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참여정부는 방송 인사 개입 안 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 후보는 19일 한국기자협회 초청 토론회에서 “대통령이 되면 방송사 사장 선임에 개입하는 관행을 끊어낼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당연히 그렇게 가야 한다. 지금 이명박 정부가 자기 사람을 방송사에 사장으로 낙하산으로 내려보내서 방송사를 정권의 목적에 맞게 장악하려는 것은 정말 잘못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참여정부 때 처음으로 2003년 KBS(정연주) 사장 인사를 할 때 사장추천인제를 운영했는데, 전국에서 300여 개 시민단체·언론노조들이 다 참여해 KBS 사장을 선출하지 않았는가. 그 과정에 정부는 전혀 개입하지 않았다”고 말해 논란이 벌어졌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선대위의 안형환 대변인은 “문 후보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고 있다”며 “대선 시절 특보를 방송사 사장에 앉히려는 시도뿐만 아니라, 정연주 사장의 인선도 특정 세력에 우호적인 코드인사라는 걸 부인하는 건 매우 우려스러운 부분”이라고 비판했다. 노무현 정부는 2003년 출범 직후 서동구 대선 후보 언론담당 특보를 KBS 사장에 내정했다가 노조의 강력한 반발로 일주일 만에 철회한 적이 있다.

 강동순 전 KBS 감사는 “사장추천제는 낙하산 사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사후에 쇼를 한 것”이라며 “당시 노 전 대통령은 서동구 사장 임명에 반대한 시민단체 대표(최민희 현 민주당 의원), KBS 노조위원장, 기자협회장, PD협회장 등과 만찬을 하면서 서 사장을 받아달라고 부탁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당시 만찬에 합석했던 유인태 청와대 정무수석이 참석자들에게 서동구 특보 말고 누가 좋으냐고 물었고, 그 자리에서 정연주 사장이 좋다는 말이 나왔다”고 덧붙였다.

알려왔습니다위 기사 중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동구 KBS 사장 임명에 반대한 시민단체 대표, KBS 노조위원장, 기자협회장, PD협회장 등과 만찬을 하며 서 사장을 받아달라고 부탁한 적도 있다’는 강동순 전 KBS 감사의 주장과 관련, 최민희 민주통합당 의원은 “2003년 4월 2일 나도 참석했던 그 모임엔 기자협회장·PD협회장은 없었으며, 노 전 대통령이 서 사장 임명과 관련해 양해를 구한 적도 없었기에 사실과 전혀 다르다”고 알려왔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