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공직 생각 없어” … 단일화 후 당권·대권 역할 나눌 듯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가 19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기자협회 주최 대선후보 초청 토론회에서 패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경빈 기자]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가 안철수 무소속 대통령 후보와 단일화 이후의 연대 구상을 밝혔다.

 문 후보는 19일 한국기자협회 주최 대선 후보 초청 토론회에서 안 후보로 단일화가 될 경우 “안 후보의 당선과 국정 성공을 위해 할 수 있는 노력을 다하겠다”며 “제가 다른 정부에서 다른 대통령 아래에서 직책·공직을 맡는 것은 노무현 정부가 마지막으로, (더는) 그럴 생각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또 “거꾸로 제가 대통령이 된다면 저는 안 후보를 잘 모시고 싶다”며 “안 후보의 경우엔 혁신·융합·IT·미래 성장 이런 부문에 강점이 있는 분이기 때문에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문 후보의 이 같은 언급은 새누리당이 제기한 ‘문통안총론’(문재인 대통령-안철수 총리) 대신 두 후보가 ‘대권’과 ‘당권’으로 역할을 분담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란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문 후보는 토론에서 “안 후보 측에서 하나의 정당을 만든다면 그 정당과 민주통합당이 합당하는 것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다”고 했다. 안 후보도 지난 15일 본지 인터뷰에서 “단일 후보로 뽑히면 (신당 창당과 같은) 그런 부분을 포함해 고민해봐야 한다”며 신당 창당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양측이 공동으로 집권에 성공하면 안 후보가 신당을 만들고, 민주당과 합당을 통해 단계적으로 세력을 재구성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문 후보는 그간 안 후보의 민주당 입당이 가장 쉬운 연대 방법이란 입장을 취해 왔으나 단일화 국면에서 연대의 방식을 수정한 셈이다.

 문·안 두 후보는 18일 발표한 ‘새정치공동선언문’에서 “새 정치와 정권 교체를 위한 국민연대를 이뤄 양측의 지지자뿐 아니라 더 많은 국민의 힘을 결집해 내겠다”며 “대선 승리 이후에도 연대의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했으나 구체적 방법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날 토론에서 문 후보는 “안 후보 측에서 여론조사를 원한다면 흔쾌히 받아들이겠다”고 다시 강조했다. 다만 그는 “시간에 쫓겨 여론조사를 통한 단일화도 쉽지 않다면 안 후보를 만나 담판을 통해서라도 단일화를 이루겠다”고 다짐했다. 다만 그는 “저는 개인 후보가 아니라 100만 선거인단이 선출한 (정당) 후보라 사실상 양보가 불가능하다. 독단적 양보는 배임죄에 해당하지 않을까 싶다”며 “담판을 한다면 안철수 후보께 ‘저를 도와주시면 어떨까, 정당혁신도 정권 교체 이후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내는 개혁도 도와주시면 제가 훨씬 잘해낼 것 같다’고 말씀드릴 것”이라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