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들 "하이닉스 법정관리·지원 모두 부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증권사들은 3일 하이닉스반도체가 채권단의 자금지원과 법정관리중 어느 한쪽으로 결론나더라도 시장에 부담을 준다고 밝혔다.

하이닉스에 대한 지원은 구조조정의 후퇴로 인식될 수있으며 법정관리는 금융권의 충당금 추가부담 부작용이 따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세종증권의 윤재현 애널리스트는 채권단이 자금지원을 결정한다면 외국인투자자로부터 외면당하며 국가신용등급의 하향조정 가능성도 커진다고 밝혔다.

생존이 불투명한 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은 금융기관의 부실화를 초래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법정관리로 결정되는 경우 모두 3조1천억원에 이르는 금융권의 충당금 추가부담과 협력업체의 연쇄도산, 투신권에서의 자금이탈 등 부작용이 적지 않다고 윤 애널리스트는 말했다.

윤세욱 KGI증권 리서치담당 이사는 채권단이 하이닉스 회생을 위해 출자전환을포함한 추가 자금지원안을 선택한다면 외국인 등 투자자들은 구조조정의 후퇴로 인식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대로 하이닉스가 법정관리에 들어간다면 금융권의 추가손실을 가중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하이닉스문제는 `윈.윈'(Win)이 아닌 `로스.로스'(Loss) 게임이라고 그는 규정했다.

한편 김성노 동부증권 투자전략팀장은 하이닉스의 충격은 대우사태 수준에 이를수 없다고 밝혔다.

지난 99년 4월 대우그룹의 자산총계는 78조1천680억원, 금융기관 총여신규모는59조8천728억원이었는데 비해 하이닉스를 포함한 6개계열사의 자산총액은 17조9천억원에 불과하다고 그는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윤근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