손님접대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할때다. 정초에 찾아오는 손님접대

    중앙일보

    1975.12.29 00:00

  • (33)-품종혁신의 기수들(4)

    근대농업의 추세는 전통적인 전분농업에서 탈피, 점차 단백질농업, 「비타민」농업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는 국민소득이 5백「달러」를 넘어서면 동물성 단백질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

    중앙일보

    1975.11.14 00:00

  • 팟국

    화가 변종하씨댁 별미는 굵은 파를 듬뿍 넣어 끓인 팟국. 경상도 태생의 부인 남정숙 여사(49)의 팟국 끓이는 솜씨는 쉽게 볼 수 없는 독특한 것이라고 변 화백의 자랑이 대단하다

    중앙일보

    1975.10.30 00:00

  • (1295)|남북전쟁(35)|선우 진

    이북 체재 보름째가 되는 1948년 5월 4일 북의 땅에 작별을 고하고 우리는 떨어지지 않는 운명의 발길을 돌렸다. 북의 땅도 우리 땅이요, 남의 땅도 우리 땅이건만 어느덧 재

    중앙일보

    1975.03.21 00:00

  • 식량사정

    1930년도의 우리나라 인구는 약2천만명을 헤아린다. 공식기록을 보면 1931년의 인구는 2천26만3천명이다. 같은 년도의 쌀 생산량은 1천8백89만4천섬이다. 유아를 제외하고,

    중앙일보

    1975.03.06 00:00

  • 명절음식과 접대|김병설 교수(숙대 교수)에 듣는다

    설날은 한국가정의 가장 큰 명절이다. 아침 일찍 차례를 지내고 서로 이웃을 찾아 인사를 나누는 것은 우리의 아름다운 풍속이다. 정초에 하루에도 여러 번 손님을 맞아야하는 주부로서는

    중앙일보

    1974.12.26 00:00

  • 식량 수입이 전면 중단되면|일본은 어떻게 될까

    지구상의 식량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만성 식량 부족국인 인도·「뱅글라데쉬」·「파키스탄」등에서는 아사자가 속출하고 있다. 반면 세계의 곡창인 미국은 식량수출 규제의 움직임마저 보

    중앙일보

    1974.10.15 00:00

  • 고계의 나그네 김찬삼씨 「아마존」비경 탐험 하구의 대도시 「벨렘」

    자연과 더불어 살아오는 「인디오」원주민들에겐 오직 식욕과 성욕의 두 본능을 만족시기는 것이 인생의 궁극적인 목적인가 보다. 그러기에 고기잡이나 사냥을 하여 배불리 먹고는 성의 쾌락

    중앙일보

    1974.06.20 00:00

  • 초하의 요주

    입하가 지났으니 이제는 여름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을해는 봄이 있었던 것 같지가 앓다. 살구꽃· 모란꽃· 두견화· 박꽃·할미꽃…아무것도 본 기억이 없다. 개나리도 본 사람

    중앙일보

    1974.05.07 00:00

  • 맛보기 힘든 계절의 미각 봄나물·채소값도 껑충

    계절의 미각 봄나물과 채소값이 껑충 뛰었다. 냉이·달래·쑥·취나물 등 봄나물은 10일전보다 대체로 20∼30%씩 올랐고, 무·배추 등은 지난 겨울 김장철에 비해 무려 2∼4배나.

    중앙일보

    1974.03.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