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제3차 세계침구학술대회 그 의의와 본사주최 특별 좌담회|동·서 의학의 접합은 가능한가

    「닉슨」의 중공방문을 계기로 구미를 휩쓴 침술「붐」의 상승기류를 타고 지금껏「블랙·매직」(Black magic)으로만 여겨져 온 동양의학이 구미의료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것은

    중앙일보

    1973.09.28 00:00

  • 항생제가 맥을 못쓴다

    항생제를 함부로 쓰기 때문에 세균들이 강해져 우리 나라에선 항생제들이 제대로 맥을 쓰지 못한다는 보고가 나와 경종이 되고있다. 최근 국립보건연구원은 각종 세균성 질병에 만능특효약으

    중앙일보

    1973.09.21 00:00

  • (39)빈혈

    피(혈액)는 건강의 신호등이자 생명의 「심벌」이다. 피가 깨끗하지 않고서는 건강을 누릴 수 없다. 피는 산소와 영양분을 운반해주는 생명의 보급선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러 가지 원

    중앙일보

    1973.08.18 00:00

  • 마늘의 강장효과|전세열씨(원자력연구소 생물학연구실) 연구에서

    예로부터 정력강장 및 항균작용에 효능을 발휘하는 식품으로 구전되어온 마늘의 신비가 일부분이나마 벗겨지고 있다. 전세열씨(원자력연구소 생물학연구실)는 최근 마늘에 함유되어있는 「셀레

    중앙일보

    1973.08.16 00:00

  • 장수를 위한 건강법(38)-여름철 과일

    옛날부터 『여름철에 과일을 많이 먹어야 일년 내내 건강을 누릴 수 있다』는 말이 전해진다. 이 같은 옛사람들의 말은 최근에 이르러 자연식을 주장하는 사람들에 의해 더욱 강조되고 있

    중앙일보

    1973.08.11 00:00

  • 「비타민」만능약

    1911년에 폴란드의 생화학자 카시미르·풍크 박사는 현미 속에서 각기를 막아주는 요소를 발견했다. 이미지의 물질에 그는「비타민」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비타」는 라틴어로 『생명』이

    중앙일보

    1973.08.04 00:00

  • (36)-당뇨병

    사치병이라고 일컬어지는 당뇨병을 퇴치하기 위해 세계 도처에서 수많은 학자들이 지혜의 눈을 번쩍이며 매달리고 있으나 아직 난치의 성이 쉽사리 무너질 것 같지는 않다. 그토록 자신만만

    중앙일보

    1973.07.28 00:00

  • 더위를 이기는 음식

    견디기 힘든 무더위가 계속되고 있다. 더위 속에서 주부가 가장 먼저 신경 써야 할 것은 가족들의 식생활관리이다. 이런 때 자칫 구미를 잃게되면 하루하루 더위에 지치고 점점 식욕이

    중앙일보

    1973.07.25 00:00

  • 「생명없는 식품」은 생명의 양식 못돼|일인 대포효추씨 초청「장수비결」강연서

    중앙일보와 동양방송이 주최한「오오우라·다까아끼」씨(대포효추·80·일본 인간의학회 회장)의 초청 강연회는 8백여명이 모인 가운데 7일 상업은행 본점 강당에서 열렸다. 『이제 겨우 8

    중앙일보

    1973.06.09 00:00

  • 등산|근육운동·뇌 활동 도와

    도시생활을 해야하는 현대인은 질병말고도 현실이 주는 두가지 위협 때문에 단명을 재촉 받는다. 두 가지 위협이란 스트레스와 오염이다. 이들을 어떻게 해결하느냐는 장준의학의 중요과제로

    중앙일보

    1973.05.12 00:00

  • (9)체내정화식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때때로 위벽을 깨끗이 청소해야 한다』는 말이 있다. 「파이프」에 시커먼 담배진이 끼는 것과 마찬가지로 위벽에도 불순물이 엉겨붙어 건강을 해친다는 것이다.

    중앙일보

    1973.03.06 00:00

  • (101)

    맑은 향기와 아름다운 황색을 자랑하는 유자는 동양적인 과일이다. 원산지가 중국으로 알려진 유자나무는 운향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다른 감귤류와는 달리 비교적 추운 지방에서도 잘 자

    중앙일보

    1973.01.06 00:00

  • (100) 인삼

    신비의 영약으로 알려진 인삼은 오가과에 속하는 다년초. 원산지가 중국이라고도 하고 우리 나라라고도 한다. 인삼에 관한 최초의 기록이 기원전 33∼38년께 중국의 전한원제 시대에 사

    중앙일보

    1972.12.21 00:00

  • 은행

    아무래도 속되지 않은 품위가 귀인다운 노란 은행잎이 아름다운 계절이다. 은행은 장수목이라고 해서 공손수라고도 불리는데 은행나무의 열매도 백과·불지감·압각자 등의 별칭을 지니고 있다

    중앙일보

    1972.11.17 00:00

  • (78)밤

    풍성함과 윤택함을 상징해주는 밤(율)은 가을에 영그는 과일 중 대표적인 것으로 혀를 감싸는 달콤한 맛이 일품이다. 원산지는 중국과「유럽」. 밤나무는 너도 밤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고목

    중앙일보

    1972.09.20 00:00

  • (81) 구기차

    구기차 한방에서는 약재로, 가정에서는 차로 이용되는 구기자나무는 가지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이다. 뿌리·잎·열매 모두가 널리 이용된다. 예부터 장수에 효험이 있고 강장제로서 특

    중앙일보

    1972.09.13 00:00

  • 구명 못한 동양의 경이 침술에 심취한 미 의학계

    고대 중국의 침술이 미국의 새로운 경이가 되고 있다는 것은 새삼스러운 얘기가 아니다. 그러나 최근엔 미국에서 침술을 사용한 수술이 권위를 자랑하는 큰 병원에서 빈번히 실시되고 있다

    중앙일보

    1972.08.12 00:00

  • (69)생강

    강한 방향성의 풍미를 지니고 있는 생강(새앙)은 마늘에 비견할만한 향신료다. 생강과의 다년초로 원산지는 열대 아시아 지방. 현재는 세계 각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재배지역의 기후와

    중앙일보

    1972.07.26 00:00

  • (64) 수박

    무더운 여름밤 온 가족이 평상에 올라앉아 모기불 날리며 수박을 먹는 모습은 우리 나라 농촌의 특유한 멋이다. 성하의 계절에 무더위를 잊게 하는 과일은 여러 가지 있으나 그 중에서도

    중앙일보

    1972.07.08 00:00

  • 인삼 약효 양면성 입증

    한국인삼이 복용하는 사람의 체질에 따라 정반대의 약효를 발휘한다는 종래의 수수께끼가 과학적으로 해명될 것 같다. 29일자 일본 「아사히 신문보도에 따르면 일본「도야마」 대학 약학부

    중앙일보

    1972.07.01 00:00

  • (54) 메밀

    작은 백색 꽃이 소박한 시골의 정서를 담뿍 풍기는 메밀은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두메 산골의 남매와 호랑이의 일화로 우리와 친근하다. 아직도 농촌에서는 메밀떡이나 메밀 묵 혹은 메

    중앙일보

    1972.05.17 00:00

  • <식품과 영양 과학적 분석에 의한 건강「가이드」(53)도마도

    「도마도」가 우리 미각을 돋우고 영양을 돕는 철이 다가왔다. 가지과에 속하는 1년 생 초목의 열매인 「도마도」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과수류이다. 피부미용과 고혈압에 특효

    중앙일보

    1972.05.10 00:00

  • (45)사과

    과일 중 우리 나라 사람들에게 가장 총애를 받는 사과는 장미 과의 낙엽고목의 열매로 원산지는 중앙 「아시아」로 알려지고 있다. 사과나무의 잎은 길고 달걀모양을 하고 있는데 그 이면

    중앙일보

    1972.04.05 00:00

  • 출퇴근 시간 마음 내키는 대로

    영국의 공무원들은 멀지않아 일정한 시간에 출퇴근을 하지 않아도 괜찮게 됐다. 마음내키는 시간에 직장에 나왔다가 가고싶을 때 퇴근을 해버린다. 출퇴근시간이 없어지는 것이다. 이곳 5

    중앙일보

    1972.04.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