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73)단양 우씨

    단양우씨를 역사에 드러낸 인물은 여말의 석학 역동 우탁이다. 그는 우리나라 최초로 역학을 개척한 대화자로서 서릿발같은 기개로 왕의 패륜을 극간했던 당대의 명신으로서 역사에 뚜렷한

    중앙일보

    1983.07.23 00:00

  • 채소류로 싱싱한 겨울실내를

    요즈음은 싱싱한 녹색식물을 실내에 배치하는 것이 자칫 지루해지기 쉬운 겨울철 분위기를 바꾸어준다. 콩나물·고구마·파등 집에서 손쉽게 구할수 있는 채소류를 채소로도 먹고 실내장식으로

    중앙일보

    1983.01.08 00:00

  • 주문식품

    「월=잡채· 동태찌개, 화=카레라이스·북어포무침, 수=조개매운탕· 달걀 야채 말이….」 회사원 성영목 씨(29· 서울 사당동 영아아파트5동)집 식탁 옆에 붙여진 주문식품의 저녁메뉴

    중앙일보

    1983.01.08 00:00

  • 싸리울타리 사이서탱크가 번쩍

    북한에서 본 DMZ(비무장지대)는 이곳을 찾는 외국사람들의 눈에 얼핏 평화로운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각종 군사시설들이 위장돼 있음을 알수있다고 서독의 본에서 발행되는 게네랄 안차

    중앙일보

    1982.02.09 00:00

  • 맛깔스런 김장담그기

    예로부터 김장은 겨울철 귀중한 반(반)양식으로 각가정의 가통과 주부의 솜씨로 이어지는 맛이었다. 또 개성의 「쌈김치」, 함경도의 「동태식혜」, 평안도의 「동치미」, 전라도의 「고들

    중앙일보

    1979.11.21 00:00

  • (10)서울 오창임 씨 댁 개성 식 보쌈김치

    개성이 고향인 오창임 씨(48·서울 중구 신당동 251의60·국제관광공사 정성관 부사장 부인)는 어릴 때 맛보던 미각을 되살려 새로운 맛을 가미한 보쌈김치 솜씨로 소문나 있다. 배

    중앙일보

    1977.12.08 00:00

  • 팔도김치 그 진미를 찾아서|우수자여사의 솜씨

    예부터 깔끔하고 맛갈스러운 음식의 고장으로 이름난 개성의 진미, 김치는 「쌈김치」. 요즈음에는 「보쌈김치」라 해서 상당히 일반화된 김치지만 역시 참맛은 제고장사람의 솜씨라야 한다.

    중앙일보

    1975.11.04 00:00

  • (1064)고려인삼(3)/임현영

    고려인삼의 종자는 전통적으로 춘파하던것을 40여년전부터 추파로 바꾸었다. 임관식씨라는분이 일본농촌을시찰하러 갔다가 백추(배추)뿌리를 가을에 심는것이 발육 성장에 좋은것을 보고 인삼

    중앙일보

    1974.06.19 00:00

  • (2)-개성출신 김세암 여사의 자랑 경기·개성편

    추석을 전후한 초가을 개성에는 송이버섯과 과일이 집집마다 풍성하다. 송악산과 박연폭포 근방에서 나는 송이버섯은 그 향기와 맛이 뛰어난 개성특산품이다. 지금은 고향을 떠나와 살고있는

    중앙일보

    1973.09.19 00:00

  • 파리협상 진전 따라「에스컬레이트」되는 북 폭과 월맹군 공세

    【사이공=신상갑 특파원】미국 대통령선거가 11월7일로 박두하자 월남 수도「사이공」에 대한 공산군의 압력이 날로 가중하고 있는 징조가 현저해졌다. 지난 3월30일에 개시된 월맹군의

    중앙일보

    1972.10.14 00:00

  • 「단절」을 말해주는 낯익으면서도 낯선 풍경|본사 이광표 특파원, 27년만에 본 북의 산하

    【평양=대한민국 신문·통신 공동취재단】29일 하오 2시25분 단절 27년만에 평양 땅을 밟았다. 판문점에서 평양까지 2백21km. 자동차로 3시간55분이 걸리는 지척-. 4반세기동

    중앙일보

    1972.08.30 00:00

  • 합리적 경제행위

    작년 초부터 시작된 안정 공황적 경기는 금년 중으로는 가셔질 것이라 기대된다. 그러나 그 후유증은 주부들에게 커다란 부담을 지워 줄 것은 분명하다. 더구나 미국이나 한국 같이 독점

    중앙일보

    1972.01.12 00:00

  • (1)경기도

    전라도사람 경상도사람 함경도사람 등 각 지방 사람들은 날씨, 산물·기호에 따라 각각 다른 김치를 담가 먹는다. 그 여러 지방 김치들 중에는 다른 지방의 사람들 구미에도 썩 잘 맞는

    중앙일보

    1970.11.05 00:00

  • (226)김장

    김장작업은 고역이기도 하고 즐거운 일이기도 하다. 초겨울로 접어들면서 주부들이『아유, 금년 김장은 또 어떻게 하지』라고 걱정할 때, 손끝은 벌써 노란 통배추의 통통한 촉감을 그리워

    중앙일보

    1969.11.22 00:00

  • 오퍼레이션·김장

    거리마다 김장시장이 한창이다. 요새는 날씨도 포근하고, 쏟아져 들어오는 김장감의 반입량으로 김장값도 금주 말까지가 제일 싼편이라 김장하기에 알맞은 때. 그래도 5인 가족을 위한 김

    중앙일보

    1968.11.22 00:00

  • (173)김장

    입동, 고개마루턱에 겨우살이의 채비를 알리는 바람 끝이 차지면 여인들의 일손은 마냥 부산해진다. 1년에 한번씩 큰일처럼 치러지는 김장담그기가 집집마다 한창이다. 바쁜 일거리에 못지

    중앙일보

    1968.11.21 00:00

  • (41)김장

    입동이 지나면 김장철. 김장은 우리나라에서 찬이 아니라 겨우살이 식량이다. 입동절이 9월이면 입동전에 담그고 입동절이 10월이면 입동후에 담가야 한다는 옛 할머니들의 가사유훈도 이

    중앙일보

    1966.11.26 00:00

  • 김장철|담그는 비결과 예산

    예년에 비해 따뜻한 겨울일거라는 관상대 발표지만 김장은 20일전후 늦어도 11윌중으로 끝마쳐야 제맛을 낼수있다. 김장은 주부들의 알뜰한 연구와 솜씨에 따라 가정의 특색과 가족을 위

    중앙일보

    1966.11.10 00:00

  • 김장 맛있게 담그려면|그 요령 몇가지

    김장은 섭씨 5도안팎에서 담근후 같은 기온이 15∼20일간 계속된 후 추워지면 이상적이 다. 금년에는 11월말까지 평년보다 약간 기온이 내려갈 우려가 있다고 관상대는 예보하고있지만

    중앙일보

    1965.11.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